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50

..

기대 인플레이션, 금리인상·기름값 안정으로 잡는다

화폐가치 하락 전 소비 행위↑… 기대감 차단이 우선되는 이유

  • 한지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애널리스트

    입력2022-08-02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금 금융시장은 브레이크가 고장 난 모습이다. 코스피는 7월 25일 기준으로 정확히 1년 만에 약 930포인트가 빠졌고(3330→2400), 월간 기준으로 6월 한 달 동안 13% 넘게 하락했다. 코스피가 월간 10% 이상 급락한 사례는 외환위기(IMF 구제금융), 카드 대란, 리먼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등 대형 시스템 위기 때를 제외하고는 없다. 또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20원대를 돌파하며 금융위기가 진행 중이던 2009년 4월 이후 가장 높게 치솟은 상태다. 외국 상황도 마찬가지다. 전 세계 대장주인 미국 나스닥 지수는 이미 고점 대비 30% 넘게 하락하면서 약세장(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약세장으로 규정)에 깊숙이 진입해 있고, 달러 인덱스(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는 108선을 돌파해 2002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강달러’를 넘어 ‘킹달러’ 현상을 연출하고 있다.

    이쯤 되면 “우리가 모르는 대형 악재가 터진 것은 아닐까”라는 불안감이 엄습한다. 다행히 블랙스완급 대형 악재가 터진 것은 아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경기침체, 에너지 위기 같은 기존 불확실성 혹은 악재가 지금까지 금융시장을 괴롭히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유발한 근본적 원인은 고(高)인플레이션(=고물가)이며 ‘인플레이션→중앙은행 금리인상→시중 유동성 감소 및 수요 둔화→경기침체 우려 증폭→금융시장 불안’으로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재화 기여도 에너지보다 커

    통상적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리먼 사태 등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제한적으로 충격이 가해지거나 시차를 두고 진행된다. 하지만 지금은 인플레이션이 문제다 보니 당장 밖에만 나가도 기름값, 장바구니 물가, 비행기 및 숙박비, 그리고 직장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런치 인플레이션(점심값 급등) 등을 실물경제에서 빠른 속도로 체감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은 잡힐 수 있을까. 경제학계에서 “인플레이션이 잡힌다” 기준은 대부분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대 내외고, 금융시장에서는 4%대에 해당한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인플레이션이 빠른 시일 내 잡히기는 어렵다. 지금 인플레이션 문제로 가장 골머리를 앓고, 또 그 과정에서 전 세계 금융시장에 혼란을 주고 있는 미국을 살펴보면 7월 13일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가 그야말로 충격적이다. 헤드라인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9.1%를 기록하며 5월(8.6%) 및 시장 예상치(8.8%)를 모두 웃돌면서 41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물론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는 5.9%로 전월(6.0%)에 비해 둔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도 현 시점에서는 근원 소비자물가보다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와 기대 인플레이션 중시하는 만큼 위안거리가 되지 못한다.

    세부 내용을 봐도 지금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공급 충격뿐 아니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연수요 및 보복수요가 맞물리면서 사회 곳곳으로 확산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분석 결과 에너지보다 서비스와 재화 품목의 물가 기여도가 더 높다는 것이 그 근거다(그래프1 참조). 이렇게 서비스와 재화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는 원인은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앞으로도 계속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는 것은 현금 화폐의 실질가치(명목금액에서 인플레이션 차감)가 하락한다는 의미다. 이 경우 경제주체들은 자신들의 실질 구매력이 악화되기 전 물건을 미리 소비하는 행위를 하고, 그 결과 수요가 계속 물가를 견인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기대 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인플레 잡히지 않으면 금리인상 계속할 것”

    결국 현재 9%대를 넘어선 미국 인플레이션(한국은 6%대)을 진정시키려면 기대 인플레이션이라도 먼저 억누를 필요가 있다. 최소한 인플레이션이 현 시점보다 더 높아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즉 인플레이션 피크아웃(고점을 찍고 하락)만 확인해도 금융시장이나 실물경제의 혼란은 악화되지 않을 것이라서 현재 연준이 하려는 작업도 이와 관련이 깊다. 연준은 6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에서 75bp(1bp=0.01%p) 금리인상을 했고, 7월 FOMC(26~27일)에서도 75bp라는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큰 폭의 금리인상을 통해 시중 이자 부담을 늘리는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으면 잡힐 때까지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가해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의도다. 빠른 시일 내 가시적 효과가 이렇게 기대 인플레이션을 떨어뜨리면 시차를 두고 실제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도 긍정 작용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또 다른 방법은 기름값 안정이다. 6월 28일 미국 여론조사 전문기관 갤럽이 조사한 결과, 미국인의 3분의 2 이상(67%)이 기름값 상승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에도 기름값 부담 탓에 이전보다 운전을 덜하게 됐으며(62%), 이로 인해 휴가 계획을 변경한 사람도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46%). 이처럼 기름값은 미국, 한국 등 주요국 일반 가계주체들의 심리적 인플레이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중산층 이하 서민에게는 더 중요한 요인이자 유권자들의 표심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와 관련해 미국 미시간대가 집계한 소득 분위별 5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자(그래프2 참조). 6월 기준 상위 25%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1.2%, 중위 50%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3%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하위 25%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5.2%대로 199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하위 25%의 기대 인플레이션 급등이 전반적인 기대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고 있는 만큼, 이들 계층의 기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도 미래의 실제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바이든 정부가 중동의 원유 증산을 이끌어내려 하거나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를 도입하려 하는 것도 기름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보면 된다.

    아직까지는 정부 차원에서 단행하려는 정책들이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긍정적 측면을 찾자면 6월 이후 원유, 농산물, 비철금속 등 원자재 가격이 대부분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 세계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심지어 한국은행도 7월 13일 50bp 금리인상 빅스텝 단행)이 채권시장에 반영되고 있는, 일간 단위로 추적 가능한 기대 인플레이션율(Breakeven Rate: 명목 국채금리에서 물가연동채 금리를 차감한 지표)을 진정시키고 있다. 이는 이르면 7월 말 미시간대 혹은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하는 실물경제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인 기름값 등 에너지 가격 진정 대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둔다면 연내에 물가가 빠르게 내려가지 않더라도 최소한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는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금융시장 불안과 서민물가 고통이 더는 악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