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03

..

테러는 ‘미디어’를 먹고 큰다

주목 끌고 명분 알리며 정당성 추구 … 극적 연출로 효과적 메시지 전달

  • < 김 당 기자 > dangk@donga.com

    입력2004-12-22 15:5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테러리즘 연구가들은 테러리즘이 본질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행위라 주장한다. 즉, 테러행위의 목적이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있다는 전제하에서 그 행위를 메시지로 정의한다. 이때 테러리스트들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미디어를 의도적으로 조작하려 하며 특정 수용자를 겨냥해 자신들이 원하는 행태적 반응을 이끌어 내려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1964년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스라엘에 대항해 팔레스타인 국가건설을 위한 전투조직으로 창설한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는 민족해방과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매스미디어를 테러리즘에 본격적으로 이용한 최초의 단체였다. 아랍인은 67년 6일전쟁에서 이스라엘에 패하자 전면적 무력투쟁으로 이스라엘에 대항할 수 없으며 세계에 팔레스타인 문제를 알리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유일한 방법은 테러리즘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가장 효과적이고 극적인 방법의 테러리즘 유형으로 이제는 ‘테러의 고전적 수법’이 된 항공기 납치를 자행하기 시작했다.

    테러리즘과 매스미디어의 밀접한 상관관계는 “만약 미디어가 테러리스트들의 행위를 보도하지 않고 그들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설명하지 않는다면 테러리즘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는 영국의 저널리스트 제임스 오설리번의 주장에서 엿볼 수 있다. 테러리스트들은 좀더 ‘스펙터클한 뉴스’를 좇는 텔레비전의 톱뉴스와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기 위해 더 극적이고 폭력적 행위를 치밀하게 연출하고 미디어를 이용하려 든다. 이를테면 75년 크리스마스 때 비엔나에서 석유수출국기구(OPEC) 장관들을 납치한 카를로스는 OPEC 본부 건물에 텔레비전 카메라가 도착할 때까지 인질들과 함께 기다리기도 했다.

    테러리즘에 대한 미디어 보도는 공중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 두려움의 전파 외에도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얻기도 한다. 언론은 테러리스트들과 그들의 잔혹 행위에 대한 인터뷰나 보도를 통해 테러리스트들에게 상당한 지위와 합법성의 암시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 미국을 강타한 ‘민간 여객기 납치 연쇄충돌 테러’의 배후조종 인물로 지목 받는 오사마 빈 라덴의 경우 98년 11월 미국의 ABC 방송과 ‘타임’ 그리고 파키스탄의 ‘더 뉴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연줄 좋은 저널리스트 라히물라 우수프자이를 아프가니스탄의 헬맨드 지역에 있는 자신의 캠프로 불러 4시간 동안 인터뷰했다. 이번 대참사를 계기로 방영하는 빈 라덴의 사진과 비디오 테이프는 상당 부분 그때 촬영한 것이다.

    PLO가 최초로 이용 … 테러 후 편지 등으로 메시지 남겨



    미디어와 테러리즘 연구자들에 따르면 뉴스 보도에 의존하는 테러리스트들의 보편적 목적은 앞에서 살펴보았듯 △주목 끌기 △요구사항과 명분 알리기 △사회적 지휘 획득과 정당성 추구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런데 주목할 사실은 이번 테러 대참사의 표적이 된 세계무역센터(WTC)는 지난 93년 2월에 이미 이런 목적의 대상이 된 바 있다는 점이다. 당시 WTC 폭발사건 사망자는 6명에 그쳤지만 테러범들은 ‘우리는 언제라도 너희들을 죽일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통해 주목 끌기를 시도했다. 또 당시 폭발사건 이후 ‘뉴욕타임스’는 ‘해방군 제5대대’라고 밝힌 발신자에게서 편지를 한 통 받았다. 이 편지에서 그들은 폭발사건의 이면에 담긴 자신들의 불만과 주의주장을 설명하면서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군사·정치·경제적 원조 중단 △이스라엘과의 모든 외교관계 단절 △모든 중동국가들의 국내 사건에 대해 미국이 간섭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것 등 세 가지 요구사항을 적시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편지를 수사기관에 보내고 용의자들이 여럿 체포된 시점인 한 달 뒤에 그 내용을 보도했다.

    지난 9월11일 발생한 ‘검은 화요일’의 대참사는 다른 테러와 달리 요구사항과 명분 그리고 주모자를 밝히지 않은 ‘얼굴 없는 테러’라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2차 테러 가능성을 예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되돌아보면 93년 폭발테러는 이번 대참사의 ‘예고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