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58

2014.10.13

공 하나에 울고 웃는 가을의 전설

가을엔 야구

  •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장 trendhitchhiking@gmail.com

    입력2014-10-13 11:0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을은 독서의 계절, 전어의 계절 이전에 야구의 계절이다. 엄밀히 말하면 잘하는 야구팀의 계절이다. 한 해 치른 시즌의 대미를 장식하는 시기가 가을이기 때문이다. 미국 메이저리그나 일본 프로야구, 한국 프로야구 모두 ‘가을야구’만 남겨두고 있다. 팬 처지에선 응원하는 팀이 가을야구를 하는 것만큼 행복한 일도 없다. 전 세계적으로 축구팬도 많지만, 야구팬도 그에 뒤지지 않는다. 축구는 공 하나면 되지만 야구는 공과 글러브, 배트 등 장비가 더 필요하다. 좀 더 돈이 들어가는 스포츠이자 취미인 셈이다.

    ‘전설’들의 경기 보며 누리는 기쁨

    올해 한국 프로야구는 끝까지 흥미롭다. 부동의 1등 삼성 라이온즈가 우승할까, 프로 2년 차 막내 NC 다이노스가 가을야구에서 얼마나 좋은 성적을 거둘까도 관심사지만, 가장 큰 관심은 따로 있다. ‘야구만 빼고 다 잘한다’는 한화 이글스가 과연 꼴찌를 탈출할 수 있을까다. 몇 년째 만년 꼴찌지만 후반기 들어 무서운 기세로 치고 올라오는 아주 끈질긴 팀이 됐기 때문이다.

    메이저리그에선 만년 꼴찌팀 캔자스시티 로열스가 극적으로 가을야구를 하게 됐다. 늘 잘하던 강팀보다 약팀의 선전에 사람들은 더 감동한다. 올해 류현진만큼 한국 남자들에게 즐거움을 준 선수도 없을 듯하다. 예전 박찬호처럼 말이다.

    오늘의 작은 사치는 야구다. 야구와 사치가 무슨 상관이냐 싶겠지만, 야구를 어떻게 보느냐, 어디서 보느냐에 따라 일상의 즐거움이 달라진다. 야구장에 가는 것도, 야구 글러브를 갖는 것도 일상의 사치다.



    메이저리그에 대한 내 개인적 기억은 랜디 존슨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야구장에서 직접 관람한 첫 번째 야구경기에 당시 무서운 루키 랜디 존슨이 등판했다. 그가 누구인지도 모르던 때였다. 운명 같은 첫 인연 덕에 역사상 가장 강력한 좌완 파이어볼러 랜디 존슨을 20년 정도 응원했다.

    그 때문인지 TV로 야구중계를 볼 때면 유독 투수에게 감정이입을 하게 된다. 왼손엔 롤링스 야구 글러브를 끼고, 오른손엔 메이저리그 공인구를 쥔 채 투수의 공 그립을 따라 하며 TV를 본다. 류현진이 슬라이더를 던지면 나도 슬라이더 그립을 잡는 식이다. 물론 직접 던질 순 없다. 집 안에서 던지면 뭔가가 깨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손때 묻은 야구공과 글러브가 책상 가까이에 놓여 있다. 야구팬으로서 그냥 좀 더 몰입해서 응원하고픈 마음에 글러브와 공을 좋아하는 것뿐이다.

    어릴 적엔 친구들과 흙먼지 나는 운동장에서 야구를 꽤 많이 했다. 국내 프로야구가 출범한 1982년에 초등학생(당시엔 국민학생)이었다면 다들 그랬겠지만, 학교가 끝나면 친구들을 모아 야구를 했고, 학교에선 쉬는 시간마다 운동장으로 나가 짧은 시간 야구를 즐겼다. 바둑에서 복기를 하듯 빈 운동장은 금세 직전 쉬는 시간 상황으로 되돌아간다. 30, 40세대 중 유독 사회인 야구단 멤버가 많은 건 80년대를 그렇게 보낸 영향일 거다.

    프로야구 시즌은 봄부터 가을이지만 사회인 야구는 겨울에도 한다. 사회인 야구팀은 프로야구 2군 선수에 버금갈 정도라는 1부 리그부터 친선모임 같은 4부 리그까지 전국에 2만 개 팀 이상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일반인이 가장 많은 3부 리그는 연간 운영비가 팀별 400만~500만 원이라고 한다. 리그 참가비와 야구공, 유니폼 같은 공용장비에 들어가는 돈이다. 글러브와 배트 같은 개인 장비는 각자 부담하고, 이런 것까지 다 합치면 팀당 1000만 원은 금방 넘어간다. 물론 야구 하고 나서 먹고 마시는 비용을 더하고, 개인 장비에 욕심을 내다 보면 돈은 더 들어갈 수밖에 없다. 이렇듯 사회인 야구를 하는 데도 돈이 필요하다.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돈을 쓰는 거라면 그 또한 일상의 작은 사치이자 행복을 위한 투자라 할 수 있다.

    사회인 야구를 하는 사람은 정말 야구가 좋아서 한다. 야구를 좋아하기에 경기를 관람하러 경기장에도 많이 간다. 프로선수들의 해외 전지훈련을 보러 가거나 메이저리그 경기를 보러 미국에 가는 이도 꽤 된다.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사치다.

    공 하나에 울고 웃는 가을의 전설

    5월 6일 부산 사직구장은 올 시즌 처음으로 만원 관중을 기록했다. 롯데 루이스 히메네스가 이날 두산전에서 2회에 이어 3회에도 홈런포를 쏘아 올리자 관중석을 가득 메운 부산팬들이 환호하고 있다.

    야구장에 찾아가면 또 다른 재미

    올해 은퇴하는 데릭 지터는 20년간 뉴욕 양키스의 핀 스트라이프를 입은 살아 있는 전설이다. 양키스 홈구장에서의 마지막 경기 9회 말 동점 상황에서 끝내기 안타를 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했고, 그의 메이저리그 마지막 경기가 된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경기에선 안타와 타점을 기록하며 선수생활을 화려하게 끝냈다. 영원한 캡틴이자 양키스 영구 결번의 영광을 누릴 자격을 가진 전설다운 마무리였다. 랜디 존슨과 페드로 마르티네즈, 지난해 은퇴한 마리아노 리베라의 전성기를 함께하고 클레이턴 커쇼를 지켜보는 것도 큰 즐거움이다.

    때로는 선수 등번호가 새겨진 저지를 입고, 마치 그 선수가 된 양 일을 하기도 한다. 안 풀리던 문제를 풀 때는 이 방법이 요긴하다. 일을 급히 마무리해야 할 땐 42번(재키 로빈슨)을 찾고, 리더십이 필요할 땐 2번(데릭 지터)을, 강력하게 밀어붙일 일이 생기면 51번(스즈키 이치로)을 찾는 식이다. 야구공을 손에 쥐고 문제도 많이 풀었다. 집중력이 필요할 때면 야구가 힘을 준 셈이다. 야구공이나 글러브, 선수 유니폼 등은 이처럼 직접적으로 상관이 없는 상황에서도 쓰임새가 있다. 그래서 돈을 주고 사더라도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허투루 쓴 게 아닌 셈이다.

    TV로만 야구경기를 봤다면 야구장에 가보기를 권한다. 응원하는 팀의 모자를 쓰고, 좋아하는 선수의 등번호가 새겨진 저지를 입고, 글러브를 들고 야구장 안으로 들어갈 때만 누리는 즐거움이 있다. 운 좋게 파울 볼이나 홈런 볼이라도 잡는다면 최소 한 달치 술자리 얘깃거리다. 수많은 사람이 모여 열광하고 같은 편을 위해 응원하고 박수치면서 경험하는 카타르시스도 있다.

    프로야구 입장료는 구장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대개 1만 원 내외라 3시간 정도 즐기기엔 적당한 금액이다. 가족이나 친구끼리 가서 간식과 맥주를 먹으며 신나게 소리를 지르다 오면 이보다 더 즐거울 수 없다. 올해도 이럴 수 있는 기회가 얼마 안 남았다. 어떤 팀의 팬이건 상관없다. 그들의 열정에 부응하는 응원을 하고, 야구 자체의 매력에 빠지면 된다.

    야구의 계절 가을, 손에는 글러브를 끼고 야구장으로 시선을 돌려보자. 지극히 건강한 사치를 누려보자.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