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명의 ‘늘근 도둑’은 훔칠 물건을 앞에 두고 만담을 주고받으며 시간을 보내다 경찰에 덜미를 잡히고 만다.
두 명의 도둑 ‘더늘근’과 ‘덜늘근’은 도둑질 ‘한탕’을 멋지게 성공해서 전국을 유람하며 노년을 보내겠다는 꿈을 갖고 으리으리한 집에 들어온 참이다. 여러 개의 훈장과 피카소, 앤디 워홀, 막스 에른스트의 그림 등 값비싼 미술품이 즐비하게 전시된 그 집 주변에는 어찌나 개가 많은지 5분이 멀다 하고 짖어댄다. 이 때문에 둘은 ‘개도 잠이 든다는 새벽 2시부터 4시까지’를 범행 러닝타임으로 정하고 소주를 기울이며 ‘뿐빠이’에 대한 논쟁을 벌인다.
더욱 가관인 것은 이들이 경찰에게 잡힌 뒤 수사관의 질문에 답변하는 모습이다. 집이 어딘지도 모르고, 나이도 대충만 알고, 당최 제대로 대답하는 것이 없는 이 노인들은 급기야 간첩이나 좌익 폭력단체로 의심받기에 이른다. 결국 조회를 통해 이들이 현금 1만300원, 애완견, 마늘 등이나 훔치는 잔챙이 도둑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지만, 의심을 풀지 않은 수사관의 심문과 도둑들의 말도 안 되는 답변은 계속된다.
이 실없는 도둑들이 ‘좌익 폭력단체’나 ‘간첩’으로 오인받은 것은 이들이 침입했던 집이 예사로운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당신들, 정말로 거기가 어딘 줄 몰랐어?”라는 물음에 “노인정인 줄 알았어요” “사실은 부녀회관인 줄 알았어요” 같은 말도 안 되는 대답을 늘어놓는 도둑들에게 수사관이 알려준다. “그 집은 바로 멍멍멍멍멍!” 최고 권력자의 집임을 말하는 대목이 ‘개 짖는 소리’로 처리되는 이 장면에서 관객들은 반복적으로 쓰이는 ‘개’의 코드가 의미하는 바를 짐작할 수 있다. 권력자들에 대한 비판은 ‘개 짖는 소리’뿐 아니라 두 도둑의 대화를 통해서도 나타난다.
만담의 핵심은 동시대 사회문제를 담는 데 있다. 이 연극의 묘미 역시 두 도둑의 만담에 담긴 사회풍자에 있다. 금고 모양의 미술작품을 실제 금고라고 굳게 믿을 만큼 무지한 도둑들이 뼈아픈 근대사를 줄줄 읊는다. 물론 도둑의 관점에서 본 것이지만 역사와 정치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이 숨겨져 있다. ‘더늘근’의 고향은 함경도 원산이며, ‘덜늘근’의 고향은 전라도 광주다. 오랜 기간 부당한 대우를 받던 지역 출신을 대표하는 도둑들은 “집이 어디냐?”는 수사관의 질문에 자신의 고향에 대한 이야기를 횡설수설 늘어놓는다.
‘도둑’ ‘별’이 주는 중의적 의미는 이 작품에 감칠맛 나게 숨겨져 있다. 두 도둑은 자신들과 다른 의미로 ‘별을 많이 지닌’ 사람들을 이죽거린다. “원래 유명한 사람들은 다 별이 많아. 다 전과자야. 대통령 10명 중 4명이 전과자야. 그리고 그 아들들이 가업을 이어서 홍업이, 홍걸이, 현철이…. 유명한 감독들 씨네21에서 별 다섯 개씩 받아.”(더늘근)/ “별소릴 다 하네. 별꼴이야 정말. 별사람을 다 보네. 간에 기별이네.”(덜늘근)
그 밖에 신정아 사건, 촛불집회, 쇠고기 문제, BBK 주가 조작사건 등 시사 문제들이 언급된다. 최근 화제가 됐던 사건들에 대해 한 줄 댓글처럼 흘리는 그들의 말은 사회에서 존경받아야 할 ‘지도층’의 ‘구린’ 뒷내를 맡게 해주며 골계미를 느끼게 한다.
아이러니하면서 코믹한 설정, 개그 이상의 통쾌한 웃음
독특한 것은 극을 진행시키는 것이 사건의 발생이 아닌 사건의 지연이라는 점이다. 두 도둑은 계획한 도둑질은 안 하고 그 앞에 모포를 깔고 앉아 말놀이를 벌이며, 조사실에 끌려가서도 조사관의 질문에 대답 대신 사설을 늘어놓는다. 이 때문에 연극의 성패는 만담을 어떻게 이끌어가느냐에 맡겨져 있다. 더늘근(박길수 분)과 덜늘근(박철민 분)은 관객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고, 필요한 음향효과를 내게 하는 등 반응을 유도하면서 재치 있게 극을 이끌어간다.
그러나 신랄함과 페이소스는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다. 연극이 아닌 개그를 보는 듯 진지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도둑들이 실제로 자신의 생년월일도 모르고 주소지도 없는 것인지, 수사관(민성욱 분)에게 하릴없이 장난을 걸고 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수사가 행해지는 장소는 방마다 욕조가 있는 섬뜩한 공간이지만, 수사관의 모습은 두 노인에게 쩔쩔매는 동네 경찰을 생각하게 한다.
1989년 이 작품의 초연 당시에는 연극무대에서 이처럼 대놓고 사회문제를 언급하는 것이 매우 신랄한 시도였겠지만, 아무리 현재 시점에서 시사성이 ‘업데이트’됐다고는 해도 뜨거운 감자들을 살짝만 건드리고 넘어가는 설정이 크게 감흥을 불러일으키지는 않을 듯싶다. 그러나 아이러니하면서도 코믹한 상황 설정과 만담 형식의 익살스러운 대화는 개그 이상의 깊이와 통쾌한 웃음을 남긴다는 것만은 분명하다(오픈런, 알과핵 소극장. 문의 02-766-6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