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256

2020.09.11

진중권 “유권자는 보수의 막말을 진보의 위선보다 파렴치하게 본다” [진중권의 직설-15]

  •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입력2020-09-08 17:22:24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주간동아’는 진보논객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의 한국 정치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이 담긴 기고문을 매주 화요일 오후, 온라인을 통해 공개한다. <편집자 주>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동아DB]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동아DB]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이라는 말이 있다. 인종·성별·장애·성정체성 등으로 구별되는 특정집단을 배제하거나 모욕하는 언행을 삼가는 태도를 가리킨다. 원래 이 말은 원래 70년대에 좌파들 사이에서 이념적으로 너무 경직된 사람들을 비꼬는 경멸어(pejorative)였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보수주의자들이 매사 너무 깐깐하게 따지고 드는 진보주의자들의 행태를 비꼬는 데에 이 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차별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데에 대한 보수의 심리적 반발이랄까.

    정치적 올바름

    사회적 차별의 기제는 그 안에 사는 이들의 몸에 기입되기 마련이다. 아무리 진보적인 사람이라도 몸에 밴 그 차별의 습속이 무의식중에 튀어나올 때가 있다. 부끄럽지만 나 역시 과거에 차별이 담긴 표현들을 사용한 적이 있고, 여전히 그러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내가 차별주의자인 것은 아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나는 모든 차별에 단호히 반대했기 때문이다. 그저 차별을 차별로 인지하는 ‘감수성’이 모자란 것뿐이다. 생각을 고치기는 쉬워도 몸에 밴 습속을 고치는 것은 어렵다. 

    차별이 일상화한 곳에서는 차별이 차별로 느껴지지 않는 법이다. 누군가에게 차별적 표현을 했다고 지적당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사람들은 보통 ‘내가 차별에 둔감한 게 아니라 그가 표현에 과민한 것’이라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때 보수주의자들이 사용하는 표현이 바로 ‘정치적 올바름’이다. 여기서 ‘정치적 올바름’은 ‘괜히 말꼬리나 잡으며 쓸데없이 남에게 지적질이나 하고 다니는 행태’를 가리킨다. 그 비아냥거림의 대상은 물론 그런 ‘지적질’을 역사적 사명으로 아는 진보주의자들이다. 

    보수가 진보보다 차별에 둔감한 것은 사실이나, 차별에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어차피 어느 진영에서나 주류는 남성·한국인·비장애인·이성애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언행에서는 여야가 따로 없다. 올 초 민주당의 이해찬 전 대표는 “선천적 장애인은 후천적 장애인에 비해 의지가 약하다”고 했다. 이를 비판했던 야당의 의원 후보도 다르지 않았다. “몸이 불편한 사람이 장애인이 아니다. 삐뚤어진 마음과 그릇된 생각을 가진 사람이야말로 장애인이다.” 

    이 분야에서 이해찬 전 대표는 이미 악명이 높다. “정치권에서 보면 정상인가 싶을 정도로 정신장애인들이 많이 있다.” 야당도 지지 않는다. 작년 국정감사에서 여상규 법사위원장은 장애를 욕설로 사용한 바 있다. “웃기고 앉았네! XX 같은 게.” 통합당의 주호영 의원은 정세균 후보를 “절름발이 총리”라 불렀고, 황교안 대표는 대통령이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벙어리가 돼 버렸다.”고 말했다. 장애인 인권단체에서 인권위에 제소한 정치인 명단에는 여야의 의원들이 고루 포진되어 있다.



    사회적 지배 성향

    세월호 사건과 관련한 망언으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차명진 전 의원. [뉴시스]

    세월호 사건과 관련한 망언으로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차명진 전 의원. [뉴시스]

    대수롭지 않게 쓰였던 ‘꿀 먹은 벙어리’라는 표현도 이제는 불편하게 느껴진다. 차별에 대한 감수성이 날로 예민해지고 있으니, 우리가 입버릇처럼 내뱉은 다른 많은 표현도 앞으로 그렇게 될 것이다. 이 변화는 진보보다 보수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이제까지 차별 발언은 주로 보수 정치인들의 입에서 나왔다. 당연한 일이다. 진보는 위계와 차별에 반대하는 평등주의 성향을 갖고 있으나, 보수는 인간들 사이의 위계와 능력에 따른 차별을 당연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보수는 진보에 비해 ‘사회적 지배성향’(SDO: social dominance orientation)이 강하다고 한다. 보수는 사회의 높은 곳에 있는 이들은 제 능력으로 그 자리에 올랐으며, 사회의 낮은 곳에 있는 이들은 노력이나 능력이 부족해 그곳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실력에 따른 차별대우를 당연한 것으로 보고, 차별을 없애라는 요구를 부당하게 여긴다. 그러니 사회적 약자에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발언이 주로 보수 정치인의 입에서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상황이 진보에게 유리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보수의 문제가 사회적 약자의 고통에 상대적으로 무감(無感)하다는 데에 있다면, 진보의 문제는 약자와 연대한다는 약속을 지키는 게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정치적 올바름을 경시하는 보수가 막말의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면, 정치적 올바름을 중시하는 진보는 ‘공약의 부담’을 지고 살아간다. 똑같은 짓을 해도 진보는 더 많은 비난을 받는다. 평소에 정의로운 척을 했기 때문이다. 제 삶으로 제 말을 배반하는 것을 우리는 ‘위선’이라 부른다. 

    보수는 ‘정치적 올바름’을 가벼이 여겨 ‘망언’을 한다. 반면 진보는 입으로 외치던 ‘정치적 올바름’을 몸으로 지키지 못해 ‘위선’에 빠지곤 한다. 고로 진보는 진영의 위선을 제거하고 상대의 막말을 비판해야 하고, 보수는 진영의 막말을 제거하고 상대의 위선을 비판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이게 결코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막말과 위선은 개인의 성향일 뿐 아니라 동시에 진영의 성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조국 사태 때 진영 전체가 그의 위선을 변명하고 비호했던 것을 생각해 보라.

    세월호와 5‧18 망언

    지난해 초 지만원 씨를 국회로 초청해 5·18이 북한군의 폭동이라 주장하는 토론회를 열었던 김진태 전 의원. [뉴시스]

    지난해 초 지만원 씨를 국회로 초청해 5·18이 북한군의 폭동이라 주장하는 토론회를 열었던 김진태 전 의원. [뉴시스]

    이는 보수도 마찬가지다. 총선 참패를 부른 차명진 전 의원의 망언을 생각해 보라. “세월호 자원봉사자와 유가족이 텐트 안에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문란한 행위를 했다는 기사를 알고 있다.” 이 막말에 대한 당의 조치는 고작 ‘탈당 권유’. 그를 제명한 것은 여론이었다. 당에서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조차 못 했던 것이다. 이는 그 당에 피해자에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극우’ 인사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 망언에 깔린 정서는 통합당 안에서 널리 공유되고 있었다. 

    차 전 의원은 작년에도 전설적 망언을 남긴 바 있다. “세월호 유가족들, 자식의 죽음에 대한 세간의 동병상련을 회 쳐먹고, 찜 쪄먹고, 그것도 모자라 뼈까지 발라먹고 진짜 징하게 해쳐 먹는다.” 그때 정진석 의원은 “세월호 좀 그만 우려먹으라고 하세요. 이제 징글징글하다.”는 지인의 글을 자신의 SNS에 공유했다. 안상수 의원 역시 “불쌍한 아이들 욕 보이는 짓”이라고 맞장구를 쳤다. 피해자에 공감하는 감성의 결핍은 폭식투쟁을 하는 일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망언의 또 다른 단골소재는 5‧18 민주화 항쟁. 김진태 의원은 지만원씨를 국회로 초청해 5‧18이 북한군의 폭동이라 주장하는 토론회를 열였다. 그 자리에서 이종명 의원은 “정치적이고 이념적으로 이용하는 세력들에 의해 폭동이 민주화운동으로 변질됐다”고 말했다. 김순례 의원은 “종북 좌파들이 5·18 유공자라는 이상한 괴물 집단을 만들어내면서 우리의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말했다. 공당의 의원들이 피해자인 시민이 아니라 가해자인 쿠데타 세력에게 감정이입을 한 것이다. 

    이들 중 제명당한 것은 이종명 의원뿐, 김순례 의원은 당원권 정지, 김진태 의원은 경고를 받는 데에 그쳤다. 최근 주호영 원내대표가 5‧18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김종인 위원장이 5‧18 묘역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보수의 이 고질병과 결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그래도 기층의 정서는 여전한 모양이다. 차명진 전 의원은 이런 행보에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자기 혼자 반성하면 될 것을 왜 통합당까지 도매금으로 끌고 들어가 무릎 꿇고 찔찔 짜고 난리를 치는가.”

    피해자와 교감

    누군가 세월호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면, 유가족을 공격할 게 아니라 그들을 이용하는 세력을 비판해야 한다. 5‧18 유공자 중 미심쩍은 사람이 있다면, 유공자 전체를 싸잡아 욕할 게 아니라, 사실과 근거로서 그들 중 가짜를 골라내 비판할 일이다. 그리고 어떤 비판이든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아울러 가해자 집단에 속했던 자신들의 과거에 대한 사과와 반성도 따라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김 위원장이 5‧18 민주묘역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평가할 만하다. 

    막말에는 물론 여야가 따로 없다. 하지만 더 조심해야 할 것은 보수 쪽이다. 성향상 피해자에 공감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진보는 정치적 올바름을 주장한 대가로 ‘공약의 부담’을 지고 살아야 한다.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해 위선의 덫에 빠지는 것이 진보의 운명이다. 위선은 역겹다. 그래서 정치적 올바름 자체를 조롱하다 막말의 늪에 빠지는 것이 보수의 숙명이다. 

    보수는 ‘정치적 올바름’을 조롱해서는 안 된다. 외려 철저히 지키려 해야 한다. 그래야 진보의 위선을 비판할 자격이 생긴다. 보수가 외면당한 것은, 유권자들이 보수의 막말을 진보의 위선보다 파렴치하게 보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옳지 못한 언행은 보수에 상처만 입힐 뿐이다. 선거의 패배는 생채기일 뿐. 치명상은 유권자의 머릿속에 보수가 공감의 능력이 없는 혐오·기피 세력으로 새겨지는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