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0

..

네트세대 세력화 가능할까

곳곳에 함정 도사려…실천하는 양심이 ‘키워드’

  • 입력2006-05-16 10: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네트세대 세력화 가능할까
    생활의 중심에 컴퓨터와 인터넷을 두고 있는 이른바 N세대가 이번 총선 유권자의 주력군으로 편입되면서 ‘인터넷 정치’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전례 없는 새로운 정치 환경의 변화가 총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인터넷을 매개로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네트 세대’의 등장이 이 땅에 어떤 정치적 패러다임을 만들 것인지 이래저래 흥미로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총선 일년 전인 99년 4월9일만 해도 국회의원의 18%인 불과 53명만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16대 총선을 앞둔 현 시점에서 국회의원들의 홈페이지는 거의 150개 이상으로 늘어났다. 이것은 국회의원들이 갑자기 네트 세력으로 변했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서 인터넷 개설 작업을 전문회사에 맡기며 나타난 현상이다. 이들은 홈페이지 개설과 치장에 1000만원 정도의 고비용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정치의 고유한 기능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엔 소홀히함으로써 아직 그 본질을 깨닫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컴퓨터를 사용한다고 해서 모두 ‘네트워크 세력’(혹은 네트 세력)이라고 할 수는 없다. 네트 세력은 컴퓨터와 인터넷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그룹이며, 아울러 컴퓨터에 의한 수평적인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는 20, 30대와 약간의 40대 세력이 네트워크 세력의 핵심이다.

    네트 세력의 발전 단계는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제1단계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네트 세력의 등장, 제2단계는 그 세력이 경제세력화하는 과정이다. 제3단계는 이들의 사회적 주류화, 즉 전자민주주의(E-Politics)의 전면화 현상을 들 수 있다.

    네트 세력의 발생과 이들의 경제적 진출 과정까지는 문제가 적게 발생할 수도 있다. 기존의 ‘굴뚝경제’ 그룹이 네트 세력의 경제적 진출과 관련해서 문제 제기를 하는 정도다.



    네트 세력은 그들의 정치화 과정에서 지식과 정보가 중심이 되는 21세기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현대 자본주의는 산업의 정보화와 정보의 산업화를 겪으면서 전지구적 차원에서 이동성이 커지고, 바로 이런 성격으로 말미암아 자본과 권력의 유목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결국 네트 세력은 개인-민족-세계를 염두에 두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구상함으로써 기존의 패러다임과 경쟁해야 한다.

    네트 세력의 정치화 과정에는 적지 않은 갈등이 예상된다. 즉, 기존의 권위주의 세력이 실제 현실과 가상현실에서 공히 네트 세력의 도전을 물리치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권위주의 세력은 16대 총선의 공천과정과 인터넷 홈페이지의 구축과정에서도 보듯이 수평적 네트워크보다는 수직적 질서를 선호한다. 이번 총선은 바로 네트 세력이 정치집단으로 발전하는 첫 번째 분수령이 되는 그런 선거다.

    따라서 ‘네트 정치’의 출현과 성공은 네티즌들이 자신들의 기반을 제대로 네트워크화하고 있는지, 그것을 오프라인에서도 실제로 실천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된다. 네트 세력의 꿈은 일차적으로 전자민주주의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한 직접참여민주주의 실현이다. 그래서 ‘사상과 표현의 자유’라는 전통적인 행동의 원칙과 함께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신화가 모두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 전자민주주의 시대가 온다고 해서 ‘클릭 한 번’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결국 온라인이건 오프라인이건 결국 자신의 의지를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력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