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보다 젊은 후보 찍겠다” 67% “낙천명단 투표 때 고려” 84%](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06/07/18/200607180500011_1.jpg)
무엇보다 여야 정당의 사활이 걸려 있는 수도권선거의 성패에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시민단체가 발표한 공천부적격자가 정당의 공천을 받을 경우 어떻게 하겠느냐는 물음에 무려 83.6%가 찍지 않거나 고려대상으로 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절대 찍지 않겠다’는 응답이 38.2%, ‘시민단체의 발표를 고려하여 결정할 것이다’는 답변이 45.4%로 나타났다. 반면 ‘별로 개의치 않을 것이다’는 반응은 15.8%에 불과했다.
특히 ‘절대 찍지 않을 것이다’는 응답비율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이는 민주당과 한나라당후보간 박빙의 혈투가 예상되는 수도권선거의 향배가 낙선운동에 의해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강원(51.3%) 인천-경기(44.5%) 서울(41.1%)이 평균치(38.2%)를 크게 웃돌았다.
반면 자민련의 근거지인 대전-충청(27.0%)과 한나라당의 강세지역인 부산-경남(29.7%), 대구-경북(32.3%)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민단체의 낙선운동보다는 지역정서에 충실해 투표를 하겠다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풀이할 수 있다. 또 민주당에 비해 자민련과 한나라당이 시민단체의 ‘명단공세’에 흔쾌하지 않은 반응을 보인 사실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특이한 점은 민주당의 아성인 광주-전라에서 ‘절대 찍지 않겠다’는 비율이 44.3%로 높게 나타난 것. 리서치·리서치측은 이를 이 지역 현역의원 전원이 속해 있는 민주당에 대한 반발이 아니라 시민단체의 명단에 오른 현역의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공천 물갈이 요구로 해석했다.
‘절대 찍지 않겠다’는 응답은 30대(42.7%)에서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32.9%)에서 가장 낮았다. 20대와 40대는 각각 38.1%와 39.6%로 비슷했다.
시민단체들이 추진중인 본격적인 낙선운동에 대한 유권자들의 메시지는 설혹 불법이라 할지라도 강력히 밀어붙이라는 것이었다.
시민단체들은 선거법 제87조가 개정돼 명단발표는 합법이지만 유인물 배포, 집회, 가두서명 등 유권자를 직접 상대하는 운동은 여전히 금지된데 대해 불복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응답자들의 68.7%가 시민단체의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역적으로는 서울(76.8%)과 인천-경기(76.1%)에서, 연령별로는 30대(80.0%)에서, 학력별로는 대학재학 이상(76.0%)에서 많았다.
반면 ‘법 테두리 안에서 활동해야 하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은 26.5%에 그쳤다. 이런 반응은 지역별로는 부산-경남(38.3%) 대전-충청(35.1%)에서, 연령별로는 50대 이상(35.0%)에서 많았다.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이 ‘4·13총선’에서 ‘태풍의 눈’이 될 것이라는 점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물어본 문항에서도 입증됐다.
‘이번 선거에서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리라 보느냐’는 질문에 31.3%가 ‘안정론과 견제론’, 28.6%가 ‘후보자의 인물’, 26.8%가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을 꼽았다. 낙선운동이 총선 결과를 가름할 ‘3대 요인’의 하나로 떠오른 것.
낙선운동을 꼽은 이들의 비율은 수도권에서 높았다. 인천-경기(32.4%), 서울(30.2%)에서는 30%를 넘었고 대전-충청(21.2%)과 부산-경남(21.7%)은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2.6%나 됐다. 이에 비해 30대는 25.9%, 40대 20.1%, 50대 이상 16.0%로 나타났다. ‘안정론과 견제론’이라 응답한 사람들은 지역별로는 강원(37.3%)과 서울(36.4%), 연령별로는 30대(38.2%)에서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중진 정치인을 젊은 정치인으로 바꿔보자는 욕구도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진 후보와 젊은 후보가 대결할 경우 어느 쪽에 더 호감을 가지겠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66.8%가 ‘젊은층’이라고 밝혔다. ‘중진’이라고 답한 이들은 18.7%, ‘모르겠다’는 응답은 14.4%에 그쳤다.
젊은층으로의 물갈이 열망은 최대의 혈전장이 될 서울(73.7%)에서 가장 높았고 부산-경남(61.6%)에서 가장 낮았다. 여야 정당들이 최근 앞다투어 30, 40대 신진인사들을 영입해 대거 서울선거에 투입하려는 것도 이런 흐름을 읽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30대의 79.1%가 젊은층을 선호했고, 다음은 20대(72.2%) 40대(62.1%) 50대 이상(51.9%) 순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재 이상이 71.7%로 고졸(70.3%), 중졸 이하(52.6%)보다 높았다.
중진에 더 호감이 간다는 응답비율은 광주-전라(24.9%), 부산-경남(21.0%)에서만 20%를 넘었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25.9%)에서,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25.2%)에서 높았다.
유권자들이 지목한 현역의원 물갈이 우선대상은 단연 부정부패 비리 인사였다. 어떤 인사가 물갈이의 우선대상인지 두 가지를 순위대로 꼽아달라는 주문에 응답자의 77.6%가 부정부패 비리 인사를 1순위로 꼽았다. 다른 무엇보다도 비리에 연루된 정치인은 절대 안된다는 여론이 매우 강함을 극명하게 보여준 셈이다. 다음은 철새정치인(6.9%), 의정활동 부실자(4.4%), 반민주전력자(3.7%), 폭로저질발언 의원(2.7%) 순이었다.
2순위로는 의정활동 부실자(34.1%), 철새정치인(26.1%), 폭로저질발언 의원(16.6%), 부정부패 비리 인사(11.7%), 반민주전력자(11.6%) 순으로 꼽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