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77

2001.03.29

홈쇼핑, 과연 황금알 낳을까

사업자 승인 신청에 12개 컨소시엄 몰려 … 전문가들 “낙관은 금물”

  • < 윤영호 기자 yyoungho@donga.com >

    입력2005-02-18 15:2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홈쇼핑, 과연 황금알 낳을까
    ‘마지막 남은 최대 이권사업’ ‘황금알을 낳는 거위’. TV 홈쇼핑 채널 사업권을 두고 하는 얘기다. 방송위원회(위원장 김정기)가 2월28일 마감한 신규 TV 홈쇼핑 채널 사업자 승인 신청에 12개 컨소시엄이 몰린 것도 이런 인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가 3월1일 전체회의를 열고 TV 홈쇼핑 채널을 3개 추가 승인키로 한 만큼 앞으로 TV 홈쇼핑 시장은 기존의 LG홈쇼핑과 CJ삼구쇼핑을 포함해 5자 구도로 바뀌게 된다.

    놀라운 사실은 12개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업을 모두 합하면 1926개 사나 된다는 것. 중소기업진흥공단처럼 컨소시엄을 구성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업권 신청을 한 곳도 있지만 세우테크노산업㈜이 주도한 컨소시엄 세우연합홈쇼핑㈜에는 무려 658개 사가 주주로 참여했다. 방송위의 사업자 선정 결과 발표(4월2일)를 앞두고 재계가 술렁이는 것도 이해할 만하다.

    이처럼 많은 기업들이 ‘줄서기’를 할 정도로 TV홈쇼핑 사업은 과연 ‘황금알’을 낳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TV홈쇼핑 사업이 새로운 성장 산업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사업권 획득=황금알’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기존 업체뿐 아니라 예비 사업자들 사이에서도 “자칫하면 과거 무턱대고 뛰어들었다가 큰 낭패를 본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자나 지역 민방 사업자들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홈쇼핑, 과연 황금알 낳을까
    다만 홈쇼핑 사업자가 새로 선정되면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소비자들에게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 특히 허위-과장 광고, 방송 내용과 다른 상품의 배달, 배송 지연, 취약한 리콜시스템 등 그동안 TV 홈쇼핑의 문제로 지적됐던 상당 부분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업체든 신규 업체든 선택의 폭이 넓어진 소비자들을 붙잡기 위해 이런 문제부터 바로잡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그간 TV홈쇼핑 사업의 성장세로만 본다면 황금알이라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LG홈쇼핑과 CJ삼구쇼핑의 작년 매출액 합계는 약 1조원. 96년 두 회사의 매출액 335억원과 비교하면 4년 만에 무려 35.6배의 성장을 이룩한 셈이다. 단기간에 이처럼 급성장한 업종은 없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런 성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경제연구소와 LG경제연구소는 2005년 홈쇼핑 시장 규모를 각각 6조9000억원과 2조3500억원으로 추정했다. 반면 방송위 연구 용역 의뢰를 받은 리서치앤리서치사는 2005년 홈쇼핑 시장 규모를 4조20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홈쇼핑 사업 신규 참여를 희망하고 있는 반면, LG는 이미 홈쇼핑 사업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연구소 모두 해당 그룹의 이해를 정확히 대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리서치앤리서치사가 예측한 시장 규모를 객관적인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미디어 환경 변화란 올해 말 위성방송 실시, 방송위가 추진중인 중계유선방송(난시청 지역에서 단순히 공중파 방송을 중계해주는 사업자)의 SO 전환 등을 의미한다. 특히 위성방송 실시는 홈쇼핑 채널 사업자 입장에서는 자기 프로그램을 송출할 수 있는 미디어로 케이블TV 외에 위성방송도 확보했다는 의미.

    지난해 6월 현재 케이블TV 가입자 가구는 251만. 방송위가 연구 용역을 의뢰한 리서치앤리서치사는 2005년 케이블TV 가입자를 531만 가구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KDB는 일단 올해 9만2000 가구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2005년에는 이를 275만8000 가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추정대로라면 2005년 경에는 홈쇼핑 채널 사업자로서는 806만8000 가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송출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이처럼 홈쇼핑 시장의 급성장이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신규 사업권을 획득하게 될 사업자들 모두에 ‘축복’이 될 수 없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PCS 사업에서 보듯 아무리 성장성이 유망한 업종이라고 해도 5개 업체 모두 살아남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결국에는 하위 업체 한두 곳은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런 견해는 3월13일 국무회의에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하나는 홈쇼핑 채널 의무전송 폐지. 그동안 SO나 위성방송 사업자는 보도 채널과 함께 홈쇼핑 채널을 의무적으로 송출하도록 돼 있었다. 그러나 방송위는 홈쇼핑 채널이 의무 전송을 규정할 정도로 공익적인 성격을 갖지 못할 뿐 아니라 SO 및 위성방송 사업자의 채널 구성 자율성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 규정을 폐지한 것.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홈쇼핑 채널 사업자로 선정되더라도 SO가 이 채널을 틀어주지 않으면 시청자에게 접근조차 불가능한 일이 생길 수도 있게 됐다. 이는 홈쇼핑 채널 사업자 입장에서는 자기 채널 송출을 보장받기 위해, 더 나아가서는 더 좋은 채널 번호를 배정받기 위해 SO를 상대로 치열한 ‘로비전’을 벌일 수밖에 없게 됐고, 이에 따라 SO 마케팅비도 늘어나게 됐음을 의미한다.

    예비 홈쇼핑 채널 사업자들은 이번 개정안이 자신들에게 일방적으로 불리한 내용이라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이번에 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한 업체 관계자는 “LG홈쇼핑이나 CJ삼구쇼핑 채널은 그동안 시청자에게 많이 노출됐기 때문에 SO 입장에서는 쉽게 송출 중단을 결정할 수 없는 반면 신규 홈쇼핑 채널은 이런 부담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LG홈쇼핑이나 CJ삼구쇼핑 등 기존 홈쇼핑 채널 사업자들이 이미 SO 지분을 매입, 홈쇼핑 채널 의무전송 폐지에 대비해온 것도 신규 사업자로서는 부담이다. LG홈쇼핑과 CJ삼구쇼핑이 지분을 매입한 SO는 각각 18개와 15개. 이들은 앞으로도 기회가 닿는 대로 다른 SO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한다는 계획. 물론 예비 사업자들은 그들대로 채널 전송을 보장받기 위해 홈쇼핑 채널 사업자 승인 신청 때 구성한 컨소시엄에 SO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홈쇼핑 채널 의무 전송 폐지는 기존 업체나 신규 업체 모두에 부담이 되고 있다. LG홈쇼핑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SO 마케팅비가 매출액의 0.79% 수준인 48억원 정도였으나 올해는 예상 매출액 8500억원의 2%인 170억원을 책정해 놓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SO 마케팅비를 비롯해 카드 가맹점 수수료, 배송 포장비, 프로모션 비용, 카탈로그 제작 비용, 콜센터 비용 등 판매 부대 비용이 판매관리비 중 77% 정도나 돼 매출액이 늘더라도 수익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홈쇼핑 시장 선두 업체인 LG 홈쇼핑의 작년 매출원가는 71.8% 수준. 반면 상장업체인 현대-신세계백화점의 작년 9월까지 매출원가 평균은 77.4%. 현재로선 홈쇼핑이 백화점보다 마진율이 좋다. 그러나 홈쇼핑 사업의 경우 앞으로 경쟁이 격화되면서 상품 가격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럴 경우 매출원가는 당연히 상승한다. 내부의 경영 합리화가 없다면 이익률 하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

    신규 업체가 내는 방송발전기금 50억원도 적은 게 아니다. 초기 투자비(200억~500억원)의 10~25%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홈쇼핑 사업의 앞날은 결코 낙관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일부 업체들이 전직 장관이나 국회의원 등을 내세워 홈쇼핑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모습을 보면 ‘남이 하니까 나도 한다’는 우리 기업의 고질 가운데 하나인 ‘미투(me too) 주의’를 보는 것 같아 씁쓰레할 뿐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