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286

..

SynchroniCITY

어떤 삶을 살든 나는 안현모예요

직업이 아이덴티티규정 못 하는 N잡 시대

  • 안현모 동시통역사  ·  김영대 음악평론가

    입력2021-04-26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 월급을 받든, 프리랜서의 삶을 살든 '현모 씨'로 불리고 싶다는 안현모. [사진 제공 · 안현모]

    기자 월급을 받든, 프리랜서의 삶을 살든 '현모 씨'로 불리고 싶다는 안현모. [사진 제공 · 안현모]

    현모 이제 곧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인데 추천해드린 영화들은 좀 보셨어요?

    영대 하나도 못 봤어요….

    현모 ‘모리타니안’도 아직 안 보셨어요?

    영대 네, 영 짬이 안 나네요. 요즘 한창 책을 쓰고 있어서요. ㅠㅠ



    현모 아, 저번에 ‘주간 문학동네’에 연재한 글들이요?

    영대 네, ‘지금 여기의 아이돌  -  아티스트’요.

    현모 하…. 그게 그냥 하나로 묶기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연재용으로 쓴 거랑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거랑은 또 다르죠.

    영대 딱 제가 하려던 말이에요. 핵소름 !

    현모 제가 그 입장이 돼봐서 알거든요. 저도 월간 ‘가톨릭 비타꼰’이라는 잡지에 6년째 연재하면서도 아직 책으로 엮지 못하고 있잖아요. ㅜㅜ

    영대 와, 오래 하셨다 진짜.

    현모 그건 특히 인터뷰 글이라, 처음 작성할 때는 인터뷰이에 빠져 있고 감동받고 영감이 넘치다가도 시간이 지나면 그 감흥을 잃어버리거든요. 그래서 다시 편집하기 힘들어요. 글도 어쨌든 그 순간의 생각과 감정의 표현이고 창작이니까요.

    영대 일단 한번 낸 글은 지난 글이라 다듬는 게 오히려 더 어려워요.
    현모 그죠, 세상도 업데이트돼 있고요.

    영대 저 같은 경우 음반 리뷰를 쓸 때도 정말 몰입해 그 음반만 수없이 듣지만, 글을 탈고하고 나면 거의 듣지를 않아요. 또 새로운 음반으로 옮겨가는 거죠.

    현모 그런 건 통역과도 비슷하네요. 어떤 날은 금융, 어떤 날은 의학, 어떤 날은 자동차…. 주제가 바뀌기 일쑤라 한창 준비할 때는 전문가가 된 듯하다가도, 끝나면 마법같이 싹 잊어버리거든요. 비워야 또 새로운 걸 채우니까요.

    영대 단순히 언어를 옮기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텐데, 전혀 그런 게 아니네요.

    현모 어휴, 배경 지식이나 맥락을 모르면 안 되죠.

    영대 현모 님이 음악이나 영화 팬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큰 이유가 관련 내용에 대한 공부와 이해가 돼 있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현모 그건 제가 좋아해서 그런 거고요. ㅋ

    영대 듣기 좋으라고 하는 말이 아니라, 제 주위 모든 분의 공통된 의견 !

    현모 모국어 상황에서도 경험해보지 않았거나 알지 못하는 건 알아들을 수 없잖아요.

    영대 안타깝지만 평론가에 대해서도 그저 순발력 있게 이런저런 얕은 말을 뱉는 사람, 정작 깊이는 없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있는 거 같아요.

    현모 잉? 평론가에게 제일 필요한 게 깊이 아닌가요?

    영대 당연하죠. 그런데 그런 신뢰를 못 주고 있는 거 같아요.

    현모 블로거, 유튜버, 인스타그래머 누구든 작품에 대한 자기 나름의 감상을 올릴 수 있는 시대잖아요. 그런데 제 직업이 만약 평론가라면 스트레스 받아 죽을 거예요.

    영대 그래서 저는 글이나 말에 좀 집요한 면이 있어요. 글도 엄청 시간을 들여 쓰고요. 딱히 누가 뭐라고 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만족하기 위해서죠.

    현모 제가 방금 한 말, 뱉고 보니 완전 악담. ㅎㅎㅎ

    영대 평론가 하느니 나 같으면 벌써 나가 뒈졌다, 이런 건가요?

    현모 ㅋㅋㅋ 그 고충을 아주 잘 알 거 같다 이거죠.

    영대 얼마 전 어떤 미술평론가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올린 글이 논란이 됐어요. “평론가가 예술가보다 더 많은 고민을 한다”였어요. 예술가는 작품을 만들면 되지만, 평론가는 작가가 그냥 툭 던져놓은 것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결국 언어로까지 표현해야 한다는 거죠.

    현모 무슨 말인지 와 닿아요. 가끔은 연사가 개똥같이 말해도 통역사가 찰떡같이 알아들어야 할 때가 있거든요.

    영대 내가 통역사였으면 죽었다.

    현모 ㅍㅎㅎㅎ 우리 서로 공감의 정도가 지나쳐 ‘나 같으면 벌써 죽었다’ 버전으로 가는…. ㅋㅋㅋㅋ

    영대 뭐, 어떤 직업이든 얼마나 투철하게 임하느냐에 따라 그 나름의 고충이 있겠죠.

    현모 제가 일전에 영대 님 집필 방식이 궁금해 여쭤봤잖아요. 그때 공통점을 많이 느꼈어요. 남들이 몰라줘도 나 혼자 노력하는 부분이요. 그런데 저와 유일한 차이점은 저는 미친 듯이 단걸 먹으면서 쓰는데, 영대 님은 고작 차나 마시면서 글을 쓴다는 점….

    영대 ‘고작’이라니. ㅎㅎㅎ

    현모 ‘저래서 살이 안 찌는구나’ 하고 뼈저리게 느꼈다는….

    영대 ‘너는 고작 차나 마시면서 글 쓰냐. 나였으면 나가 죽었다’, 이런 건가요?

    현모 이제 곧 인간의 평균 수명이 120세가 된다는데, 굳이 ‘다시 태어나면’이라는 가정을 할 필요 없이, 영대 님은 더 나이 들면 무슨 일을 하고 싶으세요? 평론가를 계속하고 싶으세요?

    영대 저는 평론가라는 타이틀에 상관없이 음악을 소재로 얘기하고 글 쓰는 일을 할 것 같아요. 그게 어떤 직업으로 불리든, 어떤 포맷이든 계속할 생각이고요.
    현모 와, 나랑 되게 비슷하다 ! 저도 “기자 하다 통역사 하니까 어떠냐”는 질문을 진짜 많이 받았는데, 사실 저는 뭔가를 전달하고 사람과 사람의 간격을 소통을 통해 좁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별 차이를 못 느끼거든요.

    영대 제 말이 그거예요 ! 일의 본질이 문제지, 그게 어떤 이름을 가진 직업이냐는 중요하지 않다는 거.

    현모 핵공감 ! ! 제가 언론사를 퇴사했을 때 많은 분이 이제 뭐라고 불러야 하느냐고 묻더라고요. 원래는 ‘안 기자’였는데, 작가님? 통역사님? 저는 편하게 ‘현모 씨’라고 해달라고 했어요.

    영대 교수를 그만뒀는데도 전 교수, 의원 한번 하면 영원히 전 의원…. 이런 호칭은 너무 어색해요.

    현모 농구선수 출신 서장훈 씨가 여러 사람이 하도 정체를 따지니까 농담으로 방송하는 농구인, ‘방구인’이라고 했잖아요. 저도 그래서 방송하는 통역인, ‘방역인’이라고 농담한 적이 있어요.

    영대 오 ! 요즘 같은 ‘코시국’에 꼭 필요한 인재군요. ㅎㅎ

    현모 골프 좋아하는 제 통역사 친구는 ‘골통’이라고 하더라고요. ㅎㅎ 이제 수명 연장으로 N잡 시대가 오면 하나의 직업으로 사람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 관습도 사라질 거라고 봐요. 제가 회사를 나올 때도 생각한 건데, 기자 월급을 받든 프리랜서의 삶을 살든 나는 안현모예요.

    영대 멋진 말이네요 ! 그럼,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저를 평론가님라 부르지 말고 영대 님이라고만 하시길 !

    현모 ㅋㅋㅋㅋ 아니 평론가를 평론가라 부르지 못하게 하신다면… 홍길동인가요?

    (계속)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