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프 참가작인 김남희(홍익대)의 ‘파도 속의 춤’.
실제로 아트마켓의 볼륨은 2007년 대비 10% 이상 상승했지만, 정작 컬렉터들이 느끼는 경기는 그리 좋지 않다. 지난 2년 동안 마켓을 뜨겁게 했던 작가들의 작품 판매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갤러리나 경매사들은 젊은 작가들의 작품과 해외작품 거래에 집중하고 있다. 때문에 기존 컬렉터들은 작품 판매의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새로운 작품 구매에도 주저하는 모습이다.
기존 컬렉터들이 적극적으로 구매에 나서지 않는데도 마켓이 성장하고 있다면 새로운 구매층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거나 높은 가격대의 그림들이 거래되는 상황, 이 둘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실제 글로벌 마켓 역시 국내 시장과 유사하게 지난해 대비 상승한 마켓 규모 속에서 거래된 작품 수는 반으로 줄어든 양상이다.
그렇다면 경제불황과 상관없이 아트마켓은 성장해가고 있는 것일까? 그러나 내부를 들여다보면 출품작 각각의 가격이 지난해 대비 크게 올랐고 이러한 작품을 구매하는 구매층은 불황과는 무관한 극소수의 부유층임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글로벌 마켓은 하이엔드 마켓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국내 역시 점점 하이엔드 마켓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와는 반대 현상도 전개되고 있다. 새롭게 마켓에 들어오는 초보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작가들의 작품이 거래되는 것이다. 옛 서울역사에서 진행됐던 아시아프는 오픈 첫날 700여 점이 판매되는 성과를 올렸다.
출품된 작품들은 투자가치가 검증되지 않은 젊은 작가들 작품 위주였다. 그러나 메이저 마켓에서 그림 사는 일 자체에 진입장벽을 느꼈던, 그렇지만 미술품 시장에는 관심을 보여왔던 일반인이 대거 구매에 나서 그림을 소장하게 됐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처음 그림을 사는 일부터 안목 있는 컬렉터로 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이들이 좀더 전문성을 띠는 컬렉터로 성장해 메이저 마켓으로 진입한다면 국내 작가들의 거래 역시 활로를 찾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