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구가인 기자의 ‘아저씨, 보기 흉해요’

술자리 3, 4차에 도우미까지 송년회 꼴불견 이제 그만!

술자리 3, 4차에 도우미까지 송년회 꼴불견 이제 그만!

송년회 맞이 체크리스트, 해당하는 곳에 X표 하세요.

① 의미 있는 송년회를 위해 업무에 대한 이야기는 빠뜨리지 않는다. 이왕이면 모든 팀원이 돌아가면서 한 해를 함께 보낸 소감을 발표하도록 한다.( )

② 송년회 시작의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폭탄 원샷을 한두 바퀴는 돌린다. 저만 살겠다며 술을 거절하는 뺀질이는 철저하게 응징한다.( )

③ “좋아, 가는 거야!” 원래 송년회 날은 각오해야 한다. 3, 4차는 기본이다.( )

④ 술은 여자가 따라야 제 맛이며, 노래방에서 블루스는 동료애로 허용된다. 도우미를 불러 다운된 분위기를 업시키는 것도 좋다.( )



⑤ 노래 못 부르는 애들이 분위기 깨는 노래를 부르면 시간절약을 위해 1절이 채 끝나기 전 스톱버튼을 누른다. 대신 노래 잘 부르는 나는 오래오래 마이크를 잡고 놓지 않는다.( )

‘송년회 대표 꼴불견’ 사례다. 너무 ‘상식’적인 이야기라 설명은 생략하자. 매년 연말연시만 되면 각종 매체에서는 ‘송년회에서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것’ ‘이런 상사 싫어요’ ‘술에 찌든 송년회는 이제 그만’ 류의 기사(또는 프로그램)를 내보낸다. 일반 직장인 수십 또는 수백명의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만든 이런 기사는 10년 전이나 5년 전, 1~2년 전과 다를 바 없이 늘 한결같다. 설교를 늘어놓거나 술을 강권하는 상사가 싫다는 이야기, 블루스나 신체 접촉이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성희롱 위험까지 있다는 이야기는 지겨울 만큼 접했을 터다.

그런데 문제는, 늘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무한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유는 세 가지. 하나는 정말 ‘몰라서’(몰상식), 다른 하나는 알지만 ‘뭐 버릇 남 못 줘서’(멍멍이?), 마지막은 다른 사람은 꼴불견이지만 ‘나는 좀 다르다’는 식으로 남에겐 엄격하고 자신에겐 한없이 너그러워서다(착각의 늪!).

술자리 3, 4차에 도우미까지 송년회 꼴불견 이제 그만!
어쨌든 위의 체크리스트에서 X표가 1개라도 있다면 당신은 연말연시의 ‘꼴불견’이 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어쩌면 이미 ‘기피대상 인물’로 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X표가 3개 이상이라면? 와우, 당신의 명성(!)은 이미 사내를 넘어 사외까지 뻗어 있다고 봐야 한다. 부하직원의 가족이나 친구들 사이에서 당신은 ○○회사의 ‘지대로 진상 떠는 □□’로 소문나 있을 것이다. 오직 당신만 모를 뿐.



주간동아 615호 (p75~75)

구가인 기자의 ‘아저씨, 보기 흉해요’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82

제 1382호

2023.03.24

삼성전자 300조 투자, ‘소부장’ 기업부터 주가 뛰었다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