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76

2009.03.10

“우리 농어촌, 그 촌스러움이 경쟁력”

섬진강 시인 김용택이 말하는 村의 문화 코드

  •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09-03-04 12:2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농어촌, 그 촌스러움이 경쟁력”

    ‘섬진강’시인 김용택 선생은 ‘촌의 박물관화’를 제의했다.

    요즘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가 전 국민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다. 팔순 농부와 마흔 살 난 소의 우정을 그린 이 작품은 국내 다큐영화 사상, 또한 독립영화로는 처음으로 100만 관중을 뛰어넘었다.

    그런데 정작 ‘워낭소리’의 흥행에 불을 지핀 건 장년층이 아니라 20, 30대 관객이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 고민해본 적 없었을 이들이 이 영화를 보며 울고 웃는 이유는 뭘까. 영화 전문가들은 영화의 주제가 소와 농부의 우정, 팔자타령만 하는 농부의 아내라고 하지만, 진짜 주인공은 사라져가는 농촌의 풍광과 농민의 삶, 그리고 그 배경인 자연이다. 날로 각박해지고 권모술수가 판치는 도시에서 관객은 대자연과 어우러진, 또 거기에 순응하는 농촌과 농민의 순박한 모습을 스크린에서 마주하며 잔잔한 감동을 느낀다.

    그래서 ‘워낭소리’의 흥행 성공은 잊혔던 농촌과 농민의 가치에 대한 도시민의 새로운 인식 또는 재발견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 문화·산업적 화두로 떠오른 ‘그린(Green)’, 환경친화적 ‘자연’은 사실 우리 옛 농촌의 모습 그 자체다. 과연 21세기 우리 농촌이 지닌 문화적 가치는 무엇일까. 한평생 촌에서 살며 촌아이들을 가르치고 촌에 대한 시를 써온 ‘섬진강’ 시인 김용택(61) 선생에게 그 실체에 대해 물어봤다. 그는 농촌의 문화적 가치에 대해 할 말이 많았다.

    도시인들, 사라진 원형질에 대한 향수

    “우리 농촌엔 우리만이 가진 고유한 문화와 정서가 있습니다. 사실 자연의 생태와 순환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농촌과 농민의 삶은 굉장히 세련됐죠. 같이 먹고 같이 일하는, 일과 놀이가 섞여 있는 삶입니다. 그걸 공동체라고 하는데, 그 안에는 어떤 일도 공동체가 책임지는 문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개인주의로 나만의 욕심을 채우는 사람은 그 안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었어요. 그들은 자연과 생태의 순환을 체득하면서 자연스럽게 알고 있었죠. 사실은 농민들의 삶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원형입니다.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는 녹색성장이라든지 자연친화 개념을 그들은 지금껏 철저하게 지키면서 살아왔던 거죠.”



    도시인들이 영화 ‘워낭소리’에 열광하는 이유가 뭘까요.

    “도시인의 피 속에도 농촌에 대한 정서나 향수가 DNA로 남아 있다고 봐야죠. 제가 쓴 동시들은 농촌 정서를 담고 있는데, 도시 아이들도 금방 이해를 하고 좋아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우리 농어촌, 그 촌스러움이 경쟁력”

    영화 ‘워낭소리’.

    촌스럽다는 말은 우리 일상에서뿐 아니라 사전에도 부정적으로 정의돼 있더군요.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이 시작되고 산업화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전통적인 농촌공동체 문화가 살아 있었죠. 80년대 들어오면서 대규모 이농으로 인한 농촌 공동화 현상으로 공동체 문화가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도시인의 해석일 뿐입니다. 서구적 가치로 농촌을 들여다보면서 생겨난 거죠. 자연과 생태의 순환, 공동체의식, 일과 놀이의 통합… 이런 농민들의 삶이 도시화, 산업화 속에서 무시되고 그들의 삶에서 우리가 취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살아온 겁니다. 돈과 지식이 농촌사회를 왜곡해버린 거죠. 허리 굽혀 땅 파고 씨 뿌려서 농사짓는 농민정신이야말로 인간 본래의 정신이자 중심입니다. 도시의 삶이 각박하고 광포해질수록 도시인은 자신의 원형질인 농촌을 그리워할 수밖에 없습니다.”

    농촌에 대한 최근의 인식 변화도 인간 원형질로의 회귀라고 볼 수 있겠군요.

    “물질문명의 발전, 즉 산업화는 자연을 파괴하는 과정입니다. 자연을 파괴하는 것은 곧 농촌과 농민을 함부로 하는 겁니다. 그건 나를, 우리를 함부로 하는 것이죠. 우리 삶이 삭막해져 어디 하나 마음 앉을 자리가 없는데 자연의 소리가, 자연의 풍광이 화면으로 나타나자 사람들은 정서적으로 거기에 달려들 수밖에 없는 거죠. ‘우리도 저렇게 산 시절이 있는데…’ 하면서. 사라진 자기 원형질에 대한 향수라고나 할까요.”

    농촌의 문화적 가치를 다시 살릴 방법이 있다면?

    “지금 농촌엔 자연만 있고 문화가 없죠. 농촌 문화를 되살리자는 운동이 있기는 한데, 귀향운동이나 귀농운동 같은 것은 너무 미미합니다. 저는 이걸 국가 차원에서 벌여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 삶의 원형이자 정신적 고향, 문학과 철학, 종교의 고향인 농촌의 모습을 각 군에, 안 되면 각 도에 몇 개라도 보존했으면 합니다. 몇 개의 마을을 박물관화하자는 겁니다. 그것에서부터 문화 가치를 복구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합니다.”

    촌의 문화 자체를 산업화할 방법은 없을까요.

    “그건 지방자치단체의 몫이라고 봅니다. 지역별 특성에 맞는 브랜드화가 필요해요. 경남 하동군, 전남 구례군의 차는 그 지역의 오랜 다(茶)문화가 바탕이 된 덕분에 브랜딩에 성공했죠. 하지만 무분별한 관광지화는 안 됩니다. 난개발이 심해요. 그건 농촌을 더 피폐하게 합니다. 이제는 마을 단위별로 연구해야 합니다. 그런 뒤에 농촌의 자연친화적인 삶, 생태문화적인 삶을 복원해가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그것이 자연스럽게 볼거리, 체험거리가 됩니다. 생태관광지를 만든다면서 옛집을 허물고 콘크리트 건물 짓는 것을 보면 가슴이 아파요. 외국에선 관광지를 만들 때 새로 지어올리는 일이 드물어요. 집 자체가 자연과 하나가 됩니다. 우리는 보존할 것과 개발할 것의 구분도 제대로 못하는 형국이에요. 영화 ‘워낭소리’는 좋아하면서 ‘워낭’과 상관도 없는 집을 자연의 한복판인 농촌에다 지어대는 게 이 시대 도시민의 이중성입니다.”

    김용택 시인은 ‘워낭소리’에 감동받는 도시민에게 따끔한 충고 한마디를 건네면서 인터뷰를 마쳤다.

    “솔직히 무척 걱정됩니다. ‘워낭소리’ 쵤영지에 사람들이 몰려들고, 온갖 ‘가든’이 들어설까봐요. 이젠 정말 촌에 걸맞은 촌스러운 농촌문화에 대한 정식적, 조형적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