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78

2015.03.09

“588에서 함께 삶의 고비를 건넜던, 그리운 얼굴들”

1980년대 홍등가 풍경 찍은 사진작가 조문호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입력2015-03-06 15:5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588에서 함께 삶의 고비를 건넜던, 그리운 얼굴들”
    1983년, 사내는 서른여섯 살이었다. 뒤늦게 시작한 사진 작업에 빠져 시골 살림을 정리하고 서울에 온 지 1년쯤 된 참이었다. ‘월간사진’ 편집장을 맡으며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가족의 이해는 얻지 못했다. 지독한 가난과 남편의 무심함에 지친 아내는 아이를 데리고 고향으로 떠나버렸다.

    “생각해보면 삶의 나락이었죠. 그때 여기서 위로와 안식을 얻었어요.”

    어느새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가 된 사내와 바로 그곳,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588번지(답십리로 11길) 근처 한 카페에서 마주 앉았다. 당시 서울 제일의 홍등가로 손꼽히던 곳, 30여 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젊은 여인들이 색색의 등불 아래 서서 오가는 사내들을 불러들이고 있는 이른바 ‘588’이다.

    조문호 작가(사진)는 젊은 날 그 거리에서 자신의 소매를 붙드는 여인들과 인연을 맺었다. 신세타령 듣고 속내를 나누다 몸과 마음까지 주고받았다. 그렇게 1년여간 부대낀 기록을 동아미술제에 출품해 1985년 사진 부문 대상을 받았다. 조 작가를 만난건 당시 기록들을 모아 지금 서울 종로에서 사진전 ‘청량리 588’을 열고 있기 때문이다. 눈빛출판사에서 같은 제목의 사진집도 펴냈다.

    588의 직업인



    “588에서 함께 삶의 고비를 건넜던, 그리운 얼굴들”

    조문호 사진작가의 사진 속에는 1980년대 ‘588’에서 살아가던 이들의 민낯이 생생히 담겨 있다.

    30년 전 그가 남겨둔 기록의 더께를 열었다. 그 안에 담긴 건 누구나 볼 수 있는 뻔한 뒷골목 풍경이 아니다. 우리 사회의 그늘 중에서도 가장 음습한 곳, ‘집창촌’이라 불리는 그 거리에서 먹고 자고 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이 만져질 듯 생생히 담겨 있다. 조 작가는 “그해 동아미술제 사진 주제가 ‘직업인’이었다. 나는 ‘588 여인들’이야말로 이 주제에 적합한 피사체라고 여겼고, 그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꾸밈없이 찍고자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의 카메라 앞에 선 여인들은 열심히 ‘일’하고, 대가로 받은 돈으로 생계를 꾸리며, 남는 것은 알뜰히 모아 고향 어머니에게 부치던 이들이었다. 한 여인은 그의 작업에 대한 얘기를 듣고 “직업인이라는 주제가 마음에 든다”며 “여기서 일하는 게 다른 건 다 괜찮은데 나를 구더기처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견디기 힘들다”고 털어놓았다.

    이들의 도움 덕에 조 작가는 여인들이 손님을 기다리고 화장을 고치고 ‘직업적 노동’을 수행하는 순간의 모습까지 렌즈에 담았고, 그중 6점을 동아미술제에 출품했다. 1985년 3월 19일자 ‘동아일보’는 조 작가의 동아미술제 대상 수상 소식을 전하며 ‘‘홍등가’는 감히 어느 사진가가 손대기 어려운 상황 하의 직업인을 심층적으로 깊이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사진이었다’고 평했다.

    그동안 어느 누구도 촬영하지 못한 뒷골목 사람들의 삶을 낱낱이 기록한 건 분명히 작업의 장점이었을 것이다. 그중 몇몇 작품은 센세이셔널하기도 하다. 그러나 많은 사진 중에서 가장 눈에 띈 건 오히려 꽃무늬 원피스를 입고 차분히 앉은 채 정면으로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는, 마치 렌즈 너머 작가를 응시하는 듯 보이는 한 여인의 표정이었다. 조 작가는 그 사진을 한동안 물끄러미 바라보다 “이 아이가 바로 정숙이”라고 했다. 처음 그의 작업에 공감을 표했고, 친구들을 소개하며 적극적으로 응원해준, 조 작가가 지금도 잊지 못하는 한 여인의 이름이다. 조 작가는 최근 펴낸 사진집 서문에 ‘정숙아! 혜련아! 당신들의 모습이 담긴 이 사진집을 혹시 보게 되면 내게 연락 한 번 주렴. 내 비록 거지 처지일지라도 소주 한 잔 살게’라는 편지를 남겼다. 그는 인터뷰를 마치고 함께 청량리 거리를 걸으면서도 “혹시 정숙이가 여기서 뭐라도 하며 살고 있는 건 아닌가 몰라요” 하며 주위를 휘휘 둘러보곤 했다.

    한국 현대사의 뒷골목

    “우리는 그 시절, 이 작업을 통해 588에서 일하는 여인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없앨 수 있기를 바랐어요. 하지만 현실의 벽이 높았죠. 1990년 프랑스문화원에서 ‘전농동 588번지 기록전’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전을 열면서 이 여인들을 초대한다고 하자 언론의 관심이 온통 여인들에게만 집중됐어요. 결국 아무도 전시회에 오지 못했고, 제 시도가 실패했다는 걸 인정해야 했습니다.”

    그날 이후 조 작가는 588에 가지 않았다고 했다. ‘정숙이’도 만나지 못했다. 자신의 의도가 세상 안에서 왜곡돼 그들에게 상처로 남는 것이 싫었기 때문이다. 그 기억 때문에 그동안 촬영한 사진과 필름도 꺼내 보지 않았다. 최근 588을 다시 떠올리게 된 건, 곧 그 공간이 영영 사라진다는 소식을 들었기 때문이다.

    2012년 12월, 서울시는 전농동 588번지 일대 재정비 계획을 세웠다. 예정대로라면 2017년에는 그 자리에 60층 높이의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주상복합 마천루들이 주위를 두르게 된다. 마침 출판사로부터 사진집 출간 제의를 받은 조 작가는 이번엔 거절하지 않기로 마음먹었다. 한국 현대사의 한순간을 담은 기록으로 이 작업을 세상에 꺼내 보이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제야, 자신만큼이나 노인이 됐을 그 시절 여인들의 이름을 다시 불러본다고 했다.

    10년 전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정영신 씨와 결혼해 가정을 꾸린 그는 요즘 평생에서 가장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한다. 인생의 굴곡을 함께 건넜던 이들도 부디 행복했으면 하는 게 조 작가의 바람이다. 그리고 사진작가로서, 588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 다시 한 번 뒷골목 풍경을 기록해두고 싶다는 꿈도 갖고 있다. 이제는 30여 년 전 그 시절처럼 그들 안에 들어가 부대끼며 살아갈 수는 없겠지만, 기록자로서의 구실은 다하고 싶다고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