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죽도록 달린다의 뮤지컬 ‘왕세자 실종사건’(한아름 작, 서재형 연출, 황호준 작·편곡)은 조선시대 궁궐을 배경으로 한 미스터리 추리극이다. 이 작품은 왕세자가 실종된 날 밤에 일어난 사건들을 파헤치는 과정을 보여준다. 사건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인물들의 관심사가 얽히고설킨 내연관계로 옮겨가고, 그러다 보니 초점이 달라지면서 결국 왕세자는 이야기 속에서도 스토리텔링 자체에서도 실종된다는 재미있는 설정이다. 왕세자고 뭐고, 자기 욕망만 챙기기 바쁜 궁궐 사람들의 가식적인 삶에 대한 풍자를 느낄 수 있다.
왕의 냉대 속에 매일 밤을 외롭게 보내는 중전. 술에 절어 사는 그가 유일하게 마음을 열고 친구처럼 지내는 건 몸종 자숙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중전은 왕세자가 사라졌다는 날벼락 같은 외침을 듣는다.
궁궐은 왕세자를 찾으려고 발칵 뒤집힌다. 궁궐에 있는 모든 사람이 사건 진상을 파헤치는 데 혈안이 된다. 그런데 의문 나는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일단 그날 밤 동궁전 당직이던 내시 구동이 자리를 비웠고, 자숙은 하릴없이 궁 안을 돌아다녔다는 것이 밝혀진다. 최상궁이 이들을 심문하려는데 왕이 직접 나서서 만류한다. 구동과 자숙이 알리바이를 해명하면서 점차 숨겨졌던 사실이 드러난다. 왕과 자숙, 자숙과 구동의 연정관계가 밝혀진 것. 알고 보니 구동은 사랑하는 자숙을 따라 내시가 돼 궁에 들어왔고, 자숙은 그런 구동을 마음에 품은 채 승은을 입었던 것이다.
중전은 왕이 수많은 궁녀로도 모자라 자기 몸종까지 탐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왕은 본인이 그렇게 아끼던 자숙이 다른 남자를 알고 지냈다는 것에 진노한다. 결국 자숙의 배 속 아이도 그 정체를 의심받고, 구동은 ‘고자 검사’를 받기에 이른다.
한편, 이야기는 열린 채 끝이 나고 결말은 관객 상상력에 맡겨진다. 그런데 그 시점에서 관객에게 자숙이 누구 아이를 임신했는지, 왕세자는 왜 실종됐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 대신 자숙과 구동이 무대에서 보여준 순수한 사랑이 마음을 절절하게 울린다. 특히 자숙이 좋아하는 살구를 따다 주겠다며 애쓰는 구동의 모습이 안타까움을 더한다. 살구는 맛있지만 시디신 이들의 사랑을 상징하는 듯하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인물이 있으니, 바로 왕세자의 보모상궁이다. 그는 이야기가 진행되는 내내 무대 한구석에서 슬로모션으로 제자리 뛰기를 하며 왕세자를 찾는다. 커튼콜이 끝나고 관객이 퇴장하는데도 그의 제자리 뛰기는 멈추지 않는다.
이 작품은 일정한 음향을 극적 약속처럼 사용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바람소리를 비롯한 다양한 소리가 등·퇴장은 물론 문지방을 넘나드는 등의 동선을 알린다. 그리고 배우들은 절묘하게 음향에 맞춰 슬로모션과 퀵모션, 그리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반복한다. 대사 리듬과 크기도 조절한다. 무대에는 사실적인 장치가 거의 없다. 음향과 움직임이 이를 대신한다. 아울러 초현실적 무대디자인은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시간성과 인물들의 심리를 표현하기에 적합해 보인다. 타악 그룹 ‘공명’이 무대 한쪽에서 라이브로 연주하는데,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와 타악기 소리가 전통적이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준다.
이상현과 조순창(왕), 홍륜희와 서태영(중전), 김경수와 박은석(구동), 이지숙과 김유영(자숙), 김남호와 이천영(하내관), 연보라와 송희정(최상궁), 김선표(의관), 김재형(자객), 김혜인(보모상궁)이 출연한다. 10월 28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왕의 냉대 속에 매일 밤을 외롭게 보내는 중전. 술에 절어 사는 그가 유일하게 마음을 열고 친구처럼 지내는 건 몸종 자숙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중전은 왕세자가 사라졌다는 날벼락 같은 외침을 듣는다.
궁궐은 왕세자를 찾으려고 발칵 뒤집힌다. 궁궐에 있는 모든 사람이 사건 진상을 파헤치는 데 혈안이 된다. 그런데 의문 나는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일단 그날 밤 동궁전 당직이던 내시 구동이 자리를 비웠고, 자숙은 하릴없이 궁 안을 돌아다녔다는 것이 밝혀진다. 최상궁이 이들을 심문하려는데 왕이 직접 나서서 만류한다. 구동과 자숙이 알리바이를 해명하면서 점차 숨겨졌던 사실이 드러난다. 왕과 자숙, 자숙과 구동의 연정관계가 밝혀진 것. 알고 보니 구동은 사랑하는 자숙을 따라 내시가 돼 궁에 들어왔고, 자숙은 그런 구동을 마음에 품은 채 승은을 입었던 것이다.
중전은 왕이 수많은 궁녀로도 모자라 자기 몸종까지 탐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왕은 본인이 그렇게 아끼던 자숙이 다른 남자를 알고 지냈다는 것에 진노한다. 결국 자숙의 배 속 아이도 그 정체를 의심받고, 구동은 ‘고자 검사’를 받기에 이른다.
한편, 이야기는 열린 채 끝이 나고 결말은 관객 상상력에 맡겨진다. 그런데 그 시점에서 관객에게 자숙이 누구 아이를 임신했는지, 왕세자는 왜 실종됐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 대신 자숙과 구동이 무대에서 보여준 순수한 사랑이 마음을 절절하게 울린다. 특히 자숙이 좋아하는 살구를 따다 주겠다며 애쓰는 구동의 모습이 안타까움을 더한다. 살구는 맛있지만 시디신 이들의 사랑을 상징하는 듯하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인물이 있으니, 바로 왕세자의 보모상궁이다. 그는 이야기가 진행되는 내내 무대 한구석에서 슬로모션으로 제자리 뛰기를 하며 왕세자를 찾는다. 커튼콜이 끝나고 관객이 퇴장하는데도 그의 제자리 뛰기는 멈추지 않는다.
이 작품은 일정한 음향을 극적 약속처럼 사용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바람소리를 비롯한 다양한 소리가 등·퇴장은 물론 문지방을 넘나드는 등의 동선을 알린다. 그리고 배우들은 절묘하게 음향에 맞춰 슬로모션과 퀵모션, 그리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반복한다. 대사 리듬과 크기도 조절한다. 무대에는 사실적인 장치가 거의 없다. 음향과 움직임이 이를 대신한다. 아울러 초현실적 무대디자인은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시간성과 인물들의 심리를 표현하기에 적합해 보인다. 타악 그룹 ‘공명’이 무대 한쪽에서 라이브로 연주하는데, 대나무로 만든 관악기와 타악기 소리가 전통적이면서도 신선한 느낌을 준다.
이상현과 조순창(왕), 홍륜희와 서태영(중전), 김경수와 박은석(구동), 이지숙과 김유영(자숙), 김남호와 이천영(하내관), 연보라와 송희정(최상궁), 김선표(의관), 김재형(자객), 김혜인(보모상궁)이 출연한다. 10월 28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트원씨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