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87

2005.05.31

한 줄기 차 향기 석양을 물들이네.

다도 즐기며 佛法 계승 자주 논해 … 숭유배불 정책 탓 귀양 가서 억울한 죽음

  • 정찬주/ 소설가

    입력2005-05-27 10:1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 줄기 차 향기 석양을 물들이네.

    보우스님의 진영이 봉안된 영각.

    서울 강남에 봉은사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직접 가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법정스님에게서 당신이 봉은사 다래헌에 계셨을 때는 강북에서 절을 가려면 뚝섬에서 나룻배를 타야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러나 지금의 변화는 가히 상전벽해(桑田碧海)라 할 만하다.

    봉은사는 조선 중기에 허응당 보우가 주지로 있으면서 유명해진 절이다. 보우는 문정대비의 신임에 힘입어 꺼져가던 전등(傳燈)의 불길을 되살려낸 인물로 그가 문정대비를 설득, 조선에 들어서 없어진 승과제도를 부활시킨 덕에 서산대사로 더 알려진 청허 휴정선사나 사명당 유정선사 같은 걸출한 고승이 출현했기 때문이다.

    경내에는 갖가지 소담스런 연등이 걸려 있다. 나그네도 마음속에 연등을 하나 켜고 보우스님의 진영이 봉안된 영각(影閣)으로 오른다. 영각 안으로 드니 주불(主佛)인 지장보살 왼편에 보우, 청허, 사명스님 순으로 진영이 모셔져 있다. 나그네는 참배를 하면서 상념에 잠긴다.

    그 누가 나처럼 이 우주를 소요하리/ 마음

    따라 발길 마음대로 노니는데/ 돌 평상에



    앉고 누우니 옷깃 차갑고/ 꽃 핀 언덕

    돌아오면 지팡이 향기롭네/ 바둑판 위 한가한 세월은 알고 있지만/ 인간사 흥망성쇠 내

    어찌 알리/ 조촐하게 공양을 마친 뒤에/

    한 줄기 차 달이는 향기 석양을 물들이네.



    도첩제·승과제도 부활에 큰 구실


    산승의 면모를 물씬 풍기는 보우의 다시(茶詩)다. 사극에 나오는 권승(權僧)이나 요승(妖僧)의 모습이 아니다. 왜곡된 역사는 사람들의 눈을 가리니 안타까운 일이다. 이제는 우리 역사를 하나하나 바로잡고 편견 없이 볼 일이다.

    가난하고 지체가 변변하지 못한 집에서 태어난 보우는 15세에 금강산 마하연사로 출가해 6년의 정진 끝에 깨달음을 얻고 ‘화엄경’ 등 모든 대장경을 섭렵한다. 이후 ‘주역’까지 통달하여 저잣거리의 유학자들과 널리 교유하다 그들의 천거로 중종의 어머니인 문정대비를 만난다. 문정대비의 신임을 얻은 보우가 첫 번째로 한 일은 횡포가 심한 유생을 본보기로 처벌하게 하고 전국의 사찰에 방을 붙여 잡된 유생의 난입을 금지한다. 이에 유생들은 보우의 목을 베라는 상소를 올리지만, 보우는 그들에게 맞서 불교의 기틀을 하나하나 다져나간다. 선교 양종을 부활시키고, 도첩제도와 승과제도를 다시 시행하여 승려의 위의(威儀)를 지키고 자질을 향상시킨다. 이때 400건이 넘는 유생들의 상소는 조정을 들끓게 한다. 결국 보우는 일선에서 물러나 있다 문정대비가 죽고 난 뒤 바로 체포되어 제주도로 귀양 간다. 그리고 귀양 간 지 며칠 만에 제주목사 변협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수많은 유생과 맞서 불법(佛法)을 다시 일으키려고 몸부림치다가 마침내 순교한 것이다.

    보우를 죽이라는 유생들의 상소가 극에 달하자, 보우는 차 한잔을 마시며 “지금 내가 없으면 후세에 불법이 영원히 끊길 것이다”고 말했다 한다. 숭유배불(崇儒排佛)의 분위기 속에서도 유생들과 타협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불같이 밀어붙여 전등의 불이 꺼지지 않게 한 보우의 삶이 오늘 따라 더욱 크게 느껴진다.

    영각을 내려오니 판전(板殿)이라고 쓰인 추사 김정희의 글씨가 한눈에 들어온다. 초의선사의 스승이던 추사 역시 다인이 아니던가. 고졸미(古拙美) 넘치는 판전이란 편액을 쓰고 사흘 뒤 죽었다고 하니 추사가 남긴 마지막 글씨인 셈이다. 나그네가 찾는 다인의 흔적이란 점에서 반갑고 정겹다.

    가는 길: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 6번 출구로 나와 아셈타워 쪽으로 100m쯤 걸어가면 봉은사 어귀가 보인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인터콘티넨탈 호텔(코엑스) 맞은편으로 가면 된다.



    茶人기행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