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77

2013.03.04

‘聖스러운 교황’ 보내주소서!

제266대 새 교황, 성추문·부패 등 개혁 과제 산재

  • 백연상 동아일보 국제부 기자 baek@donga.com

    입력2013-03-04 11: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마태복음 16장 18절)

    예수 수제자이자 로마 가톨릭교회 초대 교황인 성(聖) 베드로(본명 시몬)가 예수 뜻을 받들어 교회를 세운 지 2000년이 흘렀다. 베드로부터 베네딕토 16세에 이르기까지 가톨릭 최고위 성직자 교황 265명은 신 대리인으로서 존경을 한몸에 받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비난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베네딕토 16세는 1415년 제205대 교황 그레고리우스 12세 이후 598년 만에 처음으로 선종(善終) 이전 사임하는 교황이 됐다. 조만간 선출될 제266대 교황은 사제 성추문 스캔들, 교황청 내 부패 문제 등 교회가 안고 있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고 본래의 ‘성(聖)스러움’을 회복해야 할 의무를 진다. 이런 점에서 전문가들은 차기 교황이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시기에 취임하는 교황이 되리라고 본다.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시기에 취임

    가톨릭을 대표하는 성인인 성 프란체스코의 고향이기도 한 이탈리아 중부 도시 아시시에는 ‘천사들의 성모마리아 대성당’이 있다. 이곳 ‘장미 정원’은 순결을 상징하는 장소로 유명하다. 차디찬 한겨울밤 다락방에서 홀로 기도하던 프란체스코는 강한 성적 욕구를 느낀다. 성욕으로 육신과 정신을 더럽히길 원치 않던 그는 밖으로 나가 옷을 전부 벗은 후 정원 가시덤불 속으로 들어가 뒹굴었다. 처절한 몸부림에 가시덤불은 그의 피로 흥건해졌는데, 곧 덤불은 신의 은총을 받아 가시 없는 장미로 변했다. 현재도 이곳에서 자라는 가시 없는 장미는 그동안 가톨릭 사제와 신도에게 순결 약속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가톨릭교회는 이런 순결 약속에 문제가 생겼다는 지적을 받는다. 전 세계 언론이 연일 보도하는 가톨릭 성직자들의 성추문 사건 때문이다. 영국 가톨릭교회 최고 성직자인 키스 오브라이언 스코틀랜드 추기경은 1980년대부터 사제와 신학생들에게 부적절한 행위를 강요했다고 폭로당해 최근 대교구장직에서 물러났다. 독일, 오스트리아, 미국, 브라질, 호주 등지에서도 가톨릭 사제들의 성추문 의혹이 끊이질 않는다.



    심지어 지난해에는 도덕신학 전공자로 TV와 학교 강단 등에서 신의 가르침을 설파해 유명해진 토마스 윌리엄스 신부가 아이를 둔 아버지로 드러나 전 세계 가톨릭교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는 사제 800여 명으로 구성된 ‘그리스도의 군단’ 수도회 대변인이기도 했다. 최근 이탈리아 일간지 ‘라 레푸블리카’는 교황의 실제 사임 이유가 추기경 3명이 올린 300쪽 분량의 보고서라고 밝히면서 “이 보고서에는 로마와 바티칸 등 10곳에서 섹스 모임을 갖던 지하 성직자 동성애 모임에 관한 정보도 들어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베네딕토 16세를 비롯한 고위 성직자들은 문제를 바로잡을 생각은 않고 은폐하는 데만 급급했다는 비난을 끊임없이 들었다. 호주 ‘성직자 성학대 생존자 네트워크(SNAP)’는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아동 성폭행 성직자들의 범죄 행위를 중단시키려고 한 일이 거의 없다”고 직접적으로 비난했다. 이 단체는 2011년 전 세계 가톨릭교회에서 벌어진 성범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베네딕토 16세를 포함해 추기경 4명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기도 했다. 베네딕토 16세는 그동안 교회 내에서 벌어지는 성추문 사건에 대해 여러 번 사과했지만 비난을 피하기는 역부족이었다.

    이렇게 가톨릭교회에 대한 신뢰가 점차 떨어지면서 성직을 희망하는 지원자 수도 줄어들고 있다. 대표적인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는 사제 수가 1975년 4만2000명에서 현재 2만 명 가까이 줄어들었고, 미국 사제 수 역시 같은 기간 1만 명 가까이 감소했다.

    성직자 부족 사태가 벌어지자 일부에서는 “여성에게도 사제직을 허용하고 신부에게 결혼을 허하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성직자 400명으로 구성된 오스트리아 한 성직자 단체는 “여성에게 사제직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처사”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진보적 성향을 가진 신학자들은 “가톨릭교회 독신제도는 예수 명령이 아니라 1074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가 처음 만든 것”이라면서 “가톨릭교회도 기독교처럼 성직자들에게 결혼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베네딕토 16세는 “일부 가톨릭 성직자가 이미 명백하게 결정된 사항을 무시한다”며 이들 주장에 단호히 반대했다.

    3월 4일부터 콘클라베 논의

    지난해 5월에는 바티칸이 벌인 각종 돈세탁, 불법거래, 뇌물 관행 등을 적나라하게 적은 바티칸 문서가 세상에 공개되면서 바티리크스(바티칸과 위키리크스의 합성어) 논란이 일었다.

    문서에는 일부 고위 성직자가 외부 업체와 계약을 맺으면서 가격을 부풀리고 자신들과 친분 있는 업체만 선별해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비롯해, 바티칸 은행이 돈세탁에 관여했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이에 이탈리아 중앙은행은 교황청의 돈세탁 방지 대책 감독이 부실하다고 보고 올 1월 바티칸의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업무를 중단했다. 미 국무부도 지난해 처음으로 바티칸을 ‘돈세탁 우려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가톨릭교회 내부에 만연한 부패 문제를 뿌리 뽑으려는 개혁 움직임을 강경 보수파 성직자들이 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사임 배경을 전하면서 “그가 2009년부터 카를로 마리아 비가노 대주교를 앞세워 교황청 개혁을 추진했지만 기존 세력으로부터 큰 저항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2009년부터 바티칸 부행정처장을 지낸 비가노 대주교는 교회 내 부패문제를 조사하면서 “바티칸이 심각한 부패에 빠져 있고 자금 투자에도 의혹이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사실을 교황에게 직접 보고까지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교회 내 반개혁파의 강한 저항에 부닥치면서 결국 그는 2011년 10월 미국 워싱턴 주재 교황청 대사로 발령이 나 개혁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가톨릭교회 개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예전부터 아예 없었던 건 아니다. 지난해 선종한 카를로 마리아 마르티니 전 밀라노 교구 추기경은 “현재 가톨릭은 200년이나 시대에 뒤처졌다”며 “교황과 대주교부터 급진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종교는 원래 끊임없는 자성과 개혁을 통해 발전한다. 가톨릭 추기경단은 3월 4일부터 콘클라베(새로운 교황을 뽑는 전 세계 추기경들의 모임)를 언제 열지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제266대 교황이 탄생하는 것도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다. 전 세계 가톨릭 신도 12억 명은 새 교황이 과연 예수 뜻에 부합하는 ‘성스러운’ 새 교회를 만들 수 있을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