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붉은 산수유 열매…성탄제 시인
김종길 고려대 명예교수(1926. 11. 5~2017. 4. 1)
“어두운 방안에/ 바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애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오신/ 그 붉은 산수유 열매-.// 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 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에/ 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
원로 시인이자 영문학자였던 고인(본명 김치규)은 1926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47년 경향신문을 통해 등단했다. 69년 펴낸 첫 시집의 표제이자 국민 애송시인 ‘성탄제’는 성탄절 무렵 도시에 내리는 눈을 바라보며 아버지를 향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고인은 T. S. 엘리엇의 장시 ‘황무지’의 국내 첫 완역에 기여하는 등 시인 특유의 언어감각을 살린 번역 솜씨도 뛰어났다. ‘20세기 영시선’, 에밀리 브론테의 소설 ‘폭풍의 언덕’ 등을 국내에 소개했다. 또 한시(漢詩)와 김춘수, 박두진의 현대시를 영역해 영미권에 알렸다.
한국시인협회장, 한국T.S.엘리엇학회 회장,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을 지냈고 인촌상, 고산문학상, 청마문학상, 이육사 시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국민훈장 동백장과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고인은 서양 이미지즘 시학을 받아들이면서도 기교에 치우치지 않고 우리 시가 지닌 고전적 품격을 추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해 두세 편의 시를 쓰는 과작(寡作)의 시인이기도 했다. “어설픈 시를 내놓을 수 없다”는 엄격한 자세를 유지해 ‘성탄제’(1969), ‘하회에서’(1977), ‘황사현상’(1986) 등 시집 10권을 남겼다. 부인이 떠난 지 열하루 만에 뒤를 따라간 고인. ‘그 붉은 산수유 열매’ 시구가 오랫동안 입안에서 맴돈다.
인술(仁術) 실천한 산부인과계 큰 별
차경섭 차병원그룹 명예이사장(1919. 2. 4~2017. 4. 5)
“돈보다 인술(仁術)이다.”
산부인과 전문의로 명성을 날린 고인은 생전에 후학 양성에 남다른 관심을 쏟았다. ‘가난 때문에 돈이 없어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은 없게 하겠다’는 신념에 따라 포천중문의과대(현 차의과대)를 설립해 모든 학생에게 조건 없이 장학금을 지급하고 기숙사에 입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1998년엔 장남 차광렬 차병원그룹 회장과 함께 사재 400억 원을 성광의료재단에 기부해 학생들의 장학금과 의학연구 등에 쓰도록 했다. 2000년부터 해마다 심장병을 앓는 조선족 어린이를 초청해 무료로 수술해줬다. 또 가정형편이 어려운 국내 어린이를 위한 무료 심장병 수술운동도 펼쳤다.
1919년 평북 용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41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현 연세대 의과대학)를 졸업했다. 55년 1년간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대 의과대학에서 수학한 뒤 60년 차병원의 모태인 차산부인과를 열었다. 당시엔 전문의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았고, 남자 의사가 여성 환자를 전문으로 돌본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렇듯 고인은 편견을 깨는 혁신적 행보를 걸었다.
2005년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는데, 의과대학을 운영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생식의학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업적을 이룬 점이 높게 평가됐다. 2009년에는 제4회 서재필 의학상과 자랑스러운 연세인상도 받았다. 2010년 연세의료원은 의학적 공로를 인정해 고인의 이름을 딴 ‘김명선 · 차경섭 · 김인수 암연구상’을 제정했다.수많은 산모의 목숨을 살리고 귀중한 생명을 받아내 많은 사람에게 행복을 안겨준 고인은 산부인과계의 큰 별이었다.
졸기(卒記)
졸기는 돌아가신 분에 대한 마지막 평가를 뜻하는 말로 ‘조선왕조실록’에도 당대 주요 인물이 숨지면 졸기를 실었다.