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델 압데세메드의 비디오 작품을 포함해 전 세계 20개국 49팀 미디어 아티스트들이 만든 영상, 설치, 미디어 작품이 제7회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미디어시티 서울 2012’를 위해 모였다. 미국 블루스 가수 스크리밍 제이 호킨스의 노래 ‘I put a spell on you’에서 차용한 올해 주제는 ‘Spell on You(너에게 주문을 건다)’. 발전한 기술이 만들어낸 다양한 소통 방식이 개인 행동을 규정하는 현실을 함축적으로 표현한다.
올해 주제는 ‘너에게 주문을 건다’
제7회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미디어시티 서울 2012)는 ‘너에게 주문을 건다(Spell on You)’를 주제로 열렸다. 함께 보이는 작품은 원숭이의 반복된 작업을 영상으로 담은 아델 압데세메드의 ‘기억’.
서울시립미술관 1층에서는 ‘미디어극장 : 모두 다 잘될 거야’라는 주제로 세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와 유튜브, 웹캠, 구글 스트리트뷰를 통해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믿는’ 상황을 그린다. 틸 노박의 ‘원심력 체험’은 놀이공원의 놀이기구가 운행하는 것 같은 가상화면을 보여주지만 관객은 놀이기구가 바로 눈앞에 있다고 착각한다. 모두가 모든 것을 볼 수 있지만 그게 실재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없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두 번째 섹션인 ‘천개의 주문들 : 알려지지 않은 친구들의 윤회에 대하여’는 소셜네트워크의 보이지 않는 채널과 흐름을 담았다. 파리들이 날아다니다 컴퓨터 키보드에 앉을 때마다 글자를 입력해 트위터로 전송하는 데이비드 보언의 ‘Fly Tweet’와 한쪽 벽면에 공개된 트위트를 끌어와 보여주는 옌스 분덜링의 ‘Default to public’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또 인터넷에 게시된 동영상 가운데 삭제가 예상되는 것들을 미리 저장한 뒤 실제 삭제된 것들만 모아 만든 도미니크 가뇽의 ‘평화롭게 잠들다, 미국 단편들 중, 2011’과‘단편들과 사랑 모두 지옥으로, 2009’도 함께 볼 수 있다.
‘혼선 : 보이지 않지만 안녕’이라는 주제로 꾸민 3층은 수많은 새로운 메시지가 불특정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현실을 담았다. 비록 메시지를 받았지만 발신자는 찾을 수 없어 위험하고 두렵기만 한 현실을 그렸다. 지구상의 여러 지점을 연결하는 데이터 터널을 상상해 실제 물리적 형태로 가시화한 모리스 베나윤의 ‘세계로 통하는 터널’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와 홍콩시립대, 그리고 세계 곳곳의 여러 장소와 서울을 잇는다. 데이터 속으로 파고들어 가다 보면 지구 저편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낯선 누군가와 만날 수도 있다. 3층 마지막 전시물인 로버트 오버웩의 ‘가상 세계의 끝’은 게임 속 세계가 끝나는 가장자리를 찾아간다. 잘려나간 듯 갑작스레 중단되는 이 공간은 현실의 우리에게 적막함과 두려움을 전한다.
낯선 누군가와의 만남도 가능
상암 DMC 홍보관에 자리 잡은 네 번째 섹션의 제목은 ‘구름의 무늬들 : 세계 감정으로의 접근’이다. 데이터 헤게모니를 대표하는 클라우드 장치를 주제로 한다. 해킹당한 컴퓨터가 정신병을 앓는 듯 스스로 분열과 오류를 일으키는 프로세스에 돌입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존 새트롬의 ‘QTzrk’와 인간노동의 관료화 및 체계화라는 이념을 상징화한 에런 코블린의 ‘양 시장’ 등을 볼 수 있다.
미디어아트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는 11월 4일까지 열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