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45

2010.07.12

전쟁의 상처 아로새긴 그때 그 노래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

  •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khhan21@hanmail.net

    입력2010-07-12 13: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쟁의 상처 아로새긴 그때 그 노래

    박성서 지음/ 책이있는풍경 펴냄/ 352쪽/ 2만5000원

    21세기를 콘텐츠 테크놀로지(CT) 시대라고 한다. 이런 시대에 책이 대중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길은 모든 매체에서 활용 가능한 범용성 높은 귀중한 역사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다. 역사 자료는 디지털 매체가 진화할수록 가치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 출판계는 이 점에서 매우 취약하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수많은 자료가 소실된 탓도 크지만, 그런 일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전쟁 때 발행된 음반과 사진자료, 각종 공연 포스터와 전단, 광고, 자필 악보 등 당시 가요계를 엿볼 수 있는, 희귀한 450여 컷의 사진자료를 활용해 한국전쟁 당시 참전 연예인들과 가요계의 활약상을 생동감 있게 정리한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과 증언’은 무척 반가웠다.

    대중가요란 무엇인가. 한 시인은 ‘사랑은 눈물의 씨앗’이라는 가사만큼 사람의 가슴을 후벼 파는 시 구절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고 일갈했다. 대중의 마음을 크게 움직이는 만큼 대중가요는 자주 금지곡으로 묶였다. ‘가거라 삼팔선’ ‘굳세어라 금순아’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을 만든 작곡가 박시춘 씨는 “좋은 군가는 대포 소리에도 지지 않는 예술적 무기”라고 말했다. 그러니 군인들 사기를 위해 ‘먹물도장’을 찍은 연예인들로 하여금 최전방 전쟁터에서 위문 공연을 하게 한 것이다. ‘먹물도장’은 위문 공연하다 죽더라도 국가에 보상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일종의 각서다.

    동족끼리 살육전쟁까지 벌인 곡절 많은 현대사가 감동적인 문학작품을 많이 탄생시켰듯 가요 또한 그랬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원로 가요인들의 증언을 통해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작사가이자 가수인 반야월 씨는 9·28 수복 이후 서울에 올라와 아내에게서 “다섯 살짜리 어린 딸 수라를 업고 화약이 터지는 미아리고개를 넘던 중 수라가 영양실조로 눈을 감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단장의 미아리고개’를 만들었다고 고백했다.

    이 책은 4부로 구성됐다.



    1부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그 생생한 기록’에서는 SP 음반, 공연과 인물, LP 음반, 공연 포스터와 전단지 등 구체적인 자료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SP 음반의 찢겨진 라벨 사이에 드러난 기존 라벨 흔적을 보는 것만으로도 생사의 갈림길에서 어렵게 물자를 구해 가요를 창작하고자 한 이들의 열정을 엿볼 수 있다.

    2부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그 절절한 증언’은 반야월, 손석우, 유호, 이경순, 신세영, 손인호, 금사향, 안다성, 김인배, 원희옥, 현인의 미망인 김미정 등 가요계 원로들의 증언을 정리한 것이다. 증언자 중 몇 분이 이미 작고하신 것을 보면 이런 기록의 시급성이 다시 확인된다. 전선에서 고향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마음을 노래한 ‘전선야곡’은 길을 가다 갑자기 징집돼 어머니 얼굴조차 뵙지 못하고 떠난 이들이 “어머님의 흰머리가 눈부시어 울었소”라는 부분에서 가슴이 북받쳐 오른다. 더구나 가수 신세영 씨가 이 노래를 취입하던 날 어머니가 운명해, 노래를 부르는 이들의 목을 메이게 했다.

    3부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그 선명한 흔적’은 전시 수도이자, 당시 우리나라 음악의 산실인 부산과 오리엔트 레코드사가 있던 대구를 중심으로 대중가요의 역사를 정리한다. 피란 내려온 많은 음악가가 온갖 고초를 겪어가며 음악을 만들고, 음반을 취입하고, 공연하는 메카였던 부산을 소재로 한 노래가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확인된다. 포화가 이 땅을 휩쓰는 와중에도 노래가 갖는 감성의 힘을 키워 절망에 빠진 국민에게 희망을 안겨주려 했던 가요인들의 열정을 확인할 수 있다.

    4부 ‘우리 가요사 바로 세우기’는 기록으로 보는 한국가요사, 시대별 악보집으로 보는 한국가요 변천사, 한국가요 주요 약사, 연대표 1885~1959 등이다. 전쟁가요 16곡을 수록한 음반은 부록으로 첨부했다.

    한국전쟁 60주년을 기념해 출간된 이 책은 “대중가요사가 결국 우리의 역사이자 자화상”이라는 저자의 주장이 틀리지 않음을 확인해준다. 하지만 저자가 수집해 보관하고 있을 방대한 자료에 비하면 책은 1차 자료 정리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런 정리라도 있기에 시대를 세분한 역사, 주요 인물들의 평전, 국민에게 희망을 안겨준 가요탄생 비화가 다양하게 정리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이런 일을 한 다음에야 우리 역사는 한층 깊이를 더해갈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