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69

..

커버스토리

아이돌의 아이돌에 의한 아이돌을 위한 케이팝

아시아권 넘어 중동·유럽까지…“현재 성공에 취하면 미래 없다”

  • 김작가 대중음악평론가 noisepop@daum.net

    입력2016-12-23 17:35:1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 홍콩 소녀가 또렷한 한국어로 말을 걸어왔다. “아저씨, 지금 가는 거면 그거 나 줄 수 있어요?”

    소녀가 가리킨 건 내 목에 걸린 엠넷아시안뮤직어워즈(MAMA) 프레스 비표였다. 티켓 2만 장이 진작 동났기에 표를 구하지 못한 현지 케이팝(K-pop) 팬들이 공연장 주변에서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진을 치고 있었고, 행사가 끝나기 전 돌아가는 내게 어차피 버릴 비표라면 자신에게 달라며 말을 걸어온 것이다. 곤란하다며 거절했지만 묘한 기분이었다. 한국 팬도 아닌 홍콩 팬이 일상적으로는 쓰지 않을 한국어로 말을 걸어온 게 신기했기 때문이다. ‘한국말 잘하네’라고 혼잣말처럼 이야기하는 내게 동행이 말했다.

    “오빠, 저 애도 한국 가요나 드라마로 한국말 배웠을걸?”

    그렇게 말하는 동행 역시 오래전부터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로 한국어를 익힌 현지인이었다. 2016년 12월 3일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에서 열린 MAMA의 마지막 순간은, 그렇게 케이팝이 수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파급력을 작지만 생생하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한국 대중이 ‘미드’(미국 드라마)로 영어를 배우고, 일본 제이팝(J-pop)을 들으며 일본어를 습득하던 과정이 이제는 케이팝을 통해 역으로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에서 확인한 케이팝의 힘

    케이팝이라는 말을 일반적으로 쓰기 시작한 건 1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만, 동남아 일부에서 한국 대중음악 팬이 생겨났다. H.O.T. 또한 중국에서 성공을 거뒀다. 하지만 아직은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에서 성공에 지나지 않았다. S.E.S. 등이 일본 진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선진국에서 성공한 첫 사례로 기록될 보아는 말하자면 OEM 생산방식이었다. 그 후 동방신기가 한국에서 성공한 후 일본으로 진출해 오리콘차트 1위를 정복하고 도쿄돔 콘서트 매진 기록을 세웠다. 그때까지도 ‘한류’라는 말은 쓰였지만 케이팝은 일부에서만 사용하는 표현이었다. 다분히 제이팝을 의식한 조어였다.

    상황이 달라진 건 2011년이다. SM엔터테인먼트가 프랑스 파리에서 소속 가수들의 공연을 열었다. ‘SM타운 월드 투어 라이브 인 파리’로 명명된 이 공연의 티켓은 그해 4월 판매를 시작했고, 단 15분 만에 7000석이 매진됐다. 프랑스 현지인뿐 아니라 서유럽 각지에서 관객이 몰려들었다. 이는 ‘사건’이었다. 한국 아이돌 음악이 아시아를 넘어 유럽, 그중에서도 프랑스라는 ‘선진국’에서 통하고 있음을 자각하게 된 것이다.

    아이돌 음악에 비우호적이던 일간지와 지상파 뉴스가 일제히 지면과 시간을 할애해 이 공연을 비중 있게 다뤘다. 그리고 한국 아이돌 음악은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케이팝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이듬해 가을, 한국 언론이 매주 빌보드 순위가 발표되는 날을 생중계하다시피 하던 ‘강남스타일’의 세계적 신드롬은 케이팝에 대한 관점의 화룡점정이었다. 말하자면 영국 런던 피카딜리 서커스에,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삼성과 LG 광고 전광판이 걸리던 때와 비슷한 인식을 우리에게 심어줬다. 그 과정에서 겪은 특별한 일들은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2008년 ‘미스터’로 일본에 상륙한 카라의 뮤직비디오가 시부야역 광장의 메인 전광판에서 상영되는 걸 보며 일본시장에서 한국 음악이 확고한 중심에 섰음을 확인했다. 2011년 여름 일본 서머소닉페스티벌에 참가한 소녀시대의 공연을 보려고 4만 명 넘는 팬이 객석을 가득 채웠을 때는 비현실적인 감정까지 들었다. ‘강남스타일’ 신드롬이 한창일 때 미국, 독일 현지 언론과 인터뷰하면서도 어안이 벙벙했다. 2013년 4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케이팝 나이트’ 행사에 참가한 f(x)를 보려고 대낮부터 관객 1000여 명이 줄서 있는 풍경은 미국에도 케이팝 팬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징표나 다름없었다.

    이제 더는 그만큼의 짜릿함은 없다. 한일 외교가 악화되며 촉발한 반한감정 탓에 일본 내에서 한국 아이돌의 힘은 예전 같지 않다.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도 미래가 불투명하다. 현지에서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하는 한 프로듀서는 중국 인맥에게 들은 말을 전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는 사실 큰 문제가 아닌 것 같다. 당국도 북핵에 민감한 상태라 ‘그럴 수 있다’고 보는 분위기라고 한다. 진짜 문제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방중해 ‘형제의 나라’니 뭐니 그래놓고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을 졸속으로 처리하지 않았나. 시진핑이 대단히 화가 나 있는 상태라고 한다.”

    진위야 어찌됐든 현재 중국에서는 당국 차원에서 케이팝을 비롯한 한국 콘텐츠에 제재를 시작한 게 사실이다.



    아이돌 편중성 극복이 과제

    그렇다면 케이팝은 과거 홍콩 영화가 그랬듯, 일장춘몽으로 끝날까. 가능성은 반반이다. 범아시아 대중음악시장에서 한국 아이돌 시스템은 독보적인 기획 능력을 인정받는다. 유럽과 남미, 중동 등지에서도 케이팝은 여전히 하위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2016년 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케이콘 2016 아부다비(KCON 2016 Abu Dhabi)’ 행사 무대에는 방탄소년단, 태연 등이 올랐다. 그들을 보려고 관객 8000명이 몰려들었다. 아랍문화의 특성상 외부에 나갈 때 남성과 동행해야 하는 여성 관객들은 별도로 마련된 레이디스 존에서 히잡을 벗어던진 채 한국 아이돌에 열광했다. 케이팝이 중동 여성의 숨은 욕망을 폭발시키는 라이프스타일의 하나가 됐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현지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가 있어도 물꼬가 이미 터졌다. 비록 상승세가 더딜 수는 있겠지만 아예 막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제는 다양성이다. 100%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아이돌 편중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아이돌은 그 특성상 개인의 재능과 노력보다 기획 능력과 자본에 방점이 찍히는 시스템에서 육성된다. 1990년대 중반 SM엔터테인먼트가 미국과 일본의 아이돌 시스템을 벤치마킹해 지금의 엔터테인먼트 제국을 건설했듯, 한국의 시스템을 배우려고 투자와 인력 흡수에 여념 없는 중국 회사들이 머잖아 ‘차이나팝’을 성공시키지 못한다는 보장이 있는가. 세계 최대 내수시장과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에 이르는 화교까지 갖춘 중국의 저력에 인프라와 시스템까지 더해진다면 중국어권 시장에서 케이팝의 위상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할리우드가 그랬고 서구 팝이 그랬듯, 케이팝이라는 인식의 범위를 확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아이돌뿐 아니라, 다양한 아티스트가 케이팝 네트워크에 노출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짜장면과 짬뽕이 중국음식의 전부인 줄 알았다 다른 음식을 접하면서 그 심원한 맛의 세계에 놀라게 되는 것처럼, 한국 음악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전파해야 한다. 그런 다양성이 국내에서 확보되고 해외로 뿌려질 때 케이팝은 비로소 안정적인 지속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다. 어떤 거위가 황금알을 낳을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