주간동아 818

..

너, 완전 변했구나…그래도 사랑받는다

오뎅의 진실

  • 황교익 blog.naver.com/foodi2

    입력2011-12-26 10: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너, 완전 변했구나…그래도 사랑받는다

    오뎅은 대한민국 대표 길거리 음식이다.

    어묵을 흔히 오뎅이라 부른다. 오뎅은 일본어로, 어묵과 함께 무, 유부, 곤약을 꼬치에 꿰어 가다랭이포 국물에 끓인 음식을 말한다. 그러니까 어묵을 오뎅이라 하면 잘못이다. 어묵의 일본어는 가마보코다. 이런 혼란은 어묵 제조업체가 유발한 측면이 있다. 특히 부산에 자리한 어묵 제조업체들이 어묵에 ‘부산 오뎅’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마케팅한 탓이 크다.

    어묵은 생선살에 전분 등을 더해 모양을 잡고 튀기거나 굽거나 찐다. 일제강점기에 한반도로 들어왔다. 부산, 인천 등 일본인이 많이 살고 생선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지역에 이 어묵 가공 가게가 섰다. 어묵으로 조리한 오뎅은 경성 등의 술집에서 팔렸다. 물론 일본인의 술집이었는데 종로 뒷골목에 ‘정종집’ ‘꼬치집’ 등으로 그 흔적을 남겼다.

    해방이 되자, 일본인의 어묵 가공 가게와 오뎅 술집은 대부분 사라지고, 일부를 한국인이 맡았다. 한국 정부는 일본 잔재를 없앤다며 언어순화정책을 폈다. 1960년대 언어순화자료를 보면, 가마보코와 오뎅을 구분했다. 가마보코는 어묵, 오뎅은 꼬치안주로 순화해야 한다고 적었다. 하지만 언어는 그 물건을 만들어 팔고 쓰는 사람 마음대로 정해진다. 그렇게 해서 꼬치안주와 가마보코는 사라지고 오뎅과 어묵만 살아남았다. 지금 와서 이를 바로잡자고 한다면 또 큰 혼란이 벌어질 수 있다. ‘먹거리’처럼 문법적으로 분명한 오류가 있는 조어가 널리 쓰인다는 이유로 표준어가 된 것과 마찬가지로 오뎅도 한 세대 정도 뒤에는 당당히 표준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 칼럼에서는 오뎅과 어묵을 구분하고자 한다. 오뎅은 어묵을 꼬치에 꿰어 끓인 음식, 어묵은 생선살에 전분과 밀가루 따위를 더해 튀기거나 굽거나 찐 음식이다.

    오뎅의 위상은 해방 이후 크게 바뀌었다. 일본인의 술집 안주가 한국에서는 길거리 음식이 됐다. 재료와 모양에도 변화가 있었다. 유부, 곤약, 무는 빠지고 오직 어묵만 끼워졌다. 무가 있지만 양념용으로 국물에 담겨 있을 뿐이다. 국물 맛도 바뀌었다. 가다랭이포가 없으니 멸치 육수가 기본이 됐다. 무엇보다 어묵이 많이 바뀌었다. 한국에서의 어묵은 오직 튀기는 어묵만 만들어졌고, 밀가루가 점점 더 많이 들어가고 두께는 얇아졌다. 어떤 것은 어묵인지 밀가루튀김인지 구별할 수 없을 정도다.



    맛이 변하든 말든 오뎅은 대한민국 대표 길거리 음식 자리를 꿰찼다. 떡볶이가 한국 길거리 음식의 최강이라 하지만, 필자가 보기엔 오뎅이 떡볶이보다 많다. 떡볶이 파는 곳에 반드시 오뎅이 있는데, 오뎅 파는 곳에 반드시 떡볶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떡볶이는 소비 세대가 어린아이와 젊은이로 한정됐지만, 오뎅은 남녀노소가 맛있게 먹는 음식이다. 이런 광범위한 소비 계층을 보더라도 한국 길거리 음식 1등을 꼽으라면 필자는 오뎅을 추천할 것이다.

    필자는 마산에서 나고 자랐다. 어린 시절 부둣가 옆 어시장에 어묵 공장이 있었다. 상품으로 가치 없는 작은 조기와 갈치 또는 잡어를 갈아 그 자리에서 튀겼다. 작고 볼품없는 생선이었지만 싱싱했다. 그때의 기억으로는 어묵에 밀가루며 전분의 함량이 높지 않았다. 그 고소했던 맛이 지금도 입안에 남아 있다.

    요즘의 어묵 원료는 베트남 등지에서 가져온다. 도미살이라고 적혔지만, 흔히 시장에서 보는 도미 종류가 아니라는 말을 들었다. 도미과 생선이긴 할 것이다. 살을 으깨 냉장이나 냉동으로 가져오니 싱싱하다고 할 수도 없다. 그래서인지 생선살 맛이 흐릿하다. 쫀득하게 씹히는 질감에 기름내만 난다. 멀건 국물에 이 덤덤한 어묵을 담은 오뎅 냄비를 보고 있자면 마음이 스산해진다. 우리의 살림 형편을 보는 듯하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