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멘과 플라멩코는 참 많이 닮았어요. 담배공장 여공인 카르멘은 가난하고 비참한 신분이지만, 열정적인 사랑과 자유를 추구하죠. 플라멩코는 낭만적이고 바람처럼 떠돌아다니는 집시의 매력을 흠뻑 풍기고요. 무엇보다 둘 다 ‘뜨거운 심장’을 가졌어요. 새빨간 피를 금세라도 뿜어낼 듯 아주 매혹적이죠.”
(사)한국플라멩코협회의 롤라 장(39) 회장은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을 플라멩코극 ‘집시의 영혼 플라멩코’로 탄생시켰다. 공연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6월 12, 13일 이틀간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렸다. 2008년 초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공연. 그는 예술감독이면서 주인공 카르멘 역도 맡았다. 스페인 최고 무용단인 ‘안토니오 카날레스’에서 활동 중인 파블로 프라일이 남자 주인공인 호세 역을 맡는 등 스페인 현지 무용수도 대거 참여했다.
플라멩코(flamenco)는 15세기 중엽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으로 흘러들어온 집시들과 당시 이 지역을 점령했던 아랍계인 모르족의 문화가 한데 섞여 즉흥적 예술로 발달했다. 플라멩코의 어원은 불꽃을 뜻하는 ‘flama’에서 비롯됐다는 설과 아라비아어인 felag(농부), mengu(도망자 또는 피난민)를 잘못 발음한 데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18세기에 접어들면서 플라멩코는 안달루시아의 집시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됐다.
음악에 맞춰 발을 구르고 손뼉을 치며 화려한 춤사위를 보여주는 플라멩코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은 춤 중간중간에 넣는 추임새다. 올레(ole·잘한다), 보니타(bonita·예쁘다), 구아포(guapo·멋있다) 등을 외치며 무용수들의 흥을 돋아준다.
“관객이 추임새를 하면, 막 흥이 넘쳐나요. 아주 신이 나서 제가 가진 모든 것을 보여주려고 하죠. 하지만 우리나라 관객은 아직 어색해해요. 흥이 나면 소리도 지르고 함께 박수치면 좋겠는데, 마치 클래식 공연 보듯 점잖아요. 아쉽지만, 좀 더 플라멩코가 알려진다면 관객의 반응도 달라지겠죠(웃음).”
그가 처음으로 플라멩코를 접한 건 초등학교 때. 스페인에 이민을 간 아버지의 친구가 플라멩코에 쓰이는 부채와 캐스터네츠를 선물해주면서 집시들의 삶과 애환 그리고 플라멩코에 대한 이야기를 해준 것.
“그때부터 막연히 ‘나는 플라멩코 무용수가 될 거야’라고 생각했어요. 거울 앞에서 혼자 부채와 캐스터네츠를 들고 춤을 추기도 했죠. 부모님은 제가 ‘조신하게’ 피아노를 전공하길 바라셨고 그 뜻을 따랐지만, 전 악보를 보면서도 플라멩코를 동경했죠.”
2002년 2월 그는 홀연히 스페인으로 떠났다. 플라멩코만큼 그를 잘 표현해줄 것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 스페인에서 그는 플라멩코 강습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가서 배웠다. 자그마한 검은 머리 동양 여자는 2002년 10월 포르투갈에서 유수의 플라멩코 무용수와 함께 데뷔 공연을 했다. 누구보다 ‘보니타’라는 추임새를 많이 들었다. 한국인 최초로 스페인 플라멩코 전공 과정 디플로마를 취득한 뒤 그는 귀국했다. 한국에 플라멩코를 전파하기 위해서다. 롤라 장 회장이 운영하는 (사)한국플라멩코협회(02-747-7460)에서는 누구나 플라멩코를 손동작과 발 구르기 등 기초부터 배울 수 있다. 주로 영화, 미디어 등에서 플라멩코를 접했거나 스페인 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배우러 온다.
“플라멩코는 혼을 표현해야 해요. 아무리 훌륭한 외모의 무용수가 깔끔하게 잘 춰도 혼이 느껴지지 않으면 좋은 춤이 아니에요. 다른 춤은 보통 남자가 리드하지만, 플라멩코는 여성 혼자서도 매력을 발산할 수 있죠. 또 노출은 없지만, 은근히 섹시해요. 마치 영혼의 누드를 보여준다고나 할까요. 이런 해방감을 더 많은 사람이 느꼈으면 좋겠어요.”
(사)한국플라멩코협회의 롤라 장(39) 회장은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을 플라멩코극 ‘집시의 영혼 플라멩코’로 탄생시켰다. 공연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6월 12, 13일 이틀간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렸다. 2008년 초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공연. 그는 예술감독이면서 주인공 카르멘 역도 맡았다. 스페인 최고 무용단인 ‘안토니오 카날레스’에서 활동 중인 파블로 프라일이 남자 주인공인 호세 역을 맡는 등 스페인 현지 무용수도 대거 참여했다.
플라멩코(flamenco)는 15세기 중엽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으로 흘러들어온 집시들과 당시 이 지역을 점령했던 아랍계인 모르족의 문화가 한데 섞여 즉흥적 예술로 발달했다. 플라멩코의 어원은 불꽃을 뜻하는 ‘flama’에서 비롯됐다는 설과 아라비아어인 felag(농부), mengu(도망자 또는 피난민)를 잘못 발음한 데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18세기에 접어들면서 플라멩코는 안달루시아의 집시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게 됐다.
음악에 맞춰 발을 구르고 손뼉을 치며 화려한 춤사위를 보여주는 플라멩코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은 춤 중간중간에 넣는 추임새다. 올레(ole·잘한다), 보니타(bonita·예쁘다), 구아포(guapo·멋있다) 등을 외치며 무용수들의 흥을 돋아준다.
“관객이 추임새를 하면, 막 흥이 넘쳐나요. 아주 신이 나서 제가 가진 모든 것을 보여주려고 하죠. 하지만 우리나라 관객은 아직 어색해해요. 흥이 나면 소리도 지르고 함께 박수치면 좋겠는데, 마치 클래식 공연 보듯 점잖아요. 아쉽지만, 좀 더 플라멩코가 알려진다면 관객의 반응도 달라지겠죠(웃음).”
그가 처음으로 플라멩코를 접한 건 초등학교 때. 스페인에 이민을 간 아버지의 친구가 플라멩코에 쓰이는 부채와 캐스터네츠를 선물해주면서 집시들의 삶과 애환 그리고 플라멩코에 대한 이야기를 해준 것.
“그때부터 막연히 ‘나는 플라멩코 무용수가 될 거야’라고 생각했어요. 거울 앞에서 혼자 부채와 캐스터네츠를 들고 춤을 추기도 했죠. 부모님은 제가 ‘조신하게’ 피아노를 전공하길 바라셨고 그 뜻을 따랐지만, 전 악보를 보면서도 플라멩코를 동경했죠.”
2002년 2월 그는 홀연히 스페인으로 떠났다. 플라멩코만큼 그를 잘 표현해줄 것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 스페인에서 그는 플라멩코 강습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가서 배웠다. 자그마한 검은 머리 동양 여자는 2002년 10월 포르투갈에서 유수의 플라멩코 무용수와 함께 데뷔 공연을 했다. 누구보다 ‘보니타’라는 추임새를 많이 들었다. 한국인 최초로 스페인 플라멩코 전공 과정 디플로마를 취득한 뒤 그는 귀국했다. 한국에 플라멩코를 전파하기 위해서다. 롤라 장 회장이 운영하는 (사)한국플라멩코협회(02-747-7460)에서는 누구나 플라멩코를 손동작과 발 구르기 등 기초부터 배울 수 있다. 주로 영화, 미디어 등에서 플라멩코를 접했거나 스페인 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배우러 온다.
“플라멩코는 혼을 표현해야 해요. 아무리 훌륭한 외모의 무용수가 깔끔하게 잘 춰도 혼이 느껴지지 않으면 좋은 춤이 아니에요. 다른 춤은 보통 남자가 리드하지만, 플라멩코는 여성 혼자서도 매력을 발산할 수 있죠. 또 노출은 없지만, 은근히 섹시해요. 마치 영혼의 누드를 보여준다고나 할까요. 이런 해방감을 더 많은 사람이 느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