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62

..

잔혹한 악몽으로의 초대

  • 입력2005-06-03 13:4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잔혹한 악몽으로의 초대
    순수를 꿈꾸는 젊음은 때로 너무나 광포하다. 극단 ‘실험극장’이 공연하는 임태훈 작, 성준현 연출의 ‘애벌레’(12월10일까지 동숭아트센터 소극장)는 거칠고 추악한 세상으로 진입하는 젊음의 잔혹한 통과제의이다.

    이 작품은 ‘부친 살해’라는 엽기적이고 패륜적인 모티브에서 출발한다. 겨우 17세의 살인범 L은 동성애를 즐기는 아버지 T에 대해 강렬한 증오심을 품고 있었다. 군인인 T대령은 아들이 자신의 동성애 사실을 눈치채자 파트너였던 H소위와 분신 자살을 기도한다. T는 전신화상을 입고 팔과 다리가 떨어져 나가 몸통만 남은 상태로 겨우 숨만 쉬며 살게 된다.

    무대 전면에는 하얀 붕대에 칭칭 감긴 T대령의 몸체가 철제 침상에 매달려 세워져 있다. 그 모양은 너무나 참혹하고 끔찍하지만 이 작품의 제목이 상징하는 ‘애벌레’의 형상으로 보이기도 한다. 또 그것은 거세되어 오그라들은 남성의 성기처럼 무기력하고 무의미하다. ‘애벌레’의 상징은 결국 혹독한 겨울을 견디고 껍질을 벗는 L의 정신적 성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어두운 마루 바닥의 무대 위에는 관처럼 보이는 하얀 나무 상자가 놓여 있다. 그것은 의자나 식탁으로 이용되곤 하는데 L의 가족이 식사할 때는 식탁에 일렬로 앉는다. 이러한 행위는 가족간의 불화와 의사소통의 부재를 단적으로 상징한다. L의 가족은 아주 오랫동안 행복과 평온을 가장하는 위선과 허위에 길들여져 왔다. 의사소통의 곤란이나 불가능성은 이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등장인물들이 대화체 형식을 거부하고 대부분 독백이나 내레이션 형식으로 말하는 것, 서로 마주보지 않고 정면을 향해 말하는 방식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뒤늦게 혈액형에 의해 병상의 환자가 T대령이 아닌 H소위로 밝혀지지만 삶의 거짓 연극에 익숙해진 L은 그 사실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어머니 M은 그 환자를 아버지로 믿고 살아가는 것이 그들이 치러야 할 벌이라고 말한다. 병상의 아버지와 가까스로 화해를 시도했던 L은 아버지의 죽음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 진실과 대면할 용기가 없는 L은 먼 옛날의 오이디푸스처럼 자신의 눈을 찌른 후 망치로 환자를 살해한다.



    무대 바닥 한가운데에는 물이 고인 정방형의 작은 못이 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L은 발가벗은 채 그 물에 피에 젖은 손을 씻는다. 그것은 마치 정화와 세례를 통해 거듭나는 신성한 의식과도 같다. 작은 못은 공연 내내 투명한 판으로 덮여 있어 여기에 조명이 비치면 유일하게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을 형성한다. L이 몸을 웅크린 채 잠들곤 하는 이 구역은 마치 누에를 감싸고 있는 고치와도 같다. 또는 L이 그토록 갈망하는 어머니의 사랑이 존재하는 자궁의 이미지이기도 하다.

    온통 악몽과도 같아서 삶이 곧 악몽이라고 느끼게 하는 이 연극은 표현주의의 세례와 함께 안토닌 아르토의 잔혹극적 영향을 읽어낼 수 있다. 아르토에 의하면 연극은 페스트와 같은 살육의 이미지이며 본질적으로 분열의 이미지다. 연극은 페스트처럼 잠재하는 잔혹성을 저 밑바닥으로부터 밖을 향해 밀어내어 폭로함으로써 끝내는 죽음이 아니면 치유의 상태가 되는 구원의 전염병이 되어야 한다.

    작가 임태훈은 지난해 만 스무살의 나이에 이 작품으로 삼성문학상 희곡부문에 당선되었다. 그가 지닌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에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