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내일 저녁에 살사댄스 공연을 한답니다. 여러분이 이 책을 보는 시점엔 이미 공연이 끝났겠지만요. 공연 팀원들은 모두 ‘아마추어’랍니다. 제 파트너는 외국계 기업 마케팅 팀장이고요. 로스쿨 학생, 영어학원 원장, 뮤지컬 배우, 일반 회사원, 기자 등 직업도 다양합니다.
남미의 전통 춤인 살사댄스는 1990년대 중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해요. 당시엔 주한 외국인이나 유학생 출신들이 즐기는 ‘마이너’ 문화였죠. 이 춤이 일반인 사이에 확 퍼지게 된 건 2000년대 중반 이후입니다. 바로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서부터죠.
‘주5일 근무제’는 단순히 주말 이틀을 쉬는 것을 넘어, 일하는 주중과 쉬는 주말을 분리해준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주말의 행복한 취미로 주중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것 역시 ‘주5일 근무제’ 덕분이죠. 그런데 기억하시나요?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할 때 대다수 회사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반대했던 사실을.
이번 커버스토리 주제인 ‘유연근무제’도 과거 ‘주5일 근무제’만큼이나 논란이 많은 사안입니다. 돈 때문에 초과근무하고, 계약 연장기간만 되면 벌벌 떨어야 하는 근로자에게 유연근무제는 ‘그림의 떡’이겠죠. 또 ‘4시간만 일하고 일한 만큼만 받으라’는 제안이 88만원 세대에게 기분 좋게만 들릴까요?
취재 중 만난 이화여대 사회학과 이주희 교수는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려면, 역설적이지만 비정규직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라”고 강조했습니다. ‘8시간 풀타임 근무, 그리고 정규직’이라는 틀 안에 있어야만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노동시장에서는 아무리 다양한 근무형태가 갖춰져도 마음 편하게 선택할 수 없다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일자리를 쪼개 고용률 높이기에만 급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요한 건 ‘과로사’ 아니면 ‘빈곤사’ 하는 노동시장 개선인데 말이죠. 단시간 근로를 포함한 유연근무제가 선택 가능한, 괜찮은 일자리가 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일과 생활이 조화된 삶을 살지 않을까요? 그나저나 공연만 생각하면 두근두근하네요. 오늘밤 ‘김연아처럼 실수 없이 연습한 대로만 잘하게 해달라’고 기도하렵니다.
남미의 전통 춤인 살사댄스는 1990년대 중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해요. 당시엔 주한 외국인이나 유학생 출신들이 즐기는 ‘마이너’ 문화였죠. 이 춤이 일반인 사이에 확 퍼지게 된 건 2000년대 중반 이후입니다. 바로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서부터죠.
‘주5일 근무제’는 단순히 주말 이틀을 쉬는 것을 넘어, 일하는 주중과 쉬는 주말을 분리해준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주말의 행복한 취미로 주중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것 역시 ‘주5일 근무제’ 덕분이죠. 그런데 기억하시나요?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할 때 대다수 회사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반대했던 사실을.
이번 커버스토리 주제인 ‘유연근무제’도 과거 ‘주5일 근무제’만큼이나 논란이 많은 사안입니다. 돈 때문에 초과근무하고, 계약 연장기간만 되면 벌벌 떨어야 하는 근로자에게 유연근무제는 ‘그림의 떡’이겠죠. 또 ‘4시간만 일하고 일한 만큼만 받으라’는 제안이 88만원 세대에게 기분 좋게만 들릴까요?
취재 중 만난 이화여대 사회학과 이주희 교수는 “유연근무제를 활성화하려면, 역설적이지만 비정규직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라”고 강조했습니다. ‘8시간 풀타임 근무, 그리고 정규직’이라는 틀 안에 있어야만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노동시장에서는 아무리 다양한 근무형태가 갖춰져도 마음 편하게 선택할 수 없다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일자리를 쪼개 고용률 높이기에만 급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요한 건 ‘과로사’ 아니면 ‘빈곤사’ 하는 노동시장 개선인데 말이죠. 단시간 근로를 포함한 유연근무제가 선택 가능한, 괜찮은 일자리가 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일과 생활이 조화된 삶을 살지 않을까요? 그나저나 공연만 생각하면 두근두근하네요. 오늘밤 ‘김연아처럼 실수 없이 연습한 대로만 잘하게 해달라’고 기도하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