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45

..

북한

대북제재 비웃는 中 기업 北에 임가공 주문 폭주

나선특구-청진, 투먼-훈춘 성황…“제재? 일이 더 많아졌다”

  • 김승재 YTN 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sjkim@ytn.co.kr

    입력2016-07-01 15:55:19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해 상반기 한반도는 4차 핵실험 등 북한의 잇단 도발과 이후 계속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격동의 시간을 겪었다. 2월 우리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을 전격 발표한 데 이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만을 겨냥한 미국 최초의 대북제재법안에 서명했다. 3월 초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전체회의에서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공식 채택했다. 그간 안보리가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안 가운데 가장 강력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서 독자적인 대북제재 방안을 추가로 발표했고, 6월 1일 미국 재무부는 북한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 대상국(primary money laundering concern)’으로 공식 지정했다.

    여기까지만 놓고 보면 북한은 치명타를 입어야 마땅해 보인다. 하지만 6월 말 필자가 중국 대북사업가를 통해 파악한 현실은 그렇지 않다. 최소한 임가공업 분야에서는 주문이 오히려 폭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임가공업은 광물업을 제외하고 북한의 최대 외화벌이 분야로 꼽힌다.



    중국 봉제기업, 북한 인력 6000명 고용계약

    6월 중순 북한 나선경제특구의 봉제업 분야 근로자 128명이 북·중 접경도시인 중국 지린성 훈춘시 개발구에 도착했다. 중국 정부로부터 공식 취업 비자를 받은 이들은 현재 훈춘 개발구의 한 중국 의류기업 봉제 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지난해 이 중국 기업은 북한 나선경제특구 측과 이곳에 거주하는 북한 근로자 6000명을 훈춘 개발구 내 공장에 고용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5층짜리 공장 건물을 지었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중국에서 가장 많은 북한 근로자를 고용한 기업이 된다.

    그런데 정작 근로자를 모집하는 과정에 뜻밖의 문제에 봉착했다. 훈춘 개발구 내 공장에서 일하겠다고 나서는 북한 근로자가 별로 없었던 것. 훈춘과 인접한 나선경제특구 주민들은 중국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의 삶이 고달프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는 등 힘들게 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자원자가 드물었던 것이다.



    상황은 올봄 이후 달라졌다. 국제사회 대북제재가 강화돼 외국 기업들의 주문이 줄면서 나선경제특구 근로자 상당수가 실업 위기에 처했고, 이제 이들은 훈춘 개발구 내 공장에서 일하겠다고 자원하기 시작했다. 희망 근로자 100여 명이 먼저 모집되자 중국 기업은 신체검사를 실시하는 등 이들의 중국 입국 준비를 서둘렀다. 하지만 이번에는 국제사회 대북제재에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었던 중국 정부가 상당 기간 이를 보류했다. 중국 관계 당국이 뒤늦게 이들의 입국을 허가하면서 근로자 128명은 한 차례 더 신체검사를 받고 6월 중순 훈춘에 도착했다. 곧이어 7월에도 나선경제특구 지역 근로자 300여 명이 추가로 입국할 예정이다.  

    이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는 두 가지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동종 업종의 다른 북한 근로자에 비해 상당히 높은 인건비를 받는다는 점이다. 식대와 기숙사 비용을 제외한 이들의 인건비는 1900위안(약 34만 원)으로 책정됐다. 중국 내 비슷한 업체에서 취업 비자를 받아 일하는 북한 근로자의 인건비는 1500위안(약 27만 원)이다. 30% 정도 더 받는 셈이다. 물론 그만큼 북한 당국으로 들어가는 외화는 늘어난다.

    또 다른 특징은 이들이 만드는 제품이 중국 내수용으로 팔린다는 점이다. 중국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의 북한 근로자 공장에서 만드는 제품은 주로 미국과 유럽, 일본, 한국 등에 수출된다. 세계 각국 기업이 중국 기업을 표면에 내세워 합작하는 방식으로 저렴하고 숙련된 북한 근로자를 고용해 수출용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반면 훈춘 개발구 내 중국 기업은 자국 내수시장을 겨냥해 북한 근로자를 고용했다. 이 회사는 이미 북한 나선경제특구에도 봉제공장을 건설해 운영 중이다. 두 나라 모두에서 북한 근로자를 대거 고용해 중국의 거대 내수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기업 외에도 투먼 조선(북한)공업단지 안에 있는 의류기업이 8월쯤 북한 근로자 120명을 받기로 하는 등 최근 투먼과 훈춘에는 신규 북한 근로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4월만 해도 중국 세관당국은 대북사업가들을 불러 모아 대북투자 및 투자 목적 방북 금지를 시사했고, 이 때문에 적잖은 대북사업가가 사업 포기를 고민해야 했다. 그러나 이후 중국 정부가 북측 인력에 대해 숨통을 터주면서 북한 근로자들이 중국 땅으로 활발히 유입되고 있는 것이다.

    훈춘의 한 대북 사업가는 “현재 북한이 나선경제특구와 그 창구라 할 중국 투먼, 훈춘 일대에서 임가공업으로 막대한 외화 수익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나선경제특구는 외부와 단절돼 대북제재로부터 안전하다는 소문이 널리 퍼지면서 외국 기업들의 주문이 몰리고 있다는 것. 이 지역의 북한 공장들은 주문이 넘쳐나자 30% 마진을 남기고 부근 청진시로 일감을 돌리고 있다고 그는 전했다. 이로 인해 청진의 임가공 공장들 역시 쉬는 곳 없이 모두 가동되고 있다는 설명이었다.

    정부는 제재 공언, 기업은 북한 인력 확대

    이러한 성황은 나선경제특구의 창구인 중국 지린성 투먼과 훈춘 지역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훈춘과 투먼에서는 각각 10여 개 기업에서 북한 근로자 7000여 명이 일하고 있다. 수출 물량 주문이 몰려들어 밤 11시까지 기계를 돌리는 상황. 훈춘의 한 대북사업가가 북한 근로자 공장 측에 추가 주문을 받아줄 수 있느냐고 묻자 북한 인력 담당자가 “지금은 꽉 차서 안 된다. 가격을 좀 올려주면 모를까”라고 답했다고 한다. 대북제재로 어렵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까딱없다. 일이 더 많아졌다. 우리 조국을 전 세계가 인정하는 것”이라고 큰소리쳤다는 것. 현실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북한 근로자에게 임가공비를 10% 이상 올려주며 주문을 넣고 있다. 투먼과 훈춘에서는 북한 근로자가 일하는 공장을 찾는 유럽 사업가들 모습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2월 10일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이후  5개월, 3월 2일 안보리 대북제재 결정 이후 4개월. 중국에서 활동하는 대북사업가들은 ‘제재는 말로만 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한때 철수까지 검토했던 세계 각국 기업은 이제 제재가 형식적이라고 확신하며 북측과 은밀히 거래를 확대하고 있다. 북한 근로자만큼 저렴하고 성실하며 숙련된 인력을 찾을 수 없다는 현실적 요인이 그 주요 배경이다. 모든 나라가 대북제재를 외치는 가운데 정작 이들 국가의 기업들은 앞다퉈 북한 인력을 고용하는 아이러니한 현실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