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8

..

목숨 건 탈북 … 조국도 반기지 않았다

70년 연평도 근해 조업 중 납북 이재근씨…대남 간첩교육·노동자로 피눈물나는 생활

  • 입력2005-12-26 13:1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목숨 건 탈북 … 조국도 반기지 않았다
    3월12일 SBS ‘뉴스추적’에서 납북자 가족 문제를 다룬 ‘생사라도 알았으면’이 방영되자 이튿날 ‘납북자가족모임’ 사무실로 전화가 걸려왔다. 신원을 밝히지 않는 한 여성의 제보였다.

    “납북어부였던 사람이 탈북해서 지금 쭛쭛에 있다고 들었다. 연락처는 04××××…다.”

    마침 대전방송 홍성진PD가 취재차 들렀다가 이 사실을 포착했다. 홍PD는 올 1월부터 ‘서해안 납북자 가족의 통한사(痛恨史)’를 다큐멘터리로 제작 중이었다. 그는 취재 중 납북과 탈북이라는 극적인 삶을 동시에 경험한 불행한 어부 이야기도 들었다. 하지만 제보사실을 확인해 줄 수 있는 것은 전화번호뿐이었다. 사무실로 돌아와 수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그런 번호는 없다”는 답변만이 되풀이됐다. 모든 가능성을 끌어다 맞춰본 끝에 그 번호는 한국 것이 아님을 알았다. 결국 전화추적 2주일만에 제3국에 피신해 있는 납북어부 이재근씨와 통화할 수 있었다.

    30년 전 연평도 근해에서 조업 중 북한으로 강제 납북된 이재근씨(62). 그는 1998년 8월 아내와 아들을 데리고 북한을 탈출해 한 종교단체의 도움으로 현재 은신 중이다. 홍PD와의 통화에서 이씨는 절박한 목소리로 “나는 더 기다릴 수 없다. 여기 앉아서 죽거나, 밀항하다 죽거나 마찬가지다. 이대로는 못살겠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2년 가까운 은둔생활에 지칠 대로 지친 이씨의 목소리는 절규에 가까웠다.

    이씨는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발표한 454명의 미귀환 납북자 명단에도 포함돼 있다. 그런 이씨가 왜 목숨을 건 탈북 후에도 한국땅을 밟지 못하고 오랜 세월 타지를 떠돌아야만 했을까.



    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납북자=세뇌 후 남파간첩’으로 의심해 납북됐다 귀환한 사람이나 미귀환자 가족에 대해 경계와 감시를 늦추지 않았다. 그래서 납북자 가족 사이에서는 공공연하게 “귀환해도 걱정, 억류돼도 걱정”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납북자 문제에 대해 남북한 당국 모두 본격적인 논의를 기피한 채 50년 세월을 보낸 것이다. 최근 들어 탈북자에 대해서는 인권문제 차원에서 도움의 손길이 뻗치고 있지만, 막상 납북자 얘기만 나오면 여전히 엄격한 이데올로기의 잣대를 들이대는 경향이 잔재해 있다.

    그러나 이씨의 탈북은 그 오랜 침묵을 깨뜨렸다. 현재 남북정상회담이 끝나는 대로 가족과 함께 귀국할 예정인 이씨는 납북됐던 어부가 북한을 탈출, 한국으로 귀환하는 최초의 인물이 된다. 다음은 이씨의 진술을 바탕으로 납북과 탈북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1970년 4월15일 저인망어선 봉산22호가 출항해 연평도와 산둥반도 사이 공해상에서 연어잡이를 하고 있었다. 4월29일 바다에 그물을 친 뒤 잠이 든 새벽 2시경 갑자기 군인들이 갑판 위로 들이닥쳐 “손들어!”를 외치더니 선원들을 선실로 몰아넣고 밖에서 문을 잠갔다. 잠결에 그들이 국군인 줄 알았던 봉산호 선원들은, 빠른 속도로 북을 향해 달리는 봉산호를 한국 해군이 발견하고 공포탄을 쏘며 추격하는 광경을 본 뒤 비로소 자신들이 납북됐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북에 도착해서는 한동안 평양여관에 머물렀다. 함께 납북된 27명(봉산21호 선원 포함)은 소그룹으로 나뉘어 신변조사를 마친 뒤 북한 지도원이 안내하는 대로 여기저기 견학을 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이렇게 몇 개월이 지나고, 그 중 몇 명을 다시 불러모아 택시를 태워 황해도로 데리고 갔다. 과일과 음식을 잔뜩 먹인 뒤 돌아오는 길에 지도원이 “동무들은 위대한 수령님의 품에 남게 됐다”고 말했다. 그 후 청진국제호텔로 숙소를 옮겨 한달간 머물면서 산업현장을 견학하고 때로는 연애도 하면서 서서히 북한에서의 생활에 적응해 갔다.

    하지만 지금도 이씨는 왜 자신이 북에 남은 8명 중에 포함됐는지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말한다. 한번도 “북한에 남고 싶다”는 의사표현을 한 적도 없고 북에 남을 이유가 전혀 없었다는 것이다.

    어쨌든 1970년 11월15일 8명은 평양시 용성구 중이리 야산에 있는 중앙당정치학교에 입교했다. 대남간첩을 양성하는 이 학교에서 2년6개월 동안 사격, 폭파, 요인암살, 침투, 무전, 수영, 격술 등 특수훈련을 받았다. 자정 무렵 소집돼 완전무장을 한 채로 몇 시간씩 군사훈련을 받기도 했고, 아침 8시부터 12시까지 수영을 계속하는 등 혹독한 훈련이 계속됐다. 그사이 봉산호 선원 27명 중 19명은 1970년 11월29일 어선과 함께 송환됐다.

    1973년 중앙당정치학교를 졸업했지만 이씨는 대남공작 연락소에 배치받지 못했다. 사상이 불량하다는 이유였다. “너는 동화가 덜 됐다” “남쪽으로 파견되면 자수할 가능성이 있다” 등의 이유를 대며 그들은 이씨를 함남 함주공장으로 보냈다. 함주는 아오지처럼 정치범수용소는 아니었지만 일단 사상이 불순하다고 낙인찍힌 사람들이 강제로 끌려오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씨는 이곳 선박전동기공장에서 25년 동안 일하며 결혼도 하고 아들 1명도 얻었다. 탈북 전까지 이씨와 아들은 같은 공장에서 일했다.

    그 사이 81년과 85년 원산 연락소에서 3개월 동안 재교육을 받으면서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던 납북어부 100여 명과 만날 기회가 있었다. 이후 납북자 현황조사에서 이씨의 증언은 중요한 자료가 된다.

    28년 동안 포기했던 이씨의 탈북 의지가 되살아난 것은 북한의 식량난 때문이었다. 당시 북한에서는 감기증세처럼 시작돼 40도에 달하는 고열에 시달리며 살갗이 벗겨지다가 죽는 병이 유행했다. 이씨의 아내도 굶주림 속에 비슷한 증세를 앓다가 겨우 살아나기는 했지만 더이상 북한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또 조선족 출신인 이씨의 아내가 고향의 친척들과 연결이 돼 쉽게 탈북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씨의 아들도 “어차피 북한에서는 출신성분이 나빠 장래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생각에 거부감 없이 아버지를 따라나섰다. 1998년 7월 모자가 먼저 북한을 탈출하고, 한달 뒤 이씨가 가족과 합류했다. 두만강을 넘는 과정은 여느 탈북자와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납북자인 이씨에게는 여전히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배경이 있었다. 더군다나 탈북 전 조선족을 통해 남한에 있는 형 재원씨(경남 울산)와도 연락을 취해 두었기 때문에 탈북에 성공하기만 하면 그는 쉽게 대한민국 땅을 밟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탈북 후 한국공관을 찾아가 한국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사정은 딱하지만 탈북자는 아직 난민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인데다 외교문제로 비화될 소지가 크다. 지금은 곤란하다”며 손에 교통비 몇 푼만을 쥐어주었다.

    결국 정부의 공식채널을 통해 귀환하는 것을 포기한 이씨는 탈북자들을 헌신적으로 돌봐주는 한 종교단체를 찾아가 몸을 의탁했다가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극적인 귀환절차를 밟게 됐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