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정리하면 5월 접촉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앞 테이블의 논의를 다음 테이블로 물 흐르듯 연결하지 못했다는 겁니다. 결국 5월 접촉에 참여한 국정원 홍창화 국장에게로 초점이 모아지는 이유입니다. 대통령 비서관이 참석했으니 주도권을 행사할 수는 없겠지만 이를 연결할 책임은 11월 논의를 담당했던 국정원의 대표가 맡아야 할 몫이기 때문입니다.
홍 국장은 이전 정부에서 남북 접촉을 도맡았던 옛 국정원 대북전략국 멤버는 아니라고 알려졌습니다. 김보현-서영교-서훈으로 이어지는 대북전략국 라인은 2000년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며 ‘스타’로 떠올랐고 노무현 정부에서도 그 후계자들이 바통을 이어받았죠. 그러나 이명박 정권 출범 후 국정원 조직을 개편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대부분 대북 업무에서 떠났습니다. 정권 핵심 인사들은 “간첩을 잡아야 할 정보기관이 대화를 맡는 것은 문제”라고 했지만 ‘이전 정부의 부역자’라는 정서적 반감도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