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60

..

새하얀 차꽃, 신부의 고상한 품격

혼례 부케

  • 김대성 한국차인연합회 고문·차 칼럼니스트

    입력2012-10-29 09:3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하얀 차꽃, 신부의 고상한 품격

    차꽃 부케를 들고 있는 신부.

    이맘때면 전남 보성의 오선봉이나 지리산 화개골 같은 남쪽 땅 차밭은 차꽃으로 황금물결을 이룬다. 겸손한 듯, 수줍은 듯 찻잎 속에 살포시 숨어 고개를 아래로 떨어뜨린 차꽃은 마치 부끄러움을 타는 신부 같다. 그 은은한 향기와 소박한 아름다움이 국화에 견줄 바가 아니다.

    “우거진 잎 모진 추위와 싸우며 겨우내 푸르고, 하얀 꽃 서리에 씻겨 가을 정취 빛내누나(密葉鬪霰貫冬靑 素花濯霜發秋榮).”

    초의선사(草衣禪師·1786~1866)가 쓴 우리나라의 유명한 차 책 ‘동다송’의 첫 구절이다. 가을 차꽃을 보지 않은 이에게 차꽃의 잎새와 황금 꽃술의 아름다움을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10월부터 12월까지 찬 서리 속에서 꽃술이 더욱 영롱해지는 차꽃을 운화(雲華)라고도 했다. 게다가 차나무는 꽃이 지고 열매가 열리면 그다음 해 열매가 영그는 철에 다시 꽃이 핀다. 이 때문에 꽃과 열매가 마주 본다는 의미에서 차나무를 실화상봉수(實花相逢樹)라고도 한다.

    흰색 꽃잎은 백의민족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군자에게는 지조를, 여자에게는 정절을 상징했다. 또 꽃잎 다섯 쪽은 고(苦), 감(甘), 산(酸), 삽(澁), 함(鹹)의 의미를 담고 있다. 너무 인색(鹹)하지 말고, 너무 티(酸) 내지도 말며, 복잡(澁)하게도, 너무 쉽고 편하게(甘)도 말고, 그렇다고 어렵게(苦)도 말라는 깊은 뜻이다.



    명나라 때 중국 절강성 항주에 살았던 허차서(許次·1549~1604)가 쓴 ‘다소(茶疏)’에 “차는 원래 옮기지 못하니(茶不移本), 심은 것은 반드시 씨앗에서 태어난다(植必子生), 옛사람이 결혼에 반드시 차로써 예를 삼은 것은(古人結婚必以茶爲禮), 옮기지 말고 자식을 두라는 뜻으로 받아들인 것이다(取其不移置子之意也). 지금 사람 역시 그 예를 하차라 했다(今人猶名其禮曰下茶). 남녘 사람들의 혼인에는 반드시 차가 없어서는 안 된다(南中夷人定親必不可無)”고 했다. 말하자면 결혼을 ‘하차’라고 했다는 말이다.

    차나무는 외뿌리 직근성으로, 옮겨 심으면 잘 살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시집가는 신부가 시가에 차를 예물로 가지고 갔고, 시어머니 또한 새 며느리에게 차나무 씨를 선물했다. 차나무처럼 일부종사(一夫從事)로 가문을 잇겠다는 양가의 말 없는 약속이었다. 신부가 친정에서 마련한 차와 다식을 시댁 사당에 올리는 것을 ‘예서(禮書)’ 혼례편에는 ‘사당다례’라고 했다. 아름답고 의미 있는 봉차(奉茶) 풍습은 고려를 거쳐 조선 초기까지 행해졌으나, 차가 자라지 못하는 지역에서는 봉차라는 이름 대신 봉채(奉采)라는 이름으로 행했다. 남쪽 지방이 아니면 차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1985년 10월 5일 신부 박형희 씨(당시 27세)는 서울에서 혼례를 치렀다. 차인이었던 시어머니의 고집으로 멀리 경남 사천 다솔사에서 따온 차꽃으로 부케를 만들었다. 신부가 차려 입은 흰색의 웨딩드레스에 희디흰 꽃잎과 초록빛 잎새, 황금색 꽃술로 어우러진 부케는 환상적인 매칭을 선사했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시도하는 일이었을 것이다.

    차꽃이 피는 가을에 혼례를 하는 신부는 구할 수만 있다면 차꽃 부케를 만들어보라. 고상한 품격의 새하얀 차꽃이 신부의 고귀한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할 것이다. 거기다 달고, 시고, 짜고, 맵고, 쓴 차 맛처럼 긴 세월을 부부가 함께하면서 인생의 굽이굽이를 잘 이겨 회로할 것을 다짐하는 의미도 있어 뜻 깊은 혼례가 될 것이다.



    차향만리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