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64

..

왕가에선 커피도 ‘가배茶’라 불렀다

탕과 차

  • 김대성 한국차인연합회 고문·차 칼럼니스트

    입력2012-11-26 10:2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왕가에선 커피도 ‘가배茶’라 불렀다

    조선 왕실에서는 꽃잎이나 열매, 뿌리 등을 달인 물도 ‘차’라고 불렀다.

    차는 ‘차의 신’ 신농(神農·BC 2517∼?)이 발견하면서 비롯됐다고 중국 황실에서 발행한 ‘황제내경’과 중국의 차 책 ‘다경’에서는 말한다. “염제 신농은 차를 오래 마시면 힘이 생기고 즐겁다”는 기록도 보인다.

    차에도 종류가 여럿 있다. 엄격한 의미에서 차라고 부르는 것은 사철 푸른 동백과에 속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잎을 따서 발효가 일어나지 않게 돌솥에 덖거나 찌는 ‘녹차’, 찻잎을 조금 시들게 해서 향기가 배어 나오게 한 ‘반발효차(黃茶)’, 찻잎을 완전히 발효시켜 만든 ‘홍차(紅茶)’, 찻잎을 쪄서 형태를 만든 후 일정 온도에서 오랫동안 숙성시킨 ‘후발효차(보이차)’, 꽃을 섞어 향기를 품게 만든‘꽃차(花茶)’ 등을 말한다.

    그러나 현대에서는 생강차, 대추차, 구기자차, 인삼차, 국화차, 쑥차 등 차나무 잎이 아닌 꽃잎이나 잎을 말려 우려낸 물과 뿌리를 달인 물도 차라고 하며, 뽕나무와 감잎, 은행잎을 섞어 만든 퓨전 차도 차라고 부른다. 조선 후기 고종황제 시절에는 수입한 커피까지 ‘가배차’라 불렀다.

    이렇게 마시는 음료마다 차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 사람은 조선 후기 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다. 사라져가는 차 풍속을 되살리는 데 공이 컸던 그는 어원연구서 ‘아언각비’에서 “우리나라 사람이 귤피차(橘皮茶·귤나무 껍질), 목과차(木瓜茶·모과차), 상지차(桑枝茶·뽕잎차), 송절차(松節茶·솔잎차), 오과차(五果茶), 강차(薑茶·생강차) 등 차가 아닌 탕을 마시면서 관습적으로 차라 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차나무 잎으로 만든 차라야 차라고 할 수 있다”며 바로잡기를 권했다.

    그런데 차나무 잎으로 만든 차가 아니어도 차라고 했던 기록이 고려시대부터 보인다. 고려 왕실 의서 ‘신집어의찰요방(新集御醫撮要方)’에는 박하총차가 소개돼 있다. 박하 잎과 부들을 함께 달인 물도 차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 밖에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동의보감(東醫寶鑑)’ ‘규합총서(閨閤叢書)’ 등에도 꽃잎이나 열매 등을 달인 물에‘차’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선시대 왕명 출납을 맡았던 관아의 기록인 ‘승정원일기’에는 인조 원년인 1623년부터 1893년(고종 30)까지 271년간 왕이 마셨던 145가지 차 이름이 기록돼 있다. 갈근소엽차, 감국차, 감초차, 생밀차, 마른 죽엽차, 계피와 생각을 달인 계강차, 구기자차 등 뿌리와 잎, 줄기를 달인 차도 보인다. 귤차, 행귤차, 송절차, 금은화갈근차 등 꽃과 뿌리를 함께 달인 혼합 차와 국화차 등의 단일 차도 있다. 다섯 가지 껍질을 달여 마시는 오피차(五皮茶)와 분말차도 보인다. 영조가 1751년(영조 27) 10월 “차를 마시는 것과 탕제와 약은 하나다”라고 했다는 기록도 보인다.

    왕가에서는 탕과 차, 약을 크게 구분하지 않고 가벼이 마시는 음청류를 아우르는 표현으로 ‘차’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고 보면 일반적으로 찻잎이 아닌 대용차에 ‘차’ 자를 붙이는 것도 잘못된 표현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차향만리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