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01

..

“우리 남편! 돈이 다 아니거든”

바람난 아내

  • 입력2011-08-22 11:3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남편! 돈이 다 아니거든”

    ‘파올로와 프란체스카’, 앵그르, 1816년, 캔버스에 유채, 48×39, 파리 샹티이 콩데 미술관 소장(왼쪽). ‘과거와 현재’, 에그, 1858년, 캔버스에 유채, 63×76, 런던 데이트 갤러리 소장(오른쪽).

    결혼한 남자는 가족이 자신을 돈 버는 기계로 취급하는 것을 싫어하면서도 돈을 많이 벌어다줘야 가족이 행복하리라 생각한다. 특히 아내가 행복을 느끼는 근원은 돈이라 믿곤 한다. 하지만 아내의 행복은 돈에서 나오는 게 아니다.

    여자는 빵만으로 살 수 없다. 아내는 사랑을 원한다. 여자는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의 결혼 생활을 지옥이라고 느낀다.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 결혼한 여자의 바람기를 그린 작품이 도미니크 앵그르(1780~1867)의 ‘파올로와 프란체스카’다. 이 작품은 단테의 ‘신곡’ 중 지옥의 한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13세기 말 이탈리아 라벤더의 말라테스타 가문과 라미니의 다 폴렌타 가문은 상권을 확보하고자 자녀들을 정략 결혼시키기로 합의한다. 그런데 말라테스타 가문은 사돈을 맺으려는 욕심에 당사자인 조반니 대신 동생 파올로를 내세워 프란체스카와 맞선을 보게 한다. 조반니가 절음발이인 데다 못생겼기 때문이다. 파올로의 모습에 반한 프란체스카는 결혼을 하지만 첫날밤에 남편이 파올로가 아닌 조반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프란체스카는 첫눈에 반한 파올로를 잊지 못한다. 두 사람은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서로에게 끌렸던 것. 결국 그들의 은밀한 사랑은 발각되고, 조반니는 질투에 눈이 멀어 두 사람의 목을 칼로 베어버린다.

    그림을 보면 피올로가 방 안에서 프란체스카의 어깨를 끌어당겨 볼에 키스하고, 프란체스카는 수줍은 듯 고개를 돌리고 있다. 두 사람 뒤로 조반니가 칼을 들고 방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보인다. 프란체스카가 읽던 책을 떨어뜨린 것은 위급한 상황이 다가옴을 암시한다. 붉은색 드레스는 열정과 두 사람의 죽음을 암시하며 파올로의 칼이 바닥에 꽂힌 것은 방심을 나타낸다.



    앵그르는 두 사람의 사랑을 극대화하고자 장식을 없애고 구도를 단순하게 했다. 탁자 위 꽃병에 담긴 백합은 프란체스카의 순결한 마음을 나타낸다.

    여자는 사랑해 결혼했더라도 어느 순간 남편에게 무시당한다고 느끼면 아무리 부유해도 불행하다 여긴다.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순간부터 유혹에 쉽게 넘어갈 수밖에 없다. 나이가 들어도 남들에게 사랑받던 소녀 시절 기억을 버리지 못해서다. 유혹에 넘어간 아내의 인생을 그린 작품이 어거스티스 리오폴드 에그(1816~1863)의 ‘과거와 현재’다. 이 작품은 불륜에 빠진 여자를 사실적으로 표현한다.

    한 손에 편지를 들고 의자에 앉은 남자가 거실 탁자에 몸을 반쯤 기댄 채 바닥에 쓰러진 여자를 바라보고 있으며, 탁자 옆에서는 여자아이들이 카드로 집을 짓는다. 남자가 손에 쥔 편지는 아내에게 배달된 연서를 암시하며, 다리를 벌리고 기운 없이 탁자에 몸을 기댄 자세는 불륜을 알아챈 남편의 절망을 의미한다. 여자의 얼굴이 보이지 않는 것은 불륜을 저지른 당사자라는 점을 암시하며, 두 손을 꼭 쥔 것은 남편에게 용서를 구하는 중이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불륜을 경고하는 세 편의 연작 중 하나인 이 작품은 극작가인 친구가 들려준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 이 작품에서 아이들이 카드로 집을 짓는 모습은 가정이 깨지리라는 것을 암시하며, 화면 중앙 커다란 거울에 보이는 열린 문은 여자가 가정에서 쫓겨날 운명이라는 점을 나타낸다.

    “우리 남편! 돈이 다 아니거든”

    ‘아가멤논의 살해’, 게랭, 1817년, 캔버스에 유채, 342×325,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

    남자는 아내가 집에서 늘 망부석처럼 자신을 기다려준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착각일 뿐이다. 청상과부는 혼자 살아도 나이 든 과부는 혼자 못 산다는 말도 있듯, 결혼생활이 길수록 남편의 부재를 참지 못한다. 아내는 수녀가 아니다. 아내는 금욕보다 사랑을 원한다. 하지만 남자의 바람과 달리 여자의 바람은 태풍이기에 바람난 여자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는 예가 많다. 바람난 아내의 극단적 선택을 그린 작품이 피에르 나르시스 게랭(1774~1833)의 ‘아가멤논의 살해’다. 이 작품은 신화의 한 장면을 묘사한다.

    그리스군 총사령관 아가멤논이 트로이전쟁 책임자를 맡아 10년 동안 집을 떠난다. 홀로 남은 아내 클리타임네스트라는 사촌 아이기스토스와 사랑에 빠진다. 트로이전쟁에서 승리한 아가멤논이 집으로 돌아오자 클리타임네스트라와 아이기스토스는 그가 거추장스럽다. 클리타임네스트라는 결국 아가멤논을 살해한다. 아가멤논은 침대에 잠들어 있고, 방 밖에는 클리타임네스트라가 칼을 들고 서 있다. 침대 아래의 신발, 머리 위 투구와 방패, 그리고 칼은 아가멤논이 무방비 상태라는 것을 암시한다.

    칼을 들고 선 클리타임네스트라 뒤쪽의 남자가 아이기스토스다. 그는 남편을 살해하기를 주저하는 여자를 재촉하고 있다. 한쪽 다리로 계단을 밟고 선 클리타임네스트라의 자세는 화면의 긴장감을 높인다. 게랭이 커튼을 붉은색으로 칠한 것은 아가멤논의 죽음을 암시한다. 방 안과 밖의 분위기를 서로 다르게 연극적으로 연출한 것도 이 작품의 특징이다.

    박희숙은 서양화가다. 동덕여대 미술학부, 성신여대 조형대학원을 졸업했다. 개인전을 9회 열었다. 저서로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클림트’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등이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