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73

2017.01.25

사회

모유에서 보형물 실리콘 나왔다?

성형업계 “가슴 MRI 자료상 비슷” 충격… 식약처 “현재 조사 중 단정할 수 없어”

  • 김지현 객원기자 bombom@donga.com

    입력2017-01-23 18:19:38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슴성형을 할 건데, 모유수유에는 문제없겠죠?’

    요즘 성형수술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 흔히 올라오는 질문이다. 이에 달리는 댓글은 ‘모유수유엔 문제없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앞으로 가슴성형수술을 고려하는 사람은 이 말을 전적으로 믿고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모유수유를 하던 한 산모의 모유에서 가슴성형 보형물인 ‘코헤시브 겔’ 성분으로 추정되는 액체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5년 전 유방확대수술을 받은 A씨는 지난해 8월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다 모유에 끈적끈적한 물질이 섞인 걸 발견했다. 이상하다고 느낀 A씨는 한 대학병원에서 MRI(자기공명영상)를 촬영했고, 의사로부터 ‘파열된 가슴성형 보형물이 유선을 통해 흘러나오는 양상’이라는 소견을 받았다. 이 여성은 가슴성형 보형물과 유선을 잘라내는 수술을 했고, 다행히 모유를 먹은 아기의 건강엔 별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월에서야 이 사실을 안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모유에서 나온 성분이 실제 가슴성형 보형물인지 여부와 그 원인을 조사 중이다.

    이번과 같은 사례는 국내 최초로, 의료계에선 “세계적으로도 들어본 적이 없는 경우다. 이런 일이 가능한지도 의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윤원준 대한성형외과의사회 학술이사는 “한국보다 10배 이상 가슴성형수술 사례가 많은 미국에서도 보고되지 않은 사고로 알고 있다. 임상적으로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처럼 의료계에서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원인 때문에 이전에 가슴성형수술을 한 산모들의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근육 밑에 넣은 실리콘이 어떻게…

    의료계는 처음에 “이게 가능한 일인가. 황당하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모유에 섞인 물질이 실리콘일 수 있다”고 인정하는 분위기다. 1월 17일 식약처 관계자들과 회의를 한 윤원준 이사는 “회의에 제출된 MRI 자료를 보니 ‘가슴성형 보형물이 유선으로 흘러나왔다’는 의사 소견이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MRI 자료에서 액체 농도만 구별해 볼 수 있는 모드가 있다. 이 모드에서 가슴의 실리콘 덩어리와 같은 농도로 추정되는 액체가 유선으로 흘러나온 흔적이 있다. 다만 외관상으로만 확인한 것이기에 실리콘 성분임을 100% 확증하려면 식약처의 시료 검사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A씨의 가슴성형 보형물을 생산한 업체는 미국에 본사를 둔 모 제약회사. 이 회사는 2007년 국내 유통을 시작한 이후 1만5000개 이상의 제품을 판매해왔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금까지 자사 제품의 성분이 유선으로 흘러들어간 사례는 없었다. 품질 안전성을 지키려 노력하고 있고 보건당국의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처가 모유에 섞인 성분을 실리콘으로 확증해도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엔 꽤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가슴성형 보형물은 유선과 떨어져 있기 때문. 가슴은 피부 아래 유관(젖을 운반하는 통로), 유선(젖샘 조직), 지방층, 대흉근으로 돼 있는데 가슴성형수술 시 보형물은 대흉근 밑에 삽입된다. 또한 유선과 대흉근은 얇은 막으로 싸여 있기 때문에 파열된 보형물 성분이 이를 뚫고 유관까지 들어가려면 상당히 긴 과정을 거쳐야 한다. 게다가 액상 실리콘도 아닌 코헤시브(cohesive·응집력 강한) 겔이 유선까지 파고든 원인도 풀어야 할 숙제다. 유동성이 높은 액상 실리콘에 비해 코헤시브 겔은 파열되더라도 젤리처럼 뭉쳐 비교적 제 모습을 유지한다. 미국 FDA(식품의약국)는 액상 실리콘에 대해 “파열되면 가슴에서 먼 곳으로 이동해 체내 조직에 침투할 수 있다”는 이유로 1992년 이후 사용을 불허했고, 그에 비해 안전한 코헤시브 겔을 한정적으로 사용 승인했다. 현재 국내에서 쓰는 가슴성형 보형물 실리콘도 코헤시브 겔이다.



    “보형물 파열, 환자는 잘 못 느껴”

    한편, 코헤시브 겔 파열은 성형업계의 큰 고민이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2012~2015년 접수된 가슴성형 부작용은 3600여 건. 신고 내용은 ‘보형물 파열’(66%), 피막이 두꺼워져 가슴이 딱딱해지는 ‘구형구축’(22.2%), ‘모양 변형’(5.3%), ‘기타’(6.5%)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보형물 파열을 환자가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 가슴이 딱딱해져 멍울·통증을 유발하는 구형구축과 달리, 보형물은 파열 초기 환자에게 별 느낌을 주지 않는다. 민호균 청담유노외과(외과 유방질환 세부 전문의) 원장은 “환자는 가슴성형 보형물이 파열된 것을 한참이 지나서야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가슴성형 보형물 제거 수술을 할 때 환자의 유방조직과 겔이 뭉쳐 들러붙은 걸 본 적이 있다. 이는 파열 후 시간이 꽤 지났는데도 환자가 느끼지 못했다는 얘기다. 이번 사건도 가슴성형 보형물이 파열돼 실리콘이 스며든 것이라면 파열된 겔이 상당 기간 서서히 체내 조직에 침투했다고 볼 수 있다.”

    가슴성형수술을 잘못하면 보형물이 압박을 받아 파열될 가능성도 있다. 보형물이 들어가는 공간이 작거나, 수술 후 피막이 두꺼워지거나, 외부에서 강한 압력을 주면 보형물이 손상되기도 한다. 민호균 원장은 “보형물을 압박한 채 수십 년 동안 방치하면 자동차가 밟고 지나가는 수준의 압력을 수십 번 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한 “모유수유 중에는 유관이 늘어나기 때문에 수유하면서 실리콘이 유관에 침투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이번 사건이 일어나기 전 국내에 유통되는 ‘인공유방’ 보형물의 안전성에 대해 전수조사를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1월 17일 ‘주간동아’와 인터뷰에서 “현 단계에서는 모유에 섞인 물질이 실리콘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실리콘인 것으로 판명되면 적절한 주의 및 제재 방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민호균 원장은 “가슴성형수술을 한 사람은 자신의 보형물이 안전한지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 원장은 “적어도 수술 3년 후 2년마다 유방 MRI나 초음파 검사를 받길 권한다. 다만 이번 사건이 전례가 없는 만큼, 가슴성형수술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하다거나 위험하다고 일반화하긴 이르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