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35

2014.04.28

열정과 진중함으로 관객 위무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와 데이비드 진먼

  • 황장원 음악칼럼니스트 tris727@naver.com

    입력2014-04-28 11:2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열정과 진중함으로 관객 위무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가운데)가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하고 있다.

    4월 2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진행된 스위스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오케스트라 공연이 늘 그렇듯 먼저 단원들이 나왔고 잠시 후 지휘자가 입장했다. 그런데 관객 박수가 잦아들 즈음 한 사람이 걸어 나왔다. 지휘대 바로 옆에 멈춰 선 그의 손에는 종이 한 장이 들려 있었다. 그가 종이에 적힌 글귀를 한국말로 읽어 내려갔다.

    “오늘 공연에 앞서 세월호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해 바흐의 ‘에어(Air)’를 연주하겠습니다. 연주 후 박수는 삼가주시고 묵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무래도 힘겹고 어눌한 발음이었지만, 진심을 담아 또박또박 읽어 내려가는 그 성의가 고마웠다. 그런 정성은 음악에서도 느껴졌다. ‘G선상의 아리아’란 제목으로 친숙한 바흐의 숭고한 음률이 콘서트홀의 공기를 타고 흘렀다. 급히 준비했을 테지만 그들의 연주는 잘 다듬어져 있었고, 무엇보다 차분하고 겸허했다. 객석에서 간간이 훌쩍이는 소리가 들렸다. 연주가 끝나자 얼마간의 침묵이 흘렀고, 잠시 후 본 공연이 시작됐다.

    이날 공연 프로그램은 베토벤과 브람스 곡들로 구성됐다. 열정과 진중함이 공존하는 두 작곡가의 음악은 바흐의 음악과 연결되면서도 또 다른 방식으로 관객을 위무했다.

    첫 곡은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 서곡. 베토벤이 30세에 쓴 이 곡은 상례에서 어긋난 딸림7화음으로 출발한다. 이것을 이번 뜻밖의 사건에 비유할 수 있을까. 정상 궤도를 찾아가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이내 활력을 되찾아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열정과 의지를 불태운다. 이 곡에서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의 첫 울림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것은 마치 이제 막 알프스 숲에서 뛰쳐나온 야생동물과도 같았고, 자못 신선한 생명의 기운을 머금고 있었다.



    기돈 크레머가 연주한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대단히 독특했다. 이 바이올리니스트 특유의 카랑카랑한 음색과 예리한 활 쓰기는 일견 악곡과 별로 어울리지 않는 듯했다. 하지만 오케스트라와 미묘한 불일치를 빚는 듯하면서도 나노 단위의 세밀한 상호보완적 조화를 일궈낸 그 역설적인 연주는 크레머의 트레이드마크인 이례적 카덴차와 더불어 익숙한 작품에 대한 색다른 시각과 참신한 깨달음을 환기하게 했다.

    2부에서 연주한 브람스의 ‘교향곡 제4번’은 익숙한 듯 새로웠다. 이 악단에서 마지막 시즌을 보내는 지휘자 데이비드 진먼의 손길은 세심하고 사려 깊었다. 그는 앙상블을 견실하면서도 여백 있는 짜임새와 적당한 규모감으로 이끌었고, 드라마틱한 악곡 흐름을 적극적으로 부각하기보다 음악 자체가 자연스럽게 흐르게 했다. 그 덕분에 느린 악장의 깊은 흐름은 담담하면서도 그윽한 맛을 냈고, 마지막 악장의 여운도 더욱 은은했다. 인위적인 가공이 최대한 배제된 그 음악은 스위스 시계만큼 정교하지는 않았지만, 그보다 더한 미덕을 지닌 절제와 겸손으로 다가왔다.

    두어 차례 커튼콜 후 연주한 앙코르 곡은 ‘그리운 금강산’이었다. 알프스 산기슭에서 온 단원들의 따뜻한 마음이 다시 한 번 콘서트홀 구석구석 전달됐다. 아마 그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그들이 안겨준 그 위안을 오래도록 잊지 못하리라.

    열정과 진중함으로 관객 위무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한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와 지휘자 데이비드 진먼(왼쪽부터).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