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옴부즈맨

일제 징용 恨 빨리 풀어줘야

  • 이상기 TheAsiaN 발행인, 전 한국기자협회장
입력
2012-07-23 10:17:00
  • 작게보기
  • 크게보기

일제 징용 恨 빨리 풀어줘야

일제 징용 恨 빨리 풀어줘야
2003년 8월 말 필자는 카자흐스탄 알마티를 방문했다. 한국기자협회 회장이던 필자는 그해 한국기자상 수상자 10여 명과 동행했는데, 마침 거기서 1923년 ‘아방가르’(선봉)를 제호로 출발한 ‘고려일보’ 창간 80주년 기념행사가 열려 그 자리에 참석했다. 1932년 평남 안주 출신으로 한글판 편집을 맡은 양원석 고려일보 주필을 만난 것 역시 필자에겐 귀한 인연이었다. 2006년 5월 74세 생일을 열흘 앞두고 고인이 된 그가 남긴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

“이민 3, 4세대 대부분이 고려어를 몰라 한글판 독자가 점점 줄어들어 걱정이다. 소비에트 시절에는 국가가 어느 정도 도와줘 작가들이 드물게나마 책을 낼 수 있었는데,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시장경제체제로 넘어오면서 돈 없는 사람이 책을 펴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는 서울의 ‘시와 전설’이라는 작은 출판사에서 시집을 냈노라며 ‘카자흐 초원’이라는 시를 한국 기자들 앞에서 암송했다. “어머님 품마냥 한없이 넓은 초원/ 밤하늘 별나라 바라볼 때면 구수한 들쑥 냄새/ 달콤한 꿈까지 보게 됩니다/ 이역살이 괴로움도 잊게 됩니다.”

‘주간동아’ 846호의 ‘일제 징용 피해자 유골 찾기’ 기사에 양원석 주필이 지하에서 얼마나 행복할까 생각해봤다. 다음 문장이 특히 짠하게 울려온다. “남자 없이 농사짓고 사느라 죽을 뻔했어. 살라믄 안 해본 거 뭐 있간. (중략) 둘째는 태어난 지 열흘 만에 갔어(죽었어). 종배 아버지가 종배 세 살 때 사할린에 갔는데….”

우리에게 잊혀가는 ‘우리’가 너무 많다. 불과 한 세기 전 조국이 일제에 침탈당하며 겪은 일들, 60년 전 전쟁 참화 속에서 잃은 시간과 공간, 그리고 사람들…. 우리는 언제까지 그들을 망각의 세계에 처박아둘 텐가. 주간동아의 구실이 기대된다.



주간동아 847호 (p80~80)

이상기 TheAsiaN 발행인, 전 한국기자협회장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392

제 1392호

2023.06.02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