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6

..

강양구의 지식 블랙박스

GM(유전자 변형) 식품 안전해도 반대하는 이유

  • | 지식큐레이터 imtyio@gmail.com

    입력2018-04-30 17:31:2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국 글로벌 자회사 듀폰-몬산토의 연구센터. [동아DB]

    미국 글로벌 자회사 듀폰-몬산토의 연구센터. [동아DB]

    가끔 생활협동조합 초청으로 강연을 할 때가 있다. 청중은 대부분 아이를 학교에 보내고 잠시 짬을 내 강연을 들으러 온 30, 40대 주부다. 에너지든, 먹을거리든 강연 마무리에 질의응답 시간이 주어지면 꼭 서너 명이 동시에 손을 들어 묻는 것이 있다. “기자님, GM 식품은 안전한가요?” 

    이 질문을 정확히 풀어보면 이렇다. ‘유전자 변형(Genetically Modified) 옥수수, 콩이 들어간 먹을거리를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그러면 나는 그들에게 되묻는다. “구체적으로 어떤 먹을거리가 걱정되나요?” “식용유에 GM 콩이 들어간다고 하던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걱정할 일이 아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GM 작물은 특정 유전자를 넣고 빼서 만든다. 예를 들어 살충 성분을 내뿜는 세균에서 살충 성분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를 빼내 옥수수 유전자에 끼워 넣으면 살충 성분을 자체적으로 만드는 GM 옥수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GM 옥수수는 해충을 죽이는 성분을 내뿜기 때문에 해충에 강하다.

    GM 식용유가 안전한 이유

    4월 12일 GMO(유전자변형식품) 완전표시제 시민청원단원들이 청와대 분수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4월 12일 GMO(유전자변형식품) 완전표시제 시민청원단원들이 청와대 분수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1994년 유전자 변형으로 만든 첫 작물은 GM 토마토였다. 이 토마토는 전체 유전자 가운데 시간이 지나면 과육을 물러지게 하는 유전자가 기능하지 못하도록 조작해 만들었다. 유통 과정에서 물러 소비자에게 팔지 못하는 토마토가 많아지자, 이를 막기 위한 방책이었다. 이 GM 토마토는 인기를 끌지 못해 시장에서 퇴출됐다. 

    GM 토마토가 등장한 이후 24년간 GM 옥수수, 흰콩, 면화(면 제조용), 카놀라(기름용), 땅콩호박, 파파야, 사탕무(설탕용), 알팔파(가축 사료용) 같은 GM 작물이 차례로 등장했다. 현재는 토마토를 제외하고 바로 이 여덟 가지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GM 작물이다. GM 쌀 등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지만, 판매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GM 작물의 재배 상황은 나라마다 다르다. 한국에서는 외부와 격리된 농지에서 시험재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 농지에서 GM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다. 반면 미국에서는 옥수수, 흰콩, 면화, 카놀라, 사탕무의 90%가량이 GM 작물이다. 그중 옥수수와 콩이 국내로 수입된다. 

    이제 수입된 GM 옥수수와 콩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자. GM 옥수수는 분리, 정제 과정을 거쳐 전분당(녹말당)으로 쓰인다. 전분당의 성분은 포도당이라 그 안에 GM 옥수수만의 고유한 흔적이 남아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유기농 쌀이나 밀에서 뽑아내든, GM 옥수수에서 뽑아내든 포도당은 포도당이기 때문이다. 

    GM 콩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GM 콩 성분에서 20%가량을 차지하는 지방은 식용유(콩기름)를 만드는 데 쓰이고, 나머지 80%는 동물 사료의 원료가 된다. 그렇다면 GM 콩으로 만든 기름은 다른 콩에서 뽑아낸 것과 다를까. 이 대목에서는 고개를 저을 수밖에 없다. GM 콩이나 유기농 콩이나 나오는 기름은 똑같다. 따라서 인체 위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GM 작물을 직접 섭취할 경우 잠재적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아직 GM 작물이 인체에 해롭다는 명확한 과학적 증거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또 그것이 안전하다고 믿기에는 축적된 증거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소수 기업이 먹을거리 생산을 지배

    여기까지 이야기하면 강연장을 찾은 주부 대다수가 기분 나쁜 표정을 짓는다. 화끈하게 위험하다고 할 줄 알았는데 배신당했다는 표정이다. “그럼 GM 작물이 식탁에 오르는 것을 찬성하는 건가요?” 아니나 다를까, 볼멘소리로 이런 추가 질문이 나온다. 명확하게 말하지만 나는 GM 작물 재배를 반대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GM 옥수수나 콩을 직접 섭취했을 때 인체에 얼마나 위험한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GM 옥수수나 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다. GM 옥수수가 재배 지역을 벗어나 다른 곳의 토종 옥수수 사이에서 발견된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 GM 작물은 애초 존재하던 토종 작물의 생태계를 교란할 가능성이 있다. 

    혹자는 이 대목에서 GM 작물이 토종 작물과 비교해 인체에 해가 없고, 심지어 병충해도 더 잘 견딘다면 그런 교란이 무엇이 문제냐고 반문할지 모른다. 하지만 만약 전 세계 옥수수가 특정 방식으로 유전자 변형된 (유전적으로 같은) 한두 종자로 통일됐을 때 그런 GM 옥수수에 치명적인 병충해가 번진다면 어떻게 될까. 

    또 다른 문제도 있다. 잡초를 죽이는 제초제를 이겨내도록 만든 GM 콩이 있다고 치자. 당연히 일반 농부들은 자신이 재배하는 GM 콩을 신경 쓰지 않고 골칫거리 잡초를 없애고자 제초제를 사용할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제초제가 쓰일 가능성이 크고, 그렇게 자연에 살포된 화학물질은 당연히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더구나 GM 옥수수나 콩은 (바이엘과 합병한) 몬산토 같은 다국적 기업이 특허를 갖고 있다. 이제 농민은 제초제를 이겨내도록 만든 몬산토의 GM 콩 종자를 매년 구매해야 할 뿐 아니라, 그 GM 콩에 맞춤한 제초제까지 같은 회사의 것을 사서 써야 한다. 먹을거리 유통은 물론, 생산까지 소수의 거대 기업이 지배하는 상황을 GM 작물은 가속한다. 

    돈벌이가 가장 큰 목표인 소수 기업이 전 세계 먹을거리 생산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라. 더구나 이 과정에서 안 그래도 먹고살기 힘든 한국을 포함한 세계 곳곳의 소농은 형편이 더욱더 어려워진다. 설령 GM 작물이 인체에 피해가 없더라도 이런 상황을 원하지 않는다면 그것을 반대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해도 여전히 불만스러운 표정의 주부들이 있다. 그들은 마지막으로 이렇게 묻는다. “그럼 혹시 GM 먹을거리가 안전할 뿐 아니라 몸에 더 좋다면 걱정 없이 먹을 건가요?” 나는 GM 먹을거리가 몸에 더 이롭다 해도 반대할 것 같다. 내 한 몸 건강해지자고 먹을거리를 통제할 권리를 기업에 넘길 수는 없으니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