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30

..

최성자의 문화유산 산책

충남 태안 낭금갯벌에서 50년 만에 복원

잃어버린 맛 전통소금 ‘자염’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sjchoi5402@naver.com

    입력2016-03-21 11:17:49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넓은 바다가 사람에게 한없이 주는 선물이 소금이다. 소금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물품이기도 하다. 사람 사는 데는 어디를 가도 소금이 있다. 큰 시장 한쪽에 소금 항아리가 자리를 잡았고, 강 상류 마지막 나루에 내리는 뱃짐에도 소금이 있었다. 큰살림이든 신접살림이든 소금 단지가 필요했고, 깊은 내륙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도 등짐장사의 소금길이 열렸다.
    소금은 여러 방식으로 만든다. 바닷물이나 소금호수가 증발해 암염이 된 지층을 발굴해서 얻기도 하고, 사막으로 변한 호수 바닥에서 거두기도 한다. 알프스산맥의 산줄기를 파고 내려가 캐내기도 하고, 우리나라처럼 바닷가 소금밭에서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해안이 넓은 평지에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곳이 가장 좋은 지역이다.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금리에서는 1990년대 말 마을회관 한 층에 지역문화 전시실을 만들었다. 이때 기증받은 유물 가운데 커다란 가마솥이 있었다. 그 가마솥은 전통소금 자염(煮鹽)을 끓이던 솥이다. 태안문화원은 전통소금인 자염을 재현하고자 조사에 나섰다. 자염을 생산한 경험이 있는 정태호(80), 정윤영(82) 씨의 협조로 낭금갯벌의 옛 염밭터를 찾아냈고 2001년 5월 50여 년 만에 자염 복원에 성공했다.
    천일염은 바람과 태양으로 만들지만 자염은 글자 그대로 ‘바닷물을 솥에 넣고 끓여서 만든 소금’이다. 현재 국내에서 갯벌 자염을 생산하는 지역은 태안 외 전북 고창과 전남 순천 정도다. 삼국시대 때부터 생산되던 자염은 일제강점기에 거의 사라졌다. 해방 이후엔 염전이 많은 북한으로부터 소금이 공급되지 않아 소금값이 폭등했다. 1950년대 민간염전을 적극 권장하면서 생산성이 높은 천일염이 선호되고 갯벌 자염은 거의 사라졌다. 농경지를 확보하는 간척사업 때문에 갯벌도 크게 줄었다.
    낭금갯벌은 1964년 허술한 간척지 제방이 무너져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게다가 자염 생산의 최적 조건인 모래가 10% 정도 섞인 곳이다. 옛 방식대로 갯벌에 통자락을 설치한 뒤 고인 물을 모아 가마솥에 넣고 끓였다. 갯벌 흙은 조석간만의 차가 최저일 때 바짝 마르고 사리 때가 되면 바닷물이 들이쳐 염도가 오른다. 정지수 태안문화원 국장은 “3도인 바닷물 염도가 바짝 마른 갯벌의 흙을 만나 14도까지 오른다. 칼슘 함량도 갯벌 때문에 올라가고, 조금이 길수록 질 좋고 단맛이 나는 순한 소금이 된다”고 말한다.
    낭금갯벌 소금은 생산량이 적어 채산성도 낮았다. 그래서 전통방식을 유지하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했다. 갯벌 흙을 퍼 탱크에 담고 바닷물을 부어 함수를 받아낸 뒤 끓이는 방식이다. 함수 3t을 8~10시간 끓이면 대략 60~70kg의 소금이 생산된다. 이것이 요즘 광고하는 ‘소금굽는사람들’이 만든 태안자염이다.
    전통방식의 소금 생산은 프랑스 브르타뉴 주에서도 인기다. 게랑드 소금은 15세기부터 전 유럽에 퍼질 정도로 생산되다 근대 들어 몰락했다. 1970년대 지역민이 ‘게랑드 소금 복원사업’을 벌여 옛 방식대로 생산한 이후 다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소금은 웰빙 영향도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넘친다. 외국에선 염전이나 암염산지를 문화산업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여행자가 선호하는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호인 폴란드 비엘리치카 소금광산이 그렇다. 지난 2년간 세계 소금산지를 돌아보고 최근 사진집 ‘염전에 가다’를 낸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전통자염의 가치를 재발견했다. 그런 기술이 인멸되기 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