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423

..

삼성전자보다 매출 대비 투자액 3배 많은 화웨이

초강력 美 제재에도 지난해 매출 2020년의 79%까지 회복하며 부활

  •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s.com

    입력2024-01-15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최대 통신장비 업체이자 세계 2위 스마트폰 제조회사였던 화웨이는 5년 전만 해도 승승장구했다. 화웨이는 2019년 기준 170개국에 통신장비를 판매하는 등 통신장비 분야 시장점유율 31%로 세계 1위였다. 5G(5세대) 통신 분야에서 글로벌 통신기업 40곳과 장비 공급 계약을 맺었고, 설치된 기지국도 7만 곳에 달했다.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미국 애플을 제치고 한국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화웨이 제공]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화웨이 제공]

    화웨이에 사망선고 내린 美

    ‘중화유웨이’(中華有爲: 중국을 위하여)에서 따온 화웨이(華爲)라는 이름처럼 이 회사는 중국 간판 기업으로 성장했다. 화웨이는 1987년 광둥성 선전에서 인민해방군 통신장교 출신인 런정페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자본금 2만1000위안(약 346만 원)을 투자해 출범했고, 국영기업 납품과 인민해방군 프로젝트를 독점 수주하면서 발전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화웨이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정부의 기술굴기 및 첨단 제조업 육성 정책인 ‘중국제조 2025’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화웨이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국가안전부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대신 다른 나라의 기밀과 지식재산권을 훔치고, 적성국들과 수상한 거래까지 하는 기업이라는 보고서를 정부와 의회에 제출했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19년 5월 미국 정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화웨이와 114개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 리스트’에 올리고 인텔, 퀄컴, 브로드컴 등 미국 반도체 기업들과 거래를 금지하는 제재 조치를 내렸다.

    미국 정부는 2020년 8월 자국 소프트웨어와 기술, 장비를 조금이라도 활용한 외국 반도체 기업은 상무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만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제재 조치까지 내렸다. 이 조치들로 화웨이는 스마트폰, 랩톱, 태블릿PC, 스마트TV, 이동통신기지국, 통신장비, 서버 등 모든 주력 제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첨단 반도체 부품을 구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말 그대로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사망선고’를 내린 셈이었다.

    자연히 화웨이 매출은 2021년부터 급감했다. 2020년에는 8914억 위안(약 163조8000억 원)이던 매출 규모가 2021년 6369억 위안(약 117조 원), 2022년 6429억 위안(약 118조10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그래프 참조). 특히 스마트폰 사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은 수직 낙하했고, 2020년 중저가 휴대전화 브랜드 ‘아너’를 매각했다. 화웨이의 스마트폰 세계 판매량은 2020년 1억8820만 대, 2021년 2630만 대, 2022년 2570만 대로 대폭 줄어들었다.



    “정상 궤도에 거의 다 올라”

    그런 화웨이가 기적처럼 2023년 매출 7000억 위안(약 127조6000억 원)을 기록하면서 3년 전 매출(2020)의 78.5%까지 회복했다. 후허우쿤 화웨이 순환회장은 자사 직원들에게 보낸 신년사에서 “우리는 수년간 노력 끝에 폭풍우를 이겨냈고 정상 궤도에 거의 다 올랐다”며 부활을 선언했다. 후 회장은 “통신 인프라 사업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분야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이 나왔다”고 밝혔다.

    화웨이가 지난해 출시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 [화웨이 제공]

    화웨이가 지난해 출시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 [화웨이 제공]

    실제로 화웨이 매출의 45%(2022년 기준)는 통신 인프라 사업에서 나오고 있다. 특히 화웨이는 지난해 8월 5G 통신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출시해 대박을 터뜨렸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화웨이의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3% 급증했다. 메이트 60 프로는 중국에 출시한 지 6주 만에 160만 대가 팔리며 애플 신작 아이폰 15 시리즈보다 더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공무원과 국영기업 임직원의 아이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린 것을 감안해도 놀라운 수준이다. 화웨이는 올해 메이트 60 프로의 예상 판매량을 최대 6000만 대로 전망하고 있다.

    이 스마트폰에는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중신궈지(中芯國際·SMIC)가 제조한 7㎚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기린 9000’이 탑재됐다.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기린 9000은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전문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이 고안한 칩으로, SMIC가 생산한다. 7㎚ 칩은 2018년 출시된 애플 아이폰에 사용된 칩과 동일한 수준이다.

    미국 정부는 제재로 첨단 반도체 기술 및 장비를 공급받지 못하는 화웨이가 7㎚ 반도체를 생산하고 기술 자립에 성공했다는 점에 경악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지난해 10월 상원 상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충격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中 반도체 굴기 최대 수혜 기업

    SMIC는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업체 ASML이 만든 심자외선(DUV) 노광장비를 사용해 7㎚ 반도체를 제작했다. ASML은 그동안 DUV 노광장비를 중국에 수출해왔다. 노광장비는 빛을 반도체 원재료인 웨이퍼에 비춰 미세한 회로를 새겨 넣을 때 사용된다. 특히 7㎚급 AP를 만들려면 극자외선(EUV) 노광장비가 있어야 한다. 유일한 EUV 생산 기업인 네덜란드 ASML은 2019년부터 미국의 제재 조치에 동참해 중국에 EUV 노광장비 수출을 금지해왔다. 하지만 SMIC는 EUV보다 한 단계 낮은 DUV를 사용해 7㎚ 반도체를 제조했다.

    화웨이 매출이 크게 늘어난 다른 요인은 연구개발(R&D)에 투입되는 막대한 자금이다. 화웨이는 2022년 R&D에 1615억 위안(약 29조7000억 원)을 쏟아부었다. 이는 매출의 25%에 달하는 금액이다. 화웨이의 매출 대비 투자액 비율은 삼성전자보다 3배 많다. 삼성전자의 2022년 R&D 지출액은 매출의 8.2% 수준인 24조9192억 원이었다.

    R&D 역량이 화웨이가 가진 진짜 힘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화웨이의 지난 10년간 R&D 투자액은 총 9773억 위안(약 179조6000억 원)에 달한다. 전체 직원 20만 명의 절반이 R&D 분야 인력이다. 지난해 말 기준 화웨이가 보유한 특허는 12만 개에 이른다. 특허 라이선스 계약 거래로 5억6000만 달러(약 7400억 원) 매출을 올렸다. 특히 화웨이는 지난해 기준 5G 표준 필수특허 출원 세계 1위 기업으로, 점유율이 15%다. 2위가 퀄컴(11%), 3위가 삼성전자(8.8%)다.

    주목할 점은 중국 정부가 화웨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2022년 화웨이에 보조금으로 지급한 액수만 65억5000만 위안(약 1조2000억 원)이다. 세계 반도체 업계는 중국 정부가 반도체 굴기를 위해 조성한 육성 자금 300억 달러(약 39조6000억 원)의 대부분이 화웨이와 관련 계열사로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화웨이는 반도체 설계부터 제작까지 모두 12개 반도체 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를 피해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비밀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화웨이는 7㎚ 칩에 이어 5㎚, 3㎚ 칩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베이징에 본사를 둔 컨설팅 회사 트리비움 차이나의 켄드라 셰퍼 파트너는 “화웨이는 이제 중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이라며 “미국의 제재가 국가와 산업을 하나로 묶었다”고 강조했다.

    중국 광둥성 선전에 위치한 화웨이 본사. [위키피디아]

    중국 광둥성 선전에 위치한 화웨이 본사. [위키피디아]

    EUV 이어 DUV도 막혀

    화웨이는 중국 정부의 든든한 뒷배 덕분에 전기차와 인공지능(AI)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해 12월 26일 6인승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인 고급 전기차 아이토(Aito) M9을 출시했다. 이 전기차의 사전 주문량은 지난해 11월 기준 3만3000대를 기록했다. 화웨이는 전기차 충전 시장에도 진출했다. 올해 중국 340여 개 도시에 10만 개 이상의 초고속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충전 시장 규모도 2025년 2045억 위안(약 37조6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화웨이는 자체 거대 언어모델(LLM) ‘판구 3.0’ 등 AI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가 부활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서둘러 ASML의 DUV 노광장비 수출 금지 조치를 내렸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보좌관이 지난해 말 네덜란드 정부에 ASML이 DUV 노광장비를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긴급 요청했다. 이에 네덜란드 정부는 DUV 노광장비를 중국에 수출하는 데 필요한 면허를 취소했다. 당초 ASML은 올해 1월부터 DUV 노광장비 수출을 중단할 예정이었는데 1개월을 앞당긴 것이다.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에도 첨단 스마트폰을 생산하자 미국 정부가 네덜란드 정부를 압박해 DUV 노광장비 수출까지 틀어막은 셈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및 장비 수출 규제를 더욱 강하게 시행할 전망이다. 러몬도 상무장관은 “미국은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개발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강력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앞으로도 화웨이의 부활을 막고자 각종 제재 조치를 추가하는 등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