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학동 나그네’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회진 버스 종점.
‘선학동 나그네’는 전남 장흥 ‘회진(會鎭) 버스 종점’에서 시작된다. 어느 늦가을 해질 무렵 회진 땅에 도착한 한 낯선 사내가 버스 종점에서 10리는 족히 되는 선학동으로 향한다. 30년 만에 다시 찾은 선학동 주막에서 낯선 사내와 주막집 주인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선학동’이라는 마을 이름은 포구 안쪽에 자리 잡은 마을 뒷산인 ‘관음봉’(장흥군 회진면 산저리 뒷산, 실제 산 이름은 ‘공지산’)의 모습에서 연유한다. 달이 뜨고 마을 앞 포구에 물이 차 오르면 관음봉 그림자는 영락없이 날아오르는 한 마리 학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때 마을은 바로 그 학의 품에 안기는 형국이 된다. 그래서 선학동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관음봉 어디쯤에 북소리가 울리는 명당이 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어느 해 가을 남도 소리꾼 부녀(실은 사내아이를 포함해 셋이다)가 선학동으로 찾아든다. 늙은 아비와 이제 열 살쯤 돼 보이는 눈먼 딸이었다. 포구에 물이 차 오르고 선학동 뒷산 관음봉이 물을 박차며 한 마리 비상하는 학의 모습을 띨 때, 노인은 어린 딸에게 소리를 가르친다. 그리하여 “부녀가 날아오르는 학과 함께 소리를 시작하면, 선학이 소리를 불러낸 것인지 소리가 선학을 날게 한 것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지경”이 된다.
이청준 생가.
딸의 득음(得音) 과정이 풍수지리를 매개로 하여 묘사되는데, 아비는 딸에게 보이지 않는 ‘눈’ 대신 물 위로 날아오르는 학을 ‘온몸으로 보게 함’으로써 ‘개안(開眼)’시켜 준다. 풍수사들이 지향하는 최고의 경지가 바로 이 개안의 단계다.
작품 속의 관음봉. 물길이 막혀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으면서 지금은 작은 저수지에 그림자만을 만들 뿐이다
그로부터 20년이 흐른 뒤 장성한 눈먼 딸이 다시 이곳을 찾는다. 관음봉 어느 골짜기에 있다는 명당에 아버지 유골을 모시기 위해서다. 그러나 자기 땅이 아니기 때문에 암장을 하지 않고서는 무덤을 쓸 수 없었다. 게다가 마을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고 자기네 산을 단속하고 나섰다. 하지만 그녀는 서두르지 않았다. 해가 질 무렵 그녀는 소리를 시작한다.
노랫소리는 주막 일대의 어둠을 흔들고, 사람들의 애간장을 끓게 한다. 그녀의 소리가 비상하는 학을 불러내는 것인지, 그 자신이 노랫가락 속에서 한 마리 학이 되어가는 것인지 분간할 수 없는 지경이었다. 마을 사람들이 소리에 홀려 더는 어쩌지 못하던 어느 늦은 밤, 그녀는 관음봉 자락에 아버지 유골을 은밀히 안장하고 떠난다. 이와 함께 비상하는 학을 마을 사람들 가슴에 남겨두고 간다.
작품 첫머리에 등장하는 사내는 30년 전 의붓아비와 딸이 소리를 할 때 장단을 쳐주던 눈먼 딸의 오라버니였다. 오라버니는 아비와 누이를 버리고 도망갔다가 회한에 찬 심정으로 옛날 그 주막집을 다시 찾은 것이다. 그날 밤 의붓아비와 학의 넋이 되어버린 누이의 이야기를 주막 주인에게서 들은 낯선 사내는 이튿날 아침 그곳을 떠난다. 그러나 금방 떠나지 못하고 고개 모퉁이에 오랫동안 앉았다가 저녁때가 되어서야 모습을 감춘다. 빈 하늘에 날개를 펴고 하염없이 날아오르는 흰 학 마리를 만들어놓은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