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 1급 고위직 인사가 끝나고 청와대 대변인을 비롯한 비서관급 인사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을 겸임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차관급)에 김숙(61·사진) 전 유엔대사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복수 관계자는 “후보자 3~4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마치고 최종적으로 김숙 전 유엔대사가 내정된 것으로 안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를 받았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0일 ‘장성택 처형’ 이후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와 북한 도발 가능성에 대처하려고 NSC 상설 실무기구인 사무처 설치를 재가했다. 이로써 5년 만에 부활한 NSC에 정무직 차관급 사무처장 자리가 새로 생겼다. 이 자리는 NSC 실무를 총괄하는 데다 외교안보 컨트롤타워로서 위상이 강화된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을 겸하는 키맨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누가 임명되느냐에 따라 집권 2년 차에 접어드는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방향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교가의 관심이 집중됐다.
NSC 사무처장 자리를 두고 외교가에선 일찌감치 전·현직 외교관이 발탁되리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북한을 비롯한 외교안보 정책과 대북 위기상황 관리의 두 축인 청와대 안보실장과 국가정보원장이 모두 군 출신이라 외교관 출신으로 국제무대에서 해박한 지식을 쌓고 대북협상 경험이 많은 실무형 인사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축 구상 실현을 위한 대북 대화채널 복구와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 등 현안에 발 빠르게 대처하려면 외교와 안보, 대북 정보 등 모든 분야에서 식견을 고루 갖춘 인물이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남북대화 신호탄인가
실제 김 전 대사는 이런 임무를 담당할 만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인천 제물포 출신인 김 전 대사는 1978년 외무고시에 합격하고 외교부(당시 외무부)에 발을 들인 이후 주미대사관 1등서기관과 북미국장을 지낸 미국통이자,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겸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한 대북통이기도 하다. 2009년 2월 말까지 30년 동안 외교부에 몸담았던 김 전 대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을 역임해 대북 정보에도 밝은 편이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낼 때 북미국장을 하고 이명박 정부 때는 유엔대사까지 지내 반 총장과의 인연도 각별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가에선 김 전 대사의 NSC 사무처장 내정에 대해 박근혜 정부가 북한의 ‘장성택 처형’ 사건 이후 복잡하게 얽힌 대북관계를 대화로 풀어나가려는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최근 정부가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 점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는 것.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김 전 대사를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교두보로 이용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전 대사는 국가정보원 1차장 시절인 2009년 10월 중순 싱가포르에서 북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과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비밀접촉을 가졌고, 2010년에는 수차 평양을 방문해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대결 국면으로 치닫던 남북관계의 출구전략과 정상회담 추진 방안을 모색한 이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NSC 사무처장 내정과 이명박 정부 시절 평양 비밀방문 사실에 대한 ‘주간동아’의 확인 요청에 김 전 대사는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김 전 대사는 “가족과 해외에 나와 좋은 시간을 즐기고 있다. 사적인 시간을 존중해달라. 국가정보원 재직 중 업무는 언급하지 못하게 돼 있다”고 답했다. 한편, 청와대가 그동안 주요 보직 인사를 단행하면서 내정 뒤에도 뒤늦게 다른 인사로 전격 교체하는 등 ‘깜짝 인선’을 자주 선보였다는 점에서 다른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0일 ‘장성택 처형’ 이후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와 북한 도발 가능성에 대처하려고 NSC 상설 실무기구인 사무처 설치를 재가했다. 이로써 5년 만에 부활한 NSC에 정무직 차관급 사무처장 자리가 새로 생겼다. 이 자리는 NSC 실무를 총괄하는 데다 외교안보 컨트롤타워로서 위상이 강화된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을 겸하는 키맨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누가 임명되느냐에 따라 집권 2년 차에 접어드는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 방향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교가의 관심이 집중됐다.
NSC 사무처장 자리를 두고 외교가에선 일찌감치 전·현직 외교관이 발탁되리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북한을 비롯한 외교안보 정책과 대북 위기상황 관리의 두 축인 청와대 안보실장과 국가정보원장이 모두 군 출신이라 외교관 출신으로 국제무대에서 해박한 지식을 쌓고 대북협상 경험이 많은 실무형 인사가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축 구상 실현을 위한 대북 대화채널 복구와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 등 현안에 발 빠르게 대처하려면 외교와 안보, 대북 정보 등 모든 분야에서 식견을 고루 갖춘 인물이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남북대화 신호탄인가
실제 김 전 대사는 이런 임무를 담당할 만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인천 제물포 출신인 김 전 대사는 1978년 외무고시에 합격하고 외교부(당시 외무부)에 발을 들인 이후 주미대사관 1등서기관과 북미국장을 지낸 미국통이자,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 겸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로 활동한 대북통이기도 하다. 2009년 2월 말까지 30년 동안 외교부에 몸담았던 김 전 대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을 역임해 대북 정보에도 밝은 편이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낼 때 북미국장을 하고 이명박 정부 때는 유엔대사까지 지내 반 총장과의 인연도 각별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가에선 김 전 대사의 NSC 사무처장 내정에 대해 박근혜 정부가 북한의 ‘장성택 처형’ 사건 이후 복잡하게 얽힌 대북관계를 대화로 풀어나가려는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최근 정부가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 점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는 것.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김 전 대사를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교두보로 이용하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전 대사는 국가정보원 1차장 시절인 2009년 10월 중순 싱가포르에서 북한 김양건 통일전선부장과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비밀접촉을 가졌고, 2010년에는 수차 평양을 방문해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대결 국면으로 치닫던 남북관계의 출구전략과 정상회담 추진 방안을 모색한 이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NSC 사무처장 내정과 이명박 정부 시절 평양 비밀방문 사실에 대한 ‘주간동아’의 확인 요청에 김 전 대사는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김 전 대사는 “가족과 해외에 나와 좋은 시간을 즐기고 있다. 사적인 시간을 존중해달라. 국가정보원 재직 중 업무는 언급하지 못하게 돼 있다”고 답했다. 한편, 청와대가 그동안 주요 보직 인사를 단행하면서 내정 뒤에도 뒤늦게 다른 인사로 전격 교체하는 등 ‘깜짝 인선’을 자주 선보였다는 점에서 다른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