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87

..

밤바다에 띄우는 희망의 빛

항로 기술 발달에도 굳건한 수호천사 … 최근엔 관광명소로 더 큰 주목

  • 글/ 정현상 기자 doppelg@donga.com 사진/ 정경택 기자 eugine@donga.com

    입력2003-05-29 16:3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밤바다에 띄우는 희망의 빛
    세상은 짙은 안개에 싸여 곤히 잠들어 있다. 5월21일 밤 11시40분 울산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 등대. 바람은 서쪽으로 불었고, 바깥기온은 16.8℃였다. 맑은 날에는 50km 떨어진 곳까지 비출 수 있는 4억원대의 최신 등명기(등대의 불빛 내는 기계)가 짙은 안개 속에서도 강렬한 빛을 내뿜었다.

    그 모습을 바로 아래에서 바라보니 영화 속 특수효과의 세계에 온 듯 기이한 느낌이 들었다. 말로 표현하기 힘든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이었다. 행여나 있을지 모를 길 잃은 배들을 위해 등대는 그렇게 눈을 껌벅이며 밤을 지켰다.

    ‘등대지기’(공식명칭은 등대원) 경력 24년째인 장명수 소장(55)은 음파표지기 등 장비를 점검한 뒤 바깥으로 나가 등대를 살폈다. 이처럼 안개가 심한 날엔 55초마다 5초간 울리는 음파표지(전기나팔)도 작동시켜야 한다. 등대와 맞붙어 있는 전기나팔은 소리가 4km 정도 떨어진 곳까지밖에 미치지 못하지만 연안의 고깃배들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긴요한 역할을 한다. 누구 하나 알아주지 않는 등대원 노릇이지만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켜온 장소장은 안개가 많이 끼는 이런 날엔 특히 신경이 날카로워진다.

    “옛날에는 이런 날 배들이 암초에 걸려 사고가 나곤 했지요. 요즘엔 등대에서 빛을 내보내는 광파표지뿐 아니라 음파표지, 전파표지까지 내보내 악천후 속에서도 배들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만 그래도 안심할 수 없는 날입니다.”

    항로표지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먼바다를 다니는 배들에게는 단순히 빛만 비추는 광파표지의 의미가 퇴색돼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옛날에는 어부들이 바다 한가운데에 그물을 던져두고 별의 위치로 다시 그곳을 찾아갔다지만 요즘엔 성능 좋은 DGPS(위성항법보정시스템)를 도입해 자신이 던진 그물의 위치를 거의 정확히 찾아갈 수 있다. 이 시스템의 오차범위는 1m 이내. 등대원들 사이에서도 “웬만한 배에는 다 자동항법장치가 있어 등대가 필요 없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연안 여객선이나 고기잡이배들에게 반짝이는 등대는 집으로 돌아가는 항로의 길잡이다. 캄캄한 밤, 등대 불빛은 어부들에게 심리적으로 커다란 위안이 된다. 해상 물자동원량이 많은 선진국일수록 등대 등 항로표지기 개수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등대의 중요성이 줄어드는 게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유인등대 43 ·무인등대 519기 가동중

    울산에서 남쪽으로 40여분 달리면 닿을 수 있는 간절곶에는 높이 17m의 백색 팔각형 등대가 주변 해맞이 조각공원에 설치된 조형물들과 어우러져 한 점의 조각품처럼 자리잡고 있다. 1920년에 건립된 이 등대는 동해 남부 연안을 지나는 선박들의 안전항해를 돕고 있다. 1903년 6월1일 인천 앞바다 팔미도 등대에서 처음 점등을 시작한 이래 올해로 100년을 맞이한 한국의 등대 역사에 비춰봐도 이곳의 역사는 결코 짧지 않다.

    동해 먼바다를 항해하는 어부들이 동북이나 서남에서 이곳을 바라보면 긴 간짓대처럼 보인다 해서 ‘간절(艮絶)’이라 불렸다. 육지가 바다 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곶(串)으로 아기자기한 기암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정초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아침 7시31분17초) 해가 솟는다고 해서 2000년 1월1일 새천년 맞이 행사가 성대하게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동해안에 해돋이 명소가 여러 곳 있지만 이곳에 특별히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이 많다. 요즘도 주말이면 해맞이를 위해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든다.

    밤바다에 띄우는 희망의 빛

    간절곶 조각공원. 14.5m 높이의 학 모양의 등대인 몽하도 등대. 호미곶의 등대박물관 내부(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일반인을 위해 개방하는 등대 숙소의 이름도 해를 맞이하는 정자라는 뜻의 ‘일영정(日迎亭)’. 2층 벽돌집 형태의 이 숙소는 요즘 유행하는 펜션처럼 깔끔하다. 이곳을 다녀간 부산의 한 회사원은 “등대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조용히 자신을 바라보고, 불쑥 솟아오르는 아침해에 희망을 담을 수 있다면 더없이 좋은 여행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영정에 짐을 풀고 해돋이를 볼 심산이었다. 그러나 장소장은 밤에 짙은 안개가 끼는 날이면 다음날 해돋이를 보기 어렵단다.

    요즘 해 뜨는 시각은 새벽 5시17분 어름. 해돋이를 봐야 한다는 생각에 밤새 잠을 설쳤다. 해 뜨는 시각에 깨어나 보니 새벽 안개가 바다를 감싸고 있었다. 동녘은 희끄무레하게 밝아왔지만 붉은빛은 어디에도 없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등대는 빛을 감췄다. 요즘 등명기는 일몰시간을 감지하고 빛을 냈다가 일출시간에 빛을 거둘 수 있도록 고안돼 있다고 한다.

    오전 8시가 넘어서야 바다는 푸른빛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안개가 걷히고 바다가 완전한 자태를 드러냈다. 등대 전망대에 올라서 바다를 바라보자 가슴이 탁 트였다. 머릿속에 켜켜이 쌓였던 일상의 소소한 스트레스까지 씻은 듯이 사라지는 느낌이 들었다. 바다에 와서 좋은 이유 셋 가운데 세 번째, 바다 바라보기를 끝낸 셈이다. 두 번째 좋은 것은 바다에서 배를 타는 것, 그리고 으뜸은 바다 위를 걷는 것이라고 누군가 말했다.

    평일이라 그런지 해맞이공원은 한산했다. 데이트를 즐기는 연인 몇 쌍이 눈에 띄었고, 국토순례에 나선 울산 성서고교 학생 100여명이 공원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학생들을 인솔한 오수용 교사(51)는 “아이들에게 등대의 정취를 느끼게 해 우리 지역에 이처럼 아름다운 곳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애향심도 고취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2000년 해맞이 행사 이후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들자 울산해양수산청은 이곳을 야외 조각공원으로 조성했다. 여러 가지 조각품과 꽃밭을 주변 풍경과 어울리게 꾸몄다. 주말에는 야외결혼식장으로도 애용되고 있고, 인근에 진하해수욕장과 울산온천 등이 있어 이곳과 연계관광을 하는 이들도 많다. 사람들이 많이 몰리자 포장마차와 식당도 생겨났다. 고래고기와 과매기, 잔치국수 따위를 파는 음식점들은 호시절을 만나 성업중이다. 전국에 소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등대는 간절곶을 비롯해 부산 영도, 울산 울기, 경주 송대말, 제주마라도 등대 등 6곳.

    장소장은 “주말엔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들어 주변을 오염시키고 교통체증을 유발한다”며 “해맞이공원이 조성되기 전까지만 해도 서정적인 정취가 있었는데 그런 것이 사라져가는 듯해 아쉽다”고 말했다.

    장소장 외에 간절곶 등대에 근무하는 이는 등대원 변문섭씨(52)와 엄일환씨(34). 1일 3교대(한 사람이 휴가중일 때는 2교대)로 근무하는 이들은 모두 가족과 떨어져 등대의 직원숙소에서 머물고 있다. 휴가 때만 가족을 찾아가기 때문에 이들의 가장 큰 적은 외로움. 그러나 이들은 육지 등대에서의 외로움은 외로움 축에도 들지 못한단다. 무인도 등대에서 10년 가까이 보냈던 변씨는 “그곳에서는 갈매기만 봐도 반가울 정도로 사람이 그립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소흑산도, 팔미도, 어청도 등 절해고도의 등대에 근무하는 이들은 우선 식수와 음식 때문에 힘들어한다. 게다가 아이들 취학문제 등으로 가족과 헤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문화적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하고 지내야 한다. 이처럼 인간적인 생활을 누리지 못하다 보니 근무 희망자도 적어 해양수산부는 뭍에서 많이 떨어진 섬의 유인등대를 점차 무인등대로 교체하고 있는 중이다.

    밤바다에 띄우는 희망의 빛

    봄꽃이 만발한 홍도 등대 주변 정경(왼쪽).국내에서 가장 높은 32m의 화암추 등대.

    국내의 유인등대 43기(무인등대 519기)에 근무하는 등대직 공무원은 모두 163명. 대부분은 섬과 육지를 오가며 순환근무를 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등대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사람은 포항해양수산청 송대말 등대의 정말용 등대장으로 33년을 근무했다. 인천해양수산청의 소청도 등대에 근무하고 있는 백원경씨는 3대째 등대직을 이어받고 있다.

    등대박물관이 있는 포항시 남구 대보면 호미곶(이전 장기곶)에 가면 이런 등대원들의 삶에 대한 다양한 기록들이 전시돼 있다. 또한 항로표지용품과 해양 관련 자료 320종, 531점(실제 구비자료 3588점)을 볼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 가면 좋은 경험이 된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이곳을 찾은 관광객은 44만5890명. 관광객 수는 나날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

    박물관 바로 옆엔 국내에서 유일한 지방문화재인 호미곶 등대가 자리잡고 있다. 굴뚝 모양의 8각형 입체물인 26.4m 높이의 이 등대는 다른 고층건물과 달리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쌓아올린 독특한 건물이다. 청일전쟁 당시 호미곶 앞바다를 지나던 일본 선박이 이곳에서 좌초된 뒤 1908년 일본측이 설치했다.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최동단인 호미곶은 역사적·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역사적으로 이곳은 해돋이의 명소였다. 육당 최남선은 이곳을 호랑이 꼬리(호미)라 이름 붙이고 영일만(지금의 호미곶 일대) 일출을 조선 십경 중 하나로 꼽았다. 동국여지승람의 ‘영일현 편’에서도 이곳을 해맞이 고장으로 기록하고 있다.

    김정호는 ‘대동여지도’에서 호미곶을 한반도 최동단으로 표기했다. 호랑이는 꼬리로 돌진할 때 몸의 균형과 스피드를 조절하고, 꼬리로 희로애락을 표현한다. 그런 의미에서 풍수학자들은 이곳이 한반도의 기운이 집중된 곳이라고 한다. 일제는 이곳을 토끼꼬리로 비하하고 그 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쇠못을 박았다. 새해 첫날 호미곶의 해 뜨는 시각은 간절곶보다 1분 정도 늦지만 그 상징성은 간절곶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간절곶과 호미곶에 들러보면 바다가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바다와 선박, 등대와 등대지기, 육지와 바다가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체처럼 느껴진다. 그 중심에 바다를 지키는 등대가 있다.

    이처럼 중요한 등대가 우리 삶에 자리잡은 지 올해로 100년이 됐다. 해양수산부는 등대 도입 100주년을 맞아 국민들에게 바다를 사랑하는 정신을 갖게 하고, 해양 교통안전의 중요성을 홍보하기 위해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중이다. 등대 100년사 발간, 기념등대 조형물 건립(팔미도, 영도 등대),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11월), 등대 100주년 기념 사진·미술·글짓기 공모전(7월1~30일), 기념우표 발행 등을 계획하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