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17

2011.12.19

진지한 음악 성찰, 그리고 묵직한 열정

김목인의 ‘음악가 자신의 노래’

  • 정바비 bobbychung.com

    입력2011-12-19 10:1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진지한 음악 성찰, 그리고 묵직한 열정
    남자 주연배우란 대개 자신의 여자친구와 한방에 놔두고 싶지 않은 존재다. 사랑하는 여자친구를 ‘아저씨’의 원빈이나 ‘연애의 목적’의 박해일, 혹은 ‘올드 보이’의 최민식과 밀폐된 공간에 방치할 남자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간혹 그래도 될 것 같은 배우가 있다. 이를테면 유준상이 그렇다. 실없는 수작을 걸기엔 너무 진지하고, 심지 있는 목소리에 실려 나오는 정갈한 언어는 떠돌던 성적 긴장감마저 누그러뜨릴 것 같다. 불장난 따위는 보이스카우트 캠프파이어 때 이후론 안 해봤을 것 같은 배우가 유준상이다.

    음악하는 사람 중에도 유준상 같은 느낌을 주는 인물이 있다. 얼마 전 자신의 이름을 걸고 첫 번째 음반을 낸 김목인이라는 싱어송라이터가 그렇다. 그는 원래 ‘캐비닛 싱얼롱스’라는 버스킹(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관객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열리는 공연) 밴드의 리더로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버스킹이라는 용어 자체가 생소하던 2006년에 이미 이를 표방한 밴드였다. 요즘은 아예 음악축제마다 버스킹 무대가 생길 정도지만, 지금 다시 들어도 그들의 음악은 신선하다. 음악 엘리트가 자신이 발견한 새로운 영역(여기서는 2006년의 버스킹)에서 ‘관찰’과 ‘탐닉’이라는 두 축 사이의 균형을 잘 잡았다는 증거다.

    진지한 음악 성찰, 그리고 묵직한 열정
    ‘음악가 자신의 노래’라는 앨범 제목에서 드러나듯, 솔로 음반에서 김목인의 관찰과 탐닉의 대상은 이제 특정 장르나 표현방식이 아닌, 음악가 혹은 음악 자체로 옮겨 갔다. 그는 ‘누구나 좋아하지만 누구나 집안에 들여놓고 싶어 하진 않는’ 음악가란 직업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고(수록곡 ‘음악가, 음악가란 직업은 무엇인가’), 누가 연주했고 뭘 연주했는지는 상관없이 불시에 찾아오는 에피파니(epiphany)의 순간을 경외하듯 곱씹는다(‘뮤즈가 다녀가다’). ‘마치 존재하지 않는 듯 조용히 목소리를 낮추고 모든 걸 음악의 문제로 돌려둔 채 뒤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음악 신(scene)을 2인칭 시점으로 호명하는 ‘씬’같은 곡은 관찰자로서 그의 시선이 이제 하나의 경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의 솜씨가 차가운 ‘관찰’ 기록에 그쳤다면 이 음반은 또 하나의 갤러리 오프닝용 음악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포크 송이나 탱고, 집시음악 등의 장르는 물론, 뮤지컬이나 버스킹 같은 다양한 표현양식에 대한 애정을 이 음반에 듬뿍 담아놓았다. 음반을 차분히 듣고 있으면, 그가 특유의 맑고 올곧은 선비의 음성으로 “제가 이런 음악을 듣다 보니 정말 좋아서요”라고 말을 건네 오는 듯하다. 스스로가 자기 음악을 만끽하고 있다는 인상에 미소 짓는 동안, 음악가로서 그가 살아온 그간의 여정이 응축된 듯 묵직한 목 넘김이 뒤따르는 것이다.

    진지한 음악 성찰, 그리고 묵직한 열정
    텔레비전만 틀면 핫팬츠 차림으로 엉덩이를 흔드는 걸그룹을 볼 수 있는 세상이다. 그들이 부족의 다산을 기원하며 춤을 추는 건 아닐 것이다. 고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성적 긴장감을 환기하지 않는 대중예술이란 게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뭐, 그래도 좋지 않은가. 고민하고 성찰한 다음 천천히 입을 떼는 음악가, 여자친구랑 한방에 놔두어도 안심이 되는 인디 뮤지션이 한 명쯤은 있어도 말이다. 검색해보니 유준상도 (비록 대박은 없지만) 영화 한 편 허투루 찍은 게 없더라.



    *정바비는 1995년 인디밴드 ‘언니네이발관’ 원년 멤버로 데뷔한 인디 뮤지션. ‘줄리아 하트’ ‘바비빌’ 등 밴드를 거쳐 2009년 ‘브로콜리 너마저’ 출신 계피와 함께 ‘가을방학’을 결성, 2010년 1집 ‘가을방학’을 발표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