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 · 악어컴퍼니
연극도 소설과 비슷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연극이 시작되면 몰리나는 발렌틴에게 사랑하는 남자와 키스하면 표범으로 변하는 표범여인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실제로 있는 영화 ‘캣 피플’ 이야기다. 몰리나가 들려주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모습은 작품 속 주인공인 몰리나와 발렌틴과 동일관계를 이루며 연극이 어떻게 흘러갈지를 암시한다. 처음에는 이야기를 듣는 둥 마는 둥 하던 발렌틴은 점차 어떤 장면에 대해 평가하거나 몰리나에게 영화 속 인물 가운데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묻는 등 관심을 보인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대화와 교감은 자석의 양극처럼 다르던 두 사람을 정서적, 육체적으로 가까워지게 만든다. 작품이 진행될수록 강인해 보이던 발렌틴의 나약함이 드러나고, 몰리나는 내면의 단단함을 드러내며 서로가 도치돼간다는 느낌도 준다. 발렌틴에게 순애보에 가까운 애정을 주는 몰리나. 어느덧 그를 믿고 의지하게 된 발렌틴은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고자 하지만 몰리나는 한사코 이야기 듣기를 거부한다. 그가 발렌틴과 가까워지길 원하면서도 거리를 두려는 이유는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밝혀진다.
동성애자가 이야기의 한 축을 담당하지만 뻔한 ‘게이극’은 답습하지 않는다. 작품은 두 사람의 사랑이나 육체적 관계보다 인간적 연민이나 갈등의 봉합 등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둔다. 다만 원작 소설이 두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당시의 억압적인 사회상을 고발하는 작품이었기에 정치범과 동성애자, 개성 강한 두 인물 가운데 하나에게 감정을 이입하지 못한다면 아예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작품을 보는 내내 제목이 ‘거미여인의 키스’인 이유가 궁금했다. 몰리나와 키스하기 전 “네가 영화 속 여주인공처럼 표범으로 변하지 않을까 두렵다”던 발렌틴은 “넌 표범여인이 아냐. 거미여인이야. 남자를 옭아매는”이라고 말하곤 그에게 키스한다. 작품 말미 가석방이 결정돼 교도소를 떠나게 된 몰리나에게 발렌틴은 한 가지 부탁을 한다. 가련한 ‘거미여인’은 사랑하는 남자의 부탁을 들어줬을까, 아니면 표범으로 변해 그를 물어 죽였을까.
2016년 1월 31일까지, 서울 대학로 신연아트홀(A아트홀).
사진 제공 · 악어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