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에 명산물이 없는 게 아니다.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그것은 안개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오면, 밤새 진주해 온 적군들처럼 안개가 무진을 삥 둘러싸고 있는 것이었다. 무진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도 안개에 의하여 보이지 않는 먼 곳으로 유배당해 버리고 없었다. 안개는 마치 이승에 한(恨)이 있어서 매일 밤 찾아오는 여귀(女鬼)가 뿜어내 놓은 입김과 같았다. 해가 떠오르고, 바람이 바다 쪽에서 방향을 바꾸어 불어오기 전에는 사람들의 힘으로서는 그것을 헤쳐 버릴 수가 없었다.
손으로 잡을 수 없으면서도 그것은 뚜렷이 존재했고, 사람들을 둘러쌌고, 먼 곳에 있는 것으로부터 사람들을 떼어놓았다. 안개, 무진의 안개, 무진의 아침에 사람들이 만나는 안개, 사람들로 하여금 해를, 바람을 간절히 부르게 하는 무진의 안개, 그것이 무진의 명산물이 아닐까? ….”60년대 당시 “감수성의 혁명을 일으켰다”는 찬사를 받았던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霧津紀行)의 일부다. 물론 소설 속의 무진은 가상의 공간이다. 하지만 늦은 가을철의 동틀 무렵에 순천만의 대대포(大垈浦)에서 무성한 갈대밭 위로 피어오르는 물안개를 바라보노라면 그 소설 속의 풍경이 머리 속에 또렷하게 그려진다.
은빛으로 일렁거리는 드넓은 갈대밭, 그 갈대밭 사이로 뱀처럼 구불거리는 물길, 물길과 갈대밭 위로 스멀거리는 물안개 등의 환상적인 어울림이 소설보다 더욱 소설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제로 순천에서 성장한 작가도 이곳 동천 하류의 갈대밭과 대대포를 ‘무진기행’의 배경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무진의 명산물은 안개가 아니라 갈대밭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개는 어디서나 흔히 만날 수 있지만 이처럼 풍치 좋은 갈대밭은 달리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순천시 교량동과 대대동, 해룡면의 중흥리 해창리 선학리 등에 걸쳐 있는 순천만 갈대밭의 총 면적은 약 15만평. 순천시내를 관통하는 동천과 순천시 상사면에서 흘러온 이사천의 합수 지점부터 하구에 이르는 3km쯤의 물길 양쪽이 죄다 갈대밭으로 뒤덮여 있다. 그것도 드문드문 떨어져 있거나 성기게 군락을 이룬 여느 갈대밭과는 달리, 사람의 키보다 훨씬 더 웃자란 갈대들이 빈틈없이 밀생(密生)한 갈대밭이다. 갈대 군락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한다.
갈대는 억새와 마찬가지로 볏과에 속하는 식물로 8~9월에 꽃을 피웠다가 10~11월경에 씨앗을 맺는다. 그러므로 이맘때쯤의 늦가을에 갈대 줄기의 끄트머리마다 솜털뭉치처럼 매달려 있는 것은 꽃이 아니라 씨앗이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꽃을 매달고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지만 억새와 갈대는 씨가 한창 여물어 가는 이즈음에 가장 볼 만하다. 북슬북슬한 씨앗의 뭉치가 햇살의 기운에 따라 은빛 잿빛 금빛 등으로 채색되는 모습도 장관이고, 한 줄기 가녀린 바람에도 일제히 흐느적거리는 풍경도 망망한 바다에 일렁이는 물결처럼 장엄하고 아름답다.
순천시내에서 대대동으로 가다가 교량교를 건너자마자 일부러 둑길로 들어섰다. 승용차로 한참을 달렸는데도 차창 밖에 펼쳐진 갈대밭의 끝은 쉬이 드러나지 않았다. 둑길을 찬찬히 걸으며 구불거리는 물길과 광활한 갈대밭이 연출하는 풍정(風情)을 느긋하게 즐기고픈 마음도 없지는 않았으나 길이 하도 멀다 보니 엄두조차 내기가 어려웠다. 이 일대에는 갈대밭만 무성한 게 아니다. 멀리서 보면 갈대밭 일색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물억새 쑥부쟁이 등이 곳곳마다 크고 작은 무리를 이루어 자리잡고 있다. 하구의 갈대밭 저편에는 불그스레한 칠면초 군락지도 들어서 있다.
1년초인 칠면초는 주로 중부지방 이남의 갯벌에서 자라는 염습지(鹽濕地) 식물인데,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차츰 자홍(紫紅)이나 붉은빛으로 바뀌어간다. 칠면초라는 이름도 색이 일곱가지로 바뀐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흔히 들국화라 일컫는 쑥부쟁이였다. 대대포구에서 하구쪽으로 이어지는 둑길에서 만난 보랏빛 쑥부쟁이 무리는 바쁜 걸음을 한동안 붙잡아둘 만큼 꽃빛이 선명하고 꽃부리도 탐스러웠다.
둑길을 서성이며 곱게 핀 쑥부쟁이를 넋놓고 바라보는데 요란한 새 울음소리가 들렸다. 소리가 들리는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니 수십마리의 흑두루미가 우아한 자태를 한껏 드러내며 일제히 날아오르고 있었다. 50마리는 족히 될 성싶은 흑두루미떼는 대대동 일대의 평야 위를 잠깐 동안 선회하다가 남쪽으로 사라져 버렸다.
이곳에는 흑두루미 이외에도 재두루미 황새 저어새 검은머리물떼새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희귀조류가 간혹 발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희귀조류 이외에도 도요새 청둥오리 혹부리오리 기러기 등을 포함해 약 140종의 새들이 이곳 순천만 일대에서 월동하거나 번식한다고 한다.
순천만의 갈대밭을 금빛으로 물들이는 일몰과 대대포의 환상적인 새벽 안개를 모두 감상하려면 천상 그 근처에서 하룻밤을 묵어야만 한다. 그럴 때에는 번잡한 순천시내보다는 한적한 소읍인 보성군 벌교읍내에서 묵는 게 좋다. 벌교에서 대대포까지는 차로 20여분만에 다다를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다. 귀로에는 낙안읍성 민속마을과 선암사를 들러볼 만하다.
손으로 잡을 수 없으면서도 그것은 뚜렷이 존재했고, 사람들을 둘러쌌고, 먼 곳에 있는 것으로부터 사람들을 떼어놓았다. 안개, 무진의 안개, 무진의 아침에 사람들이 만나는 안개, 사람들로 하여금 해를, 바람을 간절히 부르게 하는 무진의 안개, 그것이 무진의 명산물이 아닐까? ….”60년대 당시 “감수성의 혁명을 일으켰다”는 찬사를 받았던 김승옥의 소설 ‘무진기행’(霧津紀行)의 일부다. 물론 소설 속의 무진은 가상의 공간이다. 하지만 늦은 가을철의 동틀 무렵에 순천만의 대대포(大垈浦)에서 무성한 갈대밭 위로 피어오르는 물안개를 바라보노라면 그 소설 속의 풍경이 머리 속에 또렷하게 그려진다.
은빛으로 일렁거리는 드넓은 갈대밭, 그 갈대밭 사이로 뱀처럼 구불거리는 물길, 물길과 갈대밭 위로 스멀거리는 물안개 등의 환상적인 어울림이 소설보다 더욱 소설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제로 순천에서 성장한 작가도 이곳 동천 하류의 갈대밭과 대대포를 ‘무진기행’의 배경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무진의 명산물은 안개가 아니라 갈대밭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개는 어디서나 흔히 만날 수 있지만 이처럼 풍치 좋은 갈대밭은 달리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순천시 교량동과 대대동, 해룡면의 중흥리 해창리 선학리 등에 걸쳐 있는 순천만 갈대밭의 총 면적은 약 15만평. 순천시내를 관통하는 동천과 순천시 상사면에서 흘러온 이사천의 합수 지점부터 하구에 이르는 3km쯤의 물길 양쪽이 죄다 갈대밭으로 뒤덮여 있다. 그것도 드문드문 떨어져 있거나 성기게 군락을 이룬 여느 갈대밭과는 달리, 사람의 키보다 훨씬 더 웃자란 갈대들이 빈틈없이 밀생(密生)한 갈대밭이다. 갈대 군락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고 한다.
갈대는 억새와 마찬가지로 볏과에 속하는 식물로 8~9월에 꽃을 피웠다가 10~11월경에 씨앗을 맺는다. 그러므로 이맘때쯤의 늦가을에 갈대 줄기의 끄트머리마다 솜털뭉치처럼 매달려 있는 것은 꽃이 아니라 씨앗이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꽃을 매달고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지만 억새와 갈대는 씨가 한창 여물어 가는 이즈음에 가장 볼 만하다. 북슬북슬한 씨앗의 뭉치가 햇살의 기운에 따라 은빛 잿빛 금빛 등으로 채색되는 모습도 장관이고, 한 줄기 가녀린 바람에도 일제히 흐느적거리는 풍경도 망망한 바다에 일렁이는 물결처럼 장엄하고 아름답다.
순천시내에서 대대동으로 가다가 교량교를 건너자마자 일부러 둑길로 들어섰다. 승용차로 한참을 달렸는데도 차창 밖에 펼쳐진 갈대밭의 끝은 쉬이 드러나지 않았다. 둑길을 찬찬히 걸으며 구불거리는 물길과 광활한 갈대밭이 연출하는 풍정(風情)을 느긋하게 즐기고픈 마음도 없지는 않았으나 길이 하도 멀다 보니 엄두조차 내기가 어려웠다. 이 일대에는 갈대밭만 무성한 게 아니다. 멀리서 보면 갈대밭 일색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물억새 쑥부쟁이 등이 곳곳마다 크고 작은 무리를 이루어 자리잡고 있다. 하구의 갈대밭 저편에는 불그스레한 칠면초 군락지도 들어서 있다.
1년초인 칠면초는 주로 중부지방 이남의 갯벌에서 자라는 염습지(鹽濕地) 식물인데,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차츰 자홍(紫紅)이나 붉은빛으로 바뀌어간다. 칠면초라는 이름도 색이 일곱가지로 바뀐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흔히 들국화라 일컫는 쑥부쟁이였다. 대대포구에서 하구쪽으로 이어지는 둑길에서 만난 보랏빛 쑥부쟁이 무리는 바쁜 걸음을 한동안 붙잡아둘 만큼 꽃빛이 선명하고 꽃부리도 탐스러웠다.
둑길을 서성이며 곱게 핀 쑥부쟁이를 넋놓고 바라보는데 요란한 새 울음소리가 들렸다. 소리가 들리는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니 수십마리의 흑두루미가 우아한 자태를 한껏 드러내며 일제히 날아오르고 있었다. 50마리는 족히 될 성싶은 흑두루미떼는 대대동 일대의 평야 위를 잠깐 동안 선회하다가 남쪽으로 사라져 버렸다.
이곳에는 흑두루미 이외에도 재두루미 황새 저어새 검은머리물떼새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희귀조류가 간혹 발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희귀조류 이외에도 도요새 청둥오리 혹부리오리 기러기 등을 포함해 약 140종의 새들이 이곳 순천만 일대에서 월동하거나 번식한다고 한다.
순천만의 갈대밭을 금빛으로 물들이는 일몰과 대대포의 환상적인 새벽 안개를 모두 감상하려면 천상 그 근처에서 하룻밤을 묵어야만 한다. 그럴 때에는 번잡한 순천시내보다는 한적한 소읍인 보성군 벌교읍내에서 묵는 게 좋다. 벌교에서 대대포까지는 차로 20여분만에 다다를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다. 귀로에는 낙안읍성 민속마을과 선암사를 들러볼 만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