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69

..

그녀가 남긴 순수한 ‘삶과 사랑’

  • 전원경 기자 winnie@donga.com

    입력2003-01-15 13:4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녀가 남긴 순수한  ‘삶과 사랑’

    젊은 날 일본에서 구해온 기모노를 자랑하는 모드(오른쪽). 모든 일에 비관적이었던 19세 청년 해롤드는 순수한 영혼의 소유자인 80세 할머니 모드를 사랑하면서 삶에 대한 애정을 되찾는다.

    연극 ‘19 그리고 80’이 개막된 1월9일 저녁, 대학로에 있는 설치극장 정미소의 로비는 족히 300명은 될 것 같은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그중에는 박상규 국립극단장과 극단 자유의 이병복 대표 등 연극인뿐만 아니라 영화배우 안성기 설경구 박중훈, 감독 이창동, 작곡가 노영심, 가수 유열 등 낯익은 얼굴들도 섞여 있었다. 제작자인 윤석화와의 인연으로 이곳을 찾은 인사들이었다. 채 완공이 되지 않은 좁은 로비에는 이 같은 ‘스타’들과 이들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는 일반 관객, 그리고 스타들을 따라온 TV 카메라까지 들어차 숨쉬기가 곤란할 정도였다.

    그러나 항상 가난하고 초라해서 이제는 천덕꾸러기 같은 모습이 당연해 보이는 연극, 뮤지컬 열풍으로 다시 변방의 맨 끝자리로까지 밀려난 연극이 이처럼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게 언제였던가. 사람들로 꽉 들어찬 로비와 극장 객석에서 몸은 고달펐지만 마음은 유쾌했다.

    ‘19 그리고 80’. 아마 이 연극의 제목을 기억하는 사람들도 꽤 있을 것이다. 미국의 극작가 콜린 히긴스가 쓴 이 작품은 19세 청년과 80세 할머니가 서로 사랑하게 된다는 충격적인 줄거리를 담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7년 김혜자와 김주승이 초연해 큰 화제를 모았다. 박정자와 이종혁이 출연한 이번 공연은 그 후 16년 만에 이뤄진 두 번째 공연이다.

    1987년 이후 두 번째 공연 ‘관객몰이’

    공연은 천장에 목을 매단 남자주인공 해롤드를 발견하고 그의 어머니가 질러대는 찢어지는 듯한 비명으로 시작된다. 염세적인 소년 해롤드는 열다섯 번이 넘게 자살을 시도하고 매일같이 성당에 가 장례식을 구경하며 죽음을 동경한다.



    반면 80세 생일을 앞두고 있는 모드는 삶의 모든 단면들을 신기하게 받아들이는 순수한 영혼의 소유자다. 더러운 물에서 살고 있는 바다표범이 불쌍하다며 동물원의 바다표범을 잡아다 바다에 놓아주는가 하면, 요들에 맞춰 춤을 추고 나무에 올라가기도 한다. 비록 몸은 늙었지만 매일매일 새로운 삶을 즐기고 있는 그의 정신에서 80이라는 나이를 짐작하기란 쉽지 않다.

    ‘삶이란 껍질 속에 혼자 살다 외롭게 죽는 것’이라고 생각하던 해롤드는 이 엉뚱하고 주책맞은, 그러나 귀여운 할머니를 만나며 조금씩 변화한다. 마침내 모드의 80세 생일에 꽃과 반지를 준비해 청혼하는 해롤드. 그러나 모드는 삶의 또 다른 신비를 찾아 떠나듯 자연스럽게 죽음을 선택한다.

    이 연극의 묘미는 젊음의 절정에 있는 청년이 세상을 다 산 것처럼 늙어 있고, 세상의 신산함을 낱낱이 겪었을 노인이 오히려 삶에 대한 동경으로 가득 차 있다는 데 있다. 왜 19세 젊은이의 눈에 비친 삶은 그토록 잿빛인가. 반면 80세 노인은 어떻게 삶을 푸른빛으로 바라볼 수 있는가. 너무나도 많이 남은 생의 날들이 청년에게는 권태롭고 무겁다. 하지만 죽음을 목전에 둔 노인에게 얼마 남지 않은 생의 순간들은 보석처럼 소중하다. 모드는 지는 해의 아름다움에 감동해 눈물을 흘리고 꽃을 보면서 이 다음에는 무슨 꽃으로 태어날지 궁리한다. 해롤드가 “꽃은 다 똑같잖아요” 하고 말하자 모드는 “꽃은 다 달라. 사람하고 똑같아…. 자세히 보면 그 많은 사람 중에 하나도 똑같은 사람이 없지”라고 대답한다.

    그녀가 남긴 순수한  ‘삶과 사랑’

    “죽는 게 그렇게 놀라워? 죽음은 삶의 일부이고 변화일 뿐이야.” 늘 유쾌하게 살던 모드는 삶의 또 다른 모습으로 자연스레 죽음을 맞아들인다.

    시종일관 무대를 조용하게, 그러나 힘있게 채운 것은 역시 박정자의 열연이었다. ‘위기의 여자’ 공연 당시 연출자 임영웅은 “박정자의 무대 위 체온은 80도”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그만큼 열정을 남김없이 발산한다는 뜻일 게다. 그러나 이제 62세를 맞은 박정자는 “이번 무대에서는 체온을 45도 정도로 낮추겠다”고 말했다.

    그 말처럼 박정자의 모드는 자연스러웠다. 위엄 있는 중성적 목소리는 주책맞은 할머니 역에 오히려 딱 어울렸다. 치마를 입은 채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나무에 올라가면서 “사람은 바보 같은 짓을 할 자유도 있는 거야” 하고 말하는 모드. 박정자의 관록은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연극 속의 설정을 관객으로 하여금 저절로 믿게 만들었다. 그는 실제로 32세 연하인 배우 이종혁과의 키스신까지도 달콤하게 해냈다. 마치 첫사랑을 맞아들이는 소녀처럼 얼굴을 붉히면서!

    오래 살았다고 해서 삶을 모두 알게 되는 것은 아니다. 아니, 살면 살수록 삶은 얼마나 불가해한가. 긴 삶이 알려주는 것은 삶의 해법(解法)이 아니라 앞날을 맞아들일 수 있는 용기다. ‘삶을 해석하려 하지 말고 즐겨라’는 모드의 메시지는 진부하지만 감동적이다. 모드에게는 삶뿐만 아니라 해롤드가 준비한 ‘생애 최고의 파티’와 장미꽃 속에서 맞이한 죽음까지 축제였다.

    연극의 마지막. 모드를 잃고 혼자가 된 해롤드는 나무 위에 혼자 올라간다. 모드와 함께 노을을 바라보던 곳이다. 그때 어디선가 흰 새 한 마리가 날아와 나뭇가지 위에 가볍게 앉는다. 죽음마저도 기쁘게 맞아들인 그 여자, 모드처럼.





    문화광장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