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71

..

남녀 말싸움서 여성이 이기는 까닭은…

감정 표현 능력·말의 양 월등 ‘뇌구조 차이’… 단어선택·어법 등 언어구사 형태도 달라

  • 입력2005-03-18 14:1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녀 말싸움서 여성이 이기는 까닭은…
    여: “여보, 나 오늘 운전면허시험 봤어요.”

    남 : “어떻게 됐어?”

    여 : “붙었어요.”

    남 : “잘됐군.”

    이런 대화를 마치면 남편은 더 이상 관심이 없다. 결과를 알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인은 계속해서 남편을 쫓아다니며 장황하게 과정을 설명한다. “아침에 유치원버스가 늦게 도착했고 … 시험장에 간신히 도착해서 … 차가 너무 낡아 불안했고 … 앞에 시험 본 사람은 … 합격해서 얼마나 기쁜지….” 이에 대해 남편은 신문에서 눈을 떼지 않은 채 ‘응’ ‘그래’ 하고 건성으로 답할 뿐이다. 마침내 화가 난 부인이 쏘아붙인다. “도대체 나에겐 관심이 없군요. 난 당신에게 뭐죠?”



    곧잘 부부싸움으로 번지는 이런 식의 대화는 사실 어느 가정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똑같은 언어를 써서 말을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대화방식에는 어떤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대화는 남성은 ‘해결’ 위주의 대화를, 여성은 ‘공감’ 위주의 대화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예다.

    남성은 결과, 여성은 과정 위주 대화

    남녀 말싸움서 여성이 이기는 까닭은…
    남성과 여성의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 문헌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남성은 ‘결과’를, 여성은 ‘과정’을 대화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남성은 ‘정보’를, 여성은 ‘친교’를 목적으로 대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말의 양에서 차이가 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술자리도 아닌 곳에서(남자들의 사적인 대화는 주로 술자리에서 이뤄진다) 친구들끼리 몇 시간이고 이야기하는 여자들을 남자들은 신기하게 바라본다. 한 시간이 넘도록 친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자세한 얘기는 만나서 하자”며 전화를 끊는 여자를 남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남자들은 주로 ‘용건만 간단히’ 주의고, 개인적인 얘기로 깊이 들어가면 상대에게 큰 실례를 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남성은 독립의 틀을 가지고 대화를 하고, 여성은 유대관계의 틀을 가지고 대화한다”고 설명한다.

    의학계 보고에 따르면, 남녀의 뇌의 구조는 서로 다르다. 대부분 여성은 뇌의 좌반구가 발달했는데, 이 부분은 언어 중추신경이 모인 곳이다. 반면 남성들은 공간능력이나 수리능력을 관장하는 뇌의 우반구가 발달했다. 이러한 타고난 차이 때문에 여성들은 대부분 말이 많고 남자는 말이 적다는 것. 여성은 자신의 감정이나 스트레스를 말로 표출하는 표출적 커뮤니케이션에 강해 남녀 사이의 말싸움에서 남자들은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다. 남자들이 단어의 문자적 의미에 충실해 사용하는 데 비해 여자는 남자보다 다양한 표현을 사용해 자신의 감정상태를 전달한다. 각양각색의 은유와 과장이 곁들여져 남자가 보기엔 마치 시를 쓰듯이 대화를 한다고 느껴지기도 하는 것이다.

    남녀가 좋아하는 어휘가 각기 다르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민현식 교수(숙명여대 국문과)가 몇 년 전 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남학생만이 좋아하는 말로는 ‘오락’ ‘여자’ ‘스포츠’ ‘운동’ ‘놀다’ ‘공’ ‘의리’ ‘힘’ ‘이기다’ ‘먹다’ 등 동적인 느낌의 단어가 많은 반면, 여학생만이 좋아하는 말은 ‘엄마’ ‘하늘’ ‘귀엽다’ ‘순수’ ‘맑다’ ‘예쁘다’ 등 정적이거나 감성적인 느낌의 단어가 많았다. 한편 남학생만이 싫어하는 말은 ‘차별’ ‘지옥’ ‘촌놈’ ‘무능력하다’ 등이었고 여학생만이 싫어하는 말은 ‘뚱뚱하다’ ‘늙다’ ‘외로움’ ‘못생겼다’ 등으로 차이를 보였다.

    민교수는 “그동안 여성은 남성이 만든 이데올로기의 언어에 예속된 언어생활을 해왔다. ‘남자 하는 일에 여자가 웬 참견이냐’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등 여성에 대한 편견을 담은 남성 언어에 위축감과 불만을 가진 결과, 여성은 남성이 독점한 언어적 표현 대신 다른 표현양식을 추구하게 되어 표정,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더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어법상에서도 차이가 있다. 여성의 경우, 의문문에 쓰이는 상승억양을 평서문에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10시에 오시면 됩니다”라는 말을 남성이라면 권위적인 느낌의 하강억양으로 끝맺지만, 여성은 끝을 길게 끌 듯이 ‘됩니다아--↗’ 하면서 애교적인 상승 억양을 보여 결국 “10시에 오시면 됩니다. 아시겠습니까?”와 같이 부가의문구가 딸린 문장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이는 우리뿐 아니라 다른 언어권 여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억압된 남성 중심 사회에서 살다 보니 자신의 의사를 자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상대의 눈치를 살펴 동의여부를 묻는 의문어법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또한 공손하게 보이고자 하는 대화전략을 구사하게 되었다”고 학자들은 설명한다.

    이런 예들은 언어에서도 명백한 성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심리학자 수젯 엘진은 ‘언어희롱’이라는 저서를 통해 ‘가부장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주입하는 언어가 서로 다르고, 이 때문에 일상적 대화에서 언어를 통한 성희롱이 곧잘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이 책을 번역한 심정순 교수(여성연구센터 소장·숭실대 영문과)는 “우리 사회에서는 오래 전부터 ‘여자가…’ ‘여자는…’ 이라는 말로 여성을 통제하고 금기와 제약을 강요해왔다”고 말한다.

    전문가들은 지금껏 우리의 국어교육이 남녀의 언어적 차이에 관심이 없었고, 언어적 성폭력도 그런 무관심의 결과라고 지적한다. 영어에서는 70년대부터 여성운동과 함께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고쳐 쓰는 노력이 나타나 ‘chairman’을 ‘chair-person’으로, ‘policeman’을 ‘police officer’로, ‘cheer girl’을 ‘cheer leader’로 쓰는 등 변화의 조짐이 뚜렷하다.

    “외국의 경우 대학과 출판사를 중심으로 성차별적 언어 개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이 활발합니다. 우리도 일상생활이나 직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를 만들어 언어 개혁을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합니다.”(한국여성개발원 김양희 부장)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 그리고 그 둘의 언어도 다르다. 이젠 그 ‘다름’을 전제로 공통의 이해를 찾아가야 할 때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