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民)의 한 수’였다. 세월호 참사, 대통령의 눈물에도 국민은 여야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다.
6월 4일 치른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은 경기, 인천, 부산을 포함해 광역단체장 8곳, 새정치민주연합은 서울과 충청권 등 9곳을 차지했다. 현재 새누리당 9곳, 새정치민주연합 8곳인 광역단체장 수가 ‘8 대 9’로 역전한 것. 새누리당은 한 석을 잃었지만 ‘세월호 참사’와 ‘안대희 총리 후보자 낙마’ 등 악재 속에서도 수도권 2곳에서 이기고, 최대 격전지였던 ‘텃밭’ 부산을 사수하면서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구청장수도 늘렸다. 기초단체장 226명 중 117명(새정치민주연합 80명, 무소속 29명)을 배출했다. 2010년 지방선거 당시 82석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설욕한 셈이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높은 지지율을 보인 중원 4곳과 강원을 야당에게 내준 점은 뼈아프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인천을 내줬지만 충청권 4곳(대전, 세종, 충북, 충남)을 휩쓸었고 밀실공천 비판을 받았던 광주에서 윤장현 후보가 당선하면서 선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기초단체장 선거는 92석에서 72석으로 줄었다. 결과적으로는 여야 어느 쪽도 승리를 주장할 수 없는 절묘한 성적표가 나온 것이다.
여론조사 숨은 표의 균형
이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견제·심판론’에 대해 일정 부분 손을 들어주면서도, 여권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열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새누리당 ‘텃밭’인 부산과 대구에서도 야권 표가 상당히 나왔지만, 결국 새누리당이 읍소한 ‘박근혜 마케팅’과 ‘국정 안정론’이 먹혀들었다는 분석이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은 ‘숨은 표’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형을 이뤘다고도 볼 수 있는 대목.
정치권에선 견제 및 균형 측면에서 황금분할 구도가 이뤄졌다는 분석과 함께 여야 모두 호된 질책을 받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2012년 총선과 대통령선거(대선), 박 대통령의 고공 지지율을 감안하면 새누리당의 압승이 예상됐지만, 세월호 참사와 ‘안대희 낙마’ 같은 국정 혼란에 대해 국민이 경고장을 꺼내들었다는 것. 새누리당 장윤석 비상대책위원은 “초강력 경고주사를 맞았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막판 통합진보당 후보들의 사퇴로 반(反)새누리당 구도가 조성됐지만 경기와 부산을 탈환하지 못했고, 박근혜 정부의 대형 악재에도 약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 정치와 대안 능력을 보여주지 않고 정부 실정에 기대 반사이익만 얻으려 한다면 언제든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는 또 다른 경고장을 국민이 내민 것으로 해석된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세월호 사태에 대한 엄정한 심판은 이뤄졌지만 여당과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기회를 줬다. 절반의 심판”이라고 말했다.
원내 제3당인 통합진보당은 ‘내란음모 사건’ 이후 열린 첫 전국 단위 선거에서 단체장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울산 동구, 북구에서 현역 구청장 후보가 출마했지만 새누리당 후보에 밀렸다.
이제 세월호 선거는 끝났다. 민심은 여야 모두에게 각자 몫에 맞는 책임을 추궁했다. ‘각자 자리에서 열심히 일하라’는 준엄한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어느 일방의 승리를 주장할 수 없게 되면서 ‘국가 개조’와 세월호 국정조사, 공직사회 혁신 등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혁신과 주도권 다툼을 벌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당장 7·30 재·보궐선거에서 또 심판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민의 한 수인 이유다.
6월 4일 치른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은 경기, 인천, 부산을 포함해 광역단체장 8곳, 새정치민주연합은 서울과 충청권 등 9곳을 차지했다. 현재 새누리당 9곳, 새정치민주연합 8곳인 광역단체장 수가 ‘8 대 9’로 역전한 것. 새누리당은 한 석을 잃었지만 ‘세월호 참사’와 ‘안대희 총리 후보자 낙마’ 등 악재 속에서도 수도권 2곳에서 이기고, 최대 격전지였던 ‘텃밭’ 부산을 사수하면서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구청장수도 늘렸다. 기초단체장 226명 중 117명(새정치민주연합 80명, 무소속 29명)을 배출했다. 2010년 지방선거 당시 82석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설욕한 셈이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높은 지지율을 보인 중원 4곳과 강원을 야당에게 내준 점은 뼈아프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인천을 내줬지만 충청권 4곳(대전, 세종, 충북, 충남)을 휩쓸었고 밀실공천 비판을 받았던 광주에서 윤장현 후보가 당선하면서 선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기초단체장 선거는 92석에서 72석으로 줄었다. 결과적으로는 여야 어느 쪽도 승리를 주장할 수 없는 절묘한 성적표가 나온 것이다.
여론조사 숨은 표의 균형
이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견제·심판론’에 대해 일정 부분 손을 들어주면서도, 여권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열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새누리당 ‘텃밭’인 부산과 대구에서도 야권 표가 상당히 나왔지만, 결국 새누리당이 읍소한 ‘박근혜 마케팅’과 ‘국정 안정론’이 먹혀들었다는 분석이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은 ‘숨은 표’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형을 이뤘다고도 볼 수 있는 대목.
정치권에선 견제 및 균형 측면에서 황금분할 구도가 이뤄졌다는 분석과 함께 여야 모두 호된 질책을 받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2012년 총선과 대통령선거(대선), 박 대통령의 고공 지지율을 감안하면 새누리당의 압승이 예상됐지만, 세월호 참사와 ‘안대희 낙마’ 같은 국정 혼란에 대해 국민이 경고장을 꺼내들었다는 것. 새누리당 장윤석 비상대책위원은 “초강력 경고주사를 맞았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막판 통합진보당 후보들의 사퇴로 반(反)새누리당 구도가 조성됐지만 경기와 부산을 탈환하지 못했고, 박근혜 정부의 대형 악재에도 약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 정치와 대안 능력을 보여주지 않고 정부 실정에 기대 반사이익만 얻으려 한다면 언제든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는 또 다른 경고장을 국민이 내민 것으로 해석된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세월호 사태에 대한 엄정한 심판은 이뤄졌지만 여당과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기회를 줬다. 절반의 심판”이라고 말했다.
원내 제3당인 통합진보당은 ‘내란음모 사건’ 이후 열린 첫 전국 단위 선거에서 단체장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울산 동구, 북구에서 현역 구청장 후보가 출마했지만 새누리당 후보에 밀렸다.
이제 세월호 선거는 끝났다. 민심은 여야 모두에게 각자 몫에 맞는 책임을 추궁했다. ‘각자 자리에서 열심히 일하라’는 준엄한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어느 일방의 승리를 주장할 수 없게 되면서 ‘국가 개조’와 세월호 국정조사, 공직사회 혁신 등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혁신과 주도권 다툼을 벌일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당장 7·30 재·보궐선거에서 또 심판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민의 한 수인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