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48

2012.07.30

치맥 빼놓고 응원이 되나

올림픽과 맥주

  • 입력2012-07-30 10:5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치맥 빼놓고 응원이 되나

    ‘밸런타인 에일’, 존스, 1960년, 청동, 퀼른 루트비히 미술관 소장.

    런던올림픽이 시작됐다. 시차 때문에 경기 대부분이 우리나라 시간으로 밤에 열리지만, 우리 선수들이 선전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지켜보며 응원하려면 생중계를 놓칠 수 없다. 특히 올림픽은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실력을 겨루는 무대이자 국가 간 경쟁이기도 해 어떤 대회보다 승부의 짜릿함이 배가된다.

    늦은 밤, 올림픽 경기 관람을 더욱 즐겁게 해주는 것이 맥주다. 소파에 편하게 앉아 TV로 우리 선수들의 경기를 관람하면서 마시는 한잔의 맥주는 일상의 피로를 날려버리는 것은 물론, 지친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대중이 즐겨 마시는 맥주를 예술로 승화한 작품이 재스퍼 존스(1930∼)의 ‘밸런타인 에일’이다. 청동으로 만든 밸런타인 에일 캔맥주 두 개가 받침대 위에 나란히 서 있다. 에일 맥주는 상면 발효 효모로 실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발효시킨 맥주다. 고대부터 이어져온 전통 양조 방식으로 만든다. 본래 에일 맥주는 맛이 다소 쓴 영국식 맥주를 가리키는데, 작품 속 밸런타인 에일 맥주는 1950년대 미국에서 대중에게 가장 인기 있었던 맥주다.

    존스는 20세기 전위예술가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기성품을 이용한 오브제)에서 영향을 받아 이 작품을 만들었다. 청동 조각으로 맥주 캔을 만든 다음 채색해 좌대 위에 세워놓았다. 좌대는 이것이 조각 작품임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존스는 이 작품을 통해 실제 사물과 재현된 이미지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조각 역시 맥주 캔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사물이며, 통속적인 사물이나 이미지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집에서 혼자 맥주를 마시면서 스포츠를 관람하는 것도 즐겁지만 스포츠 관람의 진짜 묘미는 여러 사람과 함께할 때 맛볼 수 있다. 가슴이 뻥 뚫릴 정도로 시원한 생맥주와 생맥줏집의 대형 스크린, 그리고 함께하는 사람들이 올림픽 경기를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든다. 함께 있는 많은 사람과 대형 스크린이 마치 경기장에 있는 듯한 착각이 들게 한다.



    생맥주를 마시고 있는 사람들을 그린 작품이 에두아르 마네(1832∼1883)의 ‘카페 콩세르의 구석’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프랑스 파리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뮤직홀 카페 콩세르의 풍경을 담았다.

    파란색 옷을 입은 남자가 파이프를 입에 문 채 무대에서 춤추는 무용수를 바라본다. 여자 종업원은 한 손으로는 맥주잔 2개를 들고 있고, 다른 한 손으로는 맥주잔을 탁자에 내려놓고 있다. 그러면서 눈은 또 다른 곳을 향하고 있어 그가 지금 얼마나 바쁜지 짐작게 한다.

    이 작품에서 푸른색 옷은 노동자를 상징하며, 중절모를 쓴 남자는 중산층임을 의미한다. 당시 중산층은 실크햇이라는 중절모를 즐겨 썼다. 카페에 있는 여자들은 매춘부다. 카페 콩세르는 노동자나 중산층이 일을 마치고 자주 들리던 곳으로, 여자들은 혼자 출입할 수 없었다.

    치맥 빼놓고 응원이 되나

    (왼쪽)‘카페 콩세르의 구석’, 마네, 1879년, 캔버스에 유채, 98×79, 런던 내셔널 갤러리 소장. (오른쪽)‘뮌헨의 비어가든’, 리베르만, 1884년, 목판에 유채, 94×68, 뮌헨 바이에른 국립회화미술관 소장.

    마네는 말년에 작품 주제를 자신의 생활에서 찾았다. 카페 콩세르를 자주 찾았던 그는 여종업원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했다. 그는 한 손으로 맥주가 담긴 잔을 여러 개 나르면서도 절대로 쏟지 않는 여종업원들의 능숙함에 감탄해 이 작품을 그렸다. 모델이 돼달라는 마네 요청에 여종업원이 “보호자가 있어야만 모델을 할 수 있다”고 고집하는 바람에 남편까지 함께 모델로 나섰다. 노동자로 묘사된 푸른색 옷을 입은 남자가 바로 여종업원의 남편이다.

    맥주는 꼭 스포츠 관람이 아니더라도 일상에 행복을 주는 물건 중 하나다. 무더운 여름날, 야외에서 시원한 맥주와 치킨 한 마리만 놓고 있어도 행복하기 때문이다.

    맥주를 통해 일상의 행복을 그린 작품이 막스 리베르만(1847∼1933)의 ‘뮌헨의 비어가든’이다. 뮌헨은 독일의 유명한 맥주 축제 옥토버페스트가 개최되는 도시다. 녹음이 짙은 여름날, 중절모를 쓴 남자와 모자를 쓰지 않은 남자, 젊은 여자와 늙은 여자, 그리고 어린아이, 간호사, 군인들이 더위를 피해 나무 그늘에 놓인 의자에 앉아 맥주를 마시면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아이를 데리고 나온 엄마는 큰 나무 그늘 아래에서 아이에게 물을 먹이고 있다.

    그림 오른쪽에 양산을 쓴 여자는 친구들과 맥주를 마시는 것에 관심이 없는지 바닥에 떨어진 인형을 줍는 여자아이에게 시선을 두고 있다. 탁자에 놓인 한 잔의 맥주는 가난한 형편을 나타낸다.

    삽과 물통을 든 금발의 여자아이는 언니의 행동을 유심히 바라보고 서 있다. 어린아이들의 모습은 야외에서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나타낸다. 그림 중앙으로 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보이고 악단은 연주에 여념이 없지만, 공원에 모인 사람들은 오케스트라에는 별 관심이 없다.

    이 작품에서 중절모를 쓴 남자는 부르주아이며, 모자를 쓰지 않은 남자는 노동자를 의미한다. 맥주를 마시는 계층이 다양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맥주를 마시는 소란스러운 분위기와 달리, 사람들의 얼굴에 미소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리베르만은 경쾌한 색조로 일상의 모습을 밝게 표현했다.

    리베르만은 뮌헨에 있는 ‘아우구스티너 켈리’라는 맥줏집에서 영감을 받아 이 작품을 그렸다. 그는 이후 가난한 사람들을 주제로 삼았던 어두운 분위기의 그림을 접고, 밝고 경쾌한 색상으로 평범한 독일 사람들의 일상을 담아 성공을 거뒀다.

    맥주를 마시면서 올림픽 경기를 관람하는 것도 삶의 즐거움이지만 우리는 선수가 아니다. 승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승리했으니 한 잔, 패배했으니 한 잔 그렇게 계속 마시다 보면 ‘뱃살 올림픽’에 출전해야 할지도 모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