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잠언

양심잠(養心箴)

  • 하승현 선임연구원
입력
2016-06-20 09:31:08
  • 작게보기
  • 크게보기

양심잠(養心箴)

양심잠(養心箴)
- 어찌 마음을 수양하지 않는가


내게 오래된 거울 하나 있지
수없이 단련한 쇠로 만든 것
보석함에 넣어두어
먼지 묻지 않게 하고
때때로 닦아서
반들반들 깔끔하게 해야지
사람마다 모습 비춰
털끝까지 환히 보도록

내게 맑은 연못 하나 있지
반 묘 정도 되는 못
항상 흐르는 물을 대주어
낮이나 밤이나 넘실대게 해야지
더러운 것 치워서 깨끗하게 하고
작은 일렁임도 일지 않게 해야지

구름 그림자, 파란 하늘빛이
맑은 수면에 비치도록

거울처럼 물처럼
마음의 덕을 닦아야지
어찌 마음을 수양하지 않을까?
내 마음이 바로 태극인 것을



養心箴

我有古鏡 百鍊之金 藏之寶匣 不使塵侵
有時拂拭 氷輝交潔 隨人鑑形 洞徹毫末
我有淸池 半畝之塘 常添活水 日夜洋洋
蠲穢澄瀅 微瀾不揚 空虛映物 雲影天光
鑑乎水乎 惟心之德 盍養其心 方寸太極

조선시대 학자 학주(鶴洲) 김홍욱(金弘郁·1602~1654)이 지은 글입니다. 마음은 내게 있는 오래된 거울입니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비출 수 있도록 잘 닦아둬야겠습니다. 마음은 내게 있는 맑은 연못입니다. 작은 일렁임도 일지 않아 고요할 수 있도록 잘 수양해야겠습니다. 내 마음이 바로 태극입니다. 우주의 천변만화(千變萬化)가 내 마음과 어울려 춤을 춥니다.
- 하승현 선임연구원 






직접 써보세요


어찌 마음을 수양하지 않을까?
내 마음이 바로 태극인 것을

 養其心 方寸太極
합양기심 방촌태극







주간동아 1043호 (p80~80)

하승현 선임연구원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92

제 1392호

2023.06.02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