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43

2018.06.20

연극 | '밥을 먹다'

시나브로 깨닫는다. 밥을 먹는 이유를…

  • 입력2018-06-19 15:20:24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진 제공 ·달팽이주파수]

    [사진 제공 ·달팽이주파수]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 “식사하셨어요?”는 인사말이다. 밥상머리 교육도 그렇고, 가족을 뜻하는 ‘식구(食口)’가 한집에 살면서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을 보면 우리 민족에게 식사는 중요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3월 초연한 극단 달팽이주파수의 연극 ‘밥을 먹다’가 재공연된다. 연극은 ‘그저 살려고 한 끼 때우는 밥’이 아니라 ‘밥을 통해 살아야 하는 이유’를 되새기게 만든다. 불의의 사고로 부모를 잃은 어린 단지(이윤수 분)에게 가족은 삼촌(이호열 분)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삼촌은 “잠시 다녀오겠다”며 나가더니 7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나 천애 고아 단지에게도 한 지붕 밑에서 같이 밥 먹는 식구들이 생긴다. 마음 아픈 사연으로 아내를 제주로 보낸 김밥집 사장님 제임스 박(박신후 분), 항상 분주한 부산 언니 세희(장유리 분), 부푼 꿈을 안고 상경한 공무원시험 준비생 경준(강일경 · 한상길 분)이 그들이다. 

    핏줄은 아니지만 의지할 데 없는 서울에서 다들 정 붙이고 오순도순 살아간다. 단지의 25번째 생일날, 교도소에서 출소한 삼촌이 단지의 보금자리를 찾는다. 소소하지만 잔잔하게 자리 잡아가던 단지의 일상에도 하나 둘 변화가 시작된다. 

    연출자 이원재는 따뜻한 밥 한 그릇의 식사가 주는 우리 사회의 의미를 포근하게 품는다. 결혼식장에서도, 아이 돌 잔칫날에도, 장례식장에서도 “밥 먹고 가라”고 사람들을 챙긴다. 밥을 먹이는 것, 밥을 먹는 것은 상대에 대한 우리의 예의이자 문화다. 



    이원재가 만드는 섬세한 무대언어는 저마다 관객의 기억을 되살려내 어느새 관객 눈에는 눈물이 고인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에도 묵묵히 밥을 먹는 주인공의 모습은 마치 철학자 스피노자가 사과나무를 심는 마음이 아닐까 싶다. 배우들의 얼굴에서 지나간 추억 속 식구들의 얼굴이 보인다. 

    연극 관람 후 여운 때문인지 김이 모락모락 나는 흰쌀밥에 묵은지 김치찌개로 한 끼를 뚝딱 해치웠다. 연극 속 대사처럼 단맛이 날 때까지 쌀을 음미하면서 씹어본 적이 언제였던가. 밥 한 공기를 먹는 여유는 참 달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