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443

..

와인의 신 디오니소스, 왜 번개를 맞고 태어났을까

[명욱의 술기로운 세계사] 번개가 포도나무 자라는 땅에 영양분 공급해 지력 회복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입력2024-06-10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리스 문명은 서양 문명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철학과 히포크라테스의 의학 등 고대 그리스를 거치지 않은 것이 없다. 유럽 역사에 어마어마한 족적을 남긴 와인의 신 역시 이곳에서 태어났다. 바로 ‘디오니소스’다.

    와인의 신 디오니소스. [GettyImages]

    와인의 신 디오니소스. [GettyImages]

    두 번 태어난 자

    디오니소스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그중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의하면 제우스와 테베의 공주 세멜레 사이에서 디오니소스가 태어났다. 디오니소스라는 이름은 제우스의 소유격인 디오스(Διός)가 들어가 의역하면 ‘제우스 주니어’다.

    제우스의 본처는 헤라였고, 세멜레와는 내연관계였다. 질투의 여신 헤라가 제우스의 불륜 사실을 모를 리 없었다. 그녀는 세멜레를 없애기로 마음먹었는데 자신의 손에 피를 묻히기는 싫었다. 그녀 역시 여신인 만큼 우아함을 훼손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민 끝에 헤라는 비극적인 방식의 복수를 계획한다. 바로 제우스의 손으로 세멜레를 태워 죽이는 것이다. 제우스는 원래 번개를 가지고 다녔지만 인간 앞에서는 숨겨왔다. 제우스가 번개를 든 채 나타나면 신들이야 괜찮을 수 있으나 인간은 불타 죽기 때문이다. 헤라는 이를 이용했다. 세멜레 앞에서 제우스가 번개를 들도록 계략을 꾸민 것이다.

    헤라는 먼저 세멜레의 옛 유모 베로에로 변신한다. 이후 세멜레에게 “세멜레 님이 만나는 제우스는 진짜 제우스인가요”’라는 의심 섞인 질문을 던진다. 순진한 세멜레는 처음에는 흔들리지 않지만 점차 제우스의 존재를 의심하기 시작했고, 결국 이를 확인하기로 마음먹는다. 결국 세멜레는 자세한 내용은 얘기하지 않은 채 제우스에게 반드시 자기 부탁을 들어달라고 조르면서, 그 증표로 맹세의 강 스틱스의 강물에 약속하게 했다. 스틱스 강물을 두고 한 맹세는 신조차 어길 수 없다. 제우스가 마지못해 맹세하자 세멜레는 그에게 신으로서의 본모습을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제우스는 번개를 지닌 채 나타날 수밖에 없었고, 이를 본 세멜레는 불타 죽었다.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세멜레의 배 속에 제우스의 아이가 살아 있었다. 제우스는 이 아이가 헤라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자신의 허벅지에 넣고 키웠다. 이 아이가 바로 와인의 신 디오니소스다. 디오니소스라는 이름은 제우스 주니어라는 의미도 있지만 ‘두 번(Dio) 태어난 자(nysos)’라는 뜻도 갖고 있다. 이는 세멜레와 제우스 둘로부터 태어난 데서 유래한 것이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소아시아에 와인 양조 방법을 전했다. [GettyImages]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소아시아에 와인 양조 방법을 전했다. [GettyImages]

    신화에서 디오니소스는 양성애자로 많이 묘사된다. 이는 헤라에게 그 존재를 들키기 않고자 딸로도 키워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오니소스는 결국 헤라의 감시망에 걸리게 된다. 그는 헤라의 핍박을 피하기 위해 소아시아를 도망치듯 떠돌아다니게 된다. 이때 자신이 익혔던 포도 재배 방법을 전파하고, 와인 양조 방법을 알렸으며, 자신의 신성을 알리고자 포교 활동도 같이했다. 디오니소스는 이때의 포교 활동을 인정받아 올림푸스 12신에 들어가게 된다.

    술과 축제의 신인 디오니소스는 포도주를 통해 인간에게 기쁨을 주지만, 반대로 자신과 자신의 신도를 무시하는 자는 응징했다. 이는 그리스 북부 트라키아의 왕 리쿠르고스에 대한 이야기에서 드러난다. 그는 디오니소스 숭배를 금지하고 마이나스 또는 바카로 불리는 여사제들을 박해했으며 디오니소스 또한 추방해버렸다. 그리스 신화와 영웅들의 행적을 정리한 ‘비블리오테’에는 디오니소스가 리쿠르고스를 미치게 만든 이야기가 담겨 있다. 리쿠르고스는 자신의 아들을 디오니소스를 상징하는 담쟁이덩굴로 착각해 제 손으로 죽였고 코와 귀, 손가락, 발가락까지 잘라냈다. 결국 그는 백성들에 의해 식인을 하는 말에게 던져지는 비극적 운명을 맞는다. 디오니소스가 광기의 신으로 불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디오니소스와 토르의 공통점

    그렇다면 디오니소스는 왜 제우스의 번개를 맞고 태어났을까. 힌트는 천둥의 신 토르에 대한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다. 토르는 천둥과 번개의 신으로 묘사되지만, 실은 농업의 신이기도 했다. 번개가 땅에 떨어지면 지력이 회복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번개는 대기의 질소를 땅으로 환원시키는 질소 고정 메커니즘의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다. 이 과정에서 질소와 산소가 결합되고 질산염 등 화합물이 생성된다. 번개가 토양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셈이다. 즉 제우스의 번개가 포도나무가 자라는 땅의 지력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 것이다.

    디오니소스가 제우스의 허벅지에서 키워진 이유는 무엇일까. 이 부분은 포도나무 특유의 접붙이 문화에서 엿볼 수 있다. 포도는 접붙이기를 통해 품종개량을 하는데, 보통 마디가 붙은 가지를 잘라 땅에 뿌리를 내린 성체에 붙인다. 제우스 허벅지에서 와인의 신이 나오게 된 이야기는 접붙이기를 신화적 요소로 풀어낸 결과로 보인다.

    헤라에 의해 몇 번이고 죽임을 당한 디오니소스가 다시 살아나는 점 역시 마찬가지다. 이는 겨울철 죽어가는 포도나무가 시간이 흘러 살펴보면 어느덧 열매를 맺고 있는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실제로 포도나무는 부활의 의미를 갖는데, 이는 앞서 다룬 이집트 와인의 신 ‘오시리스’ 이야기에서도 나타난다. 이처럼 모든 신화는 현대까지 이어지며 곳곳에 흔적을 남긴다. 따라서 신화는 곧 고대 선인이 남긴 시공간을 초월한 이야기가 아닐까.

    명욱 칼럼니스트는… 
    주류 인문학 및 트렌드 연구가. 숙명여대 미식문화 최고위과정 주임교수를 거쳐 세종사이버대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과 ‘말술남녀’가 있다. 최근 술을 통해 역사와 트렌드를 바라보는 ‘술기로운 세계사’를 출간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