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60

2014.10.27

군사도시의 부대볶음 우연이 아니다

동두천의 오래된 맛

  • 박정배 푸드칼럼니스트 whitesudal@naver.com

    입력2014-10-27 11:0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군사도시의 부대볶음 우연이 아니다

    ‘호수식당’ 입구 모습(위)과 부대볶음.

    경기 동두천은 대한민국이 여전히 분단국가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군사도시다. 의정부와 동두천에는 특히 미군이 많다. 동두천시의 43%가 미군기지다. 동두천 음식에는 전쟁 상흔이 직접적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부대찌개집은 의정부 ‘오뎅식당’이다.

    1960년대 초반 장사를 시작한 ‘오뎅식당’은 미군부대를 출입하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져온 햄과 소시지, 스팸, 쇠고기를 볶아서 팔았다. 부대찌개는 이후 만들어졌다. 부대찌개 조상에 해당하는 ‘부대’ 고기로 만든 부대볶음은 ‘오뎅식당’에서 자취를 감췄다. 그럼에도 부대볶음은 동두천에서 깊이 뿌리 내리고 있다.

    동두천에 부대찌개가 등장한 것은 1970년대 초반이다. ‘실비집’이 처음 장사를 시작했고 ‘호수식당’이 그 뒤를 이었다. 인기 많은 ‘호수식당’ 입구에는 대기자를 위한 의자들이 놓여 있을 정도다. 부대볶음은 커다란 철판에 소시지와 햄, 양파와 양념장을 넣어 볶아 먹는 음식이다. 소시지와 햄이 상당히 많고 매콤하면서도 달콤한 맛이 동시에 나는 것이 특징이다. 동두천 부대찌개는 의정부 부대찌개와 닮은 점이 많다. 당면과 쑥갓이 들어가는 것은 의정부 부대찌개와 다르다.

    경기도와 평안도 실향민들은 의정부와 동두천에 많이 정착했다. 고향과 가깝고 미군부대가 있어 안전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군부대 주변에는 돈이 돌고 먹을거리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실향민들은 장사를 하거나 식당을 운영했다. 평양 출신 실향민이 1950년대 초반 세운 ‘평남면옥’도 그런 경우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평남면옥’ 맛은 별로 변하지 않았다. 서울의 평양냉면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의정부 ‘평양면옥’과 더불어 경기 북부 냉면 문화를 이끌어왔다. ‘평남면옥’의 육수는 동치미 국물과 쇠고기 육수를 섞어 만들었다. 평양을 중심으로 한 평안남도는 일제강점기 ‘냉면국’이란 별칭이 붙을 정도로 냉면이 성행하던 곳이다.



    평안도에서 냉면은 ‘겨울 일상 음식’이었다. 몇 집 걸러 한 집마다 냉면을 뽑는 틀도 있었다. 냉면 사리로는 대개 메밀의 겉껍질을 벗겨낸 하얀 국수를 사용했다. 겉껍질이 들어간, 거뭇하고 거친 국수는 ‘막국수’라 불렀다. 면발은 단순했지만 육수는 다양했다. 겨울에 주로 먹기에 동치미 국물이 대세를 이뤘지만, 동치미 국물에 쇠고기 육수를 섞은 동치미 쇠고기 육수도 많이 먹었다.

    군사도시의 부대볶음 우연이 아니다

    ‘평양면옥’의 물냉면.

    고급 식당이나 부잣집에선 쇠고기 육수만 사용했고, 평안도 명물 ‘평북돈(平北豚)’을 사용한 돼지고기 육수나 꿩, 닭고기 육수도 냉면 국물로 많이 먹었다. ‘평남면옥’은 동치미 국물과 쇠고기 육수를 섞어 사용한다. 동치미 국물의 톡 쏘는 청량감과 채소 특유의 단맛이 쇠고기 육수의 묵직함과 어울려 깊고 시원한 맛을 내는 게 특징이다. 메밀과 고구마전분을 섞은 면발은 매끄럽고 부드럽다. 기존 평양냉면 면발과 조금 다른 식감이다.

    ‘선주후면(先酒後麵)’이란 말처럼 냉면집에서는 으레 냉면집 특유의 안주에 술 한 잔을 곁들이는 경우가 많다. 서울 남대문 ‘부원면옥’의 빈대떡과 닭무침, ‘을지면옥’의 돼지편육, 장충동 ‘평양면옥’의 커다란 만두가 유명한데, ‘평남면옥’에서는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채소와 섞고 겨자소스를 뿌린 무침이 술안주로 제격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